최필준 /@@dpit &lt;생활 밀착형 철학 연구자&gt; 입니다. ko Tue, 29 Apr 2025 11:53:21 GMT Kakao Brunch &lt;생활 밀착형 철학 연구자&gt; 입니다. //img1.daumcdn.net/thumb/C100x100.fjpg/?fname=http%3A%2F%2Ft1.daumcdn.net%2Fbrunch%2Fservice%2Fuser%2Fdpit%2Fimage%2FqY2QrklPUNI3wje8_mwmwjPWB00.JPG /@@dpit 100 100 택배 일용직 노동 분석가(?) - 택배 일용직 생존기 /@@dpit/84 요즘 간헐적으로 돈 떨어질때(?) 택배 일용직 일을 하고 있다. 이유는 사무직 일을 오래 해온 나지만 현재 상황이 좋지 않다. 아버지의 건강 문제도 있고, 나도 음악 공부와 작사 작곡을 해야하기에 뭐.. 다소 어쩔 수 없는 선택이다. 하지만 나는 육체 노동을 좋아하는 편이다. 그리고 노동을 운동으로 분석하는 작업을 좋아한다. 그래서 &lt;노동 동작 분석가&gt;라 Sat, 17 Feb 2024 10:09:45 GMT 최필준 /@@dpit/84 나는 한마디로 표현하면 철학자가 되고 싶다. - 고미니 카드 리뷰 /@@dpit/83 나는 한 마디로 '철학자'가 되고 싶다. 지금은 철학자로 표현되는 충분한 사람은 아니다. 앞으로 '철학자'로 표현되고 싶다는 의미다. 나에게 있어 철학자의 의미는 '자신이 살아가고자 하는 방향으로 살아가는 사람'이다. 자신이 생각한 대로 사는 사람 말이다. 세상의 틀보다, 타인의 생각과 조언보다 자신의 생각으로 살아가는 사람이고 싶다. 철학과를 나와서 Wed, 14 Jun 2023 02:05:51 GMT 최필준 /@@dpit/83 소소하지만 확실한 행복따윈 필요없어 - 고미니 카드 리뷰 /@@dpit/82 오랜만에 글을 쓴다. 지금까지 그림 공부를 한다고 글을 안썼다. 만화와 그림 관련 도서를 40권 정도 읽었다. 물론 책을 읽는다고 그림 실력이 비약적으로 향상되지는 않는다. 하지만 예술 이전에 기술이고, 기술 이전에 훈련이고, 훈련이전에 지식이다. 이제 훈련의 단계인가.. 뭐 아무튼 이제 또 글을 써야겠지. 미뤄놨던 고미니 카드 리뷰를 계속 써보기로 한다 Mon, 12 Jun 2023 10:38:12 GMT 최필준 /@@dpit/82 최근 시작한 무에타이 - 고미니 카드 리뷰 /@@dpit/81 Q.최근 시작했거나 준비중인 일이 있나요? 무에타이 2일차다. 친누나와 같이 다닌다. 오랜만에 극악무도한 근육통을 느끼고 있다. 등과 팔이 찢어질거 같다. 하지만 근육통은 그냥 안고 가는거라 배웠다. 무에타이를 시작한 이유는 두 가지다. 1. 격투기를 배우고 싶다. 2. 더 이상 누나의 운동 부족을 지켜볼 수가 없다. 나는 어릴때부터 싸움과 격투기에 관 Tue, 07 Mar 2023 13:10:03 GMT 최필준 /@@dpit/81 나의 성장 동력은 어디에서 나오나요? - 고민 카드 리뷰 /@@dpit/80 나의 성장 동력은 호기심이다. 이 호기심은 두 가지로 나뉜다. 1. 나에 대한 호기심 2. 외부에 대한 호기심 이다. 나에 대한 호기심은 다음과 같다. &quot;내가 무엇을 할 수 있을까?&quot; &quot;내가 무엇을 얼마나 빨리 배울 수 있을까?&quot; &quot;내가 어디까지 도달할 수 있을까?&quot; &quot;나는 지금 하고 싶은게 무엇인가?&quot; 이다. 외부에 대한 호기심은 다음과 같다. &quot;저 Tue, 21 Feb 2023 13:18:00 GMT 최필준 /@@dpit/80 내가 좋아하는 사람은 어떤 경향성을 가지는가? - 고민 카드 리뷰 /@@dpit/79 내가 좋아하는 성향은 '삶의 의지가 있는' 사람이다. 건강을 추구하고, 웰빙을 추구하고, 웰니스를 추구하는 사람이다. 이런 사람들은 항상 긍정적인 에너지를 외부로 표출한다. 이야기를 나누어보면 안정적이고, 건강한 에너지를 얻는다. 이런 성향을 가진 사람들은 다음과 같은 행동 경향성을 보인다. 1. 운동을 열심히 한다. 2. 음식을 가려서 먹는다. 3. 생 Mon, 20 Feb 2023 09:47:42 GMT 최필준 /@@dpit/79 나는 어떤 습관을 고치고 싶은가? 다리좀 떨지 마! - 고민 카드 리뷰 /@@dpit/78 습관이란 무엇인가? 내가 생각하기에 습관이란 1. 상황 자동형 습관 : 어떤 상황에 닥치면 자동으로 나오는 행동(말)이거나, 2. 인물 자동형 습관 : 어떤 사람에게만 고정적이고 자동으로 나오는 행동(말)이거나, 3. 일상 자동형 습관 : 일상을 살아가는데 필요한 반복적인 행동(말)이다. 으로 나뉜다. 3가지 모두 습관이라 할 수 있고, 좋지 않은 습관 Fri, 17 Feb 2023 08:27:23 GMT 최필준 /@@dpit/78 좌우명 : 나는 무조건 틀렸거나 틀렸을 가능성이 있다. - 고민 카드 리뷰 /@@dpit/77 나는 '유연한 삶'을 지향한다. 몸도 마음도 생각도 유연하고 싶다. 그리고 나름 유연하게 살고 있다고 생각한다. 유연한 삶을 살기 위한 나의 좌우명은 &quot;나는 무조건 틀렸거나 틀렸을 가능성이 있다&quot; 이다. 이런 생각을 하게 된 이유는 '인류 전체의 지식이 아직 미약하기 때문'이다. 어떤 책에서 본 내용이다. 제목도 기억이 안난다. 하지만 그 책에는 이렇게 Fri, 17 Feb 2023 06:39:24 GMT 최필준 /@@dpit/77 좋아하는 책이 있나요? - 고민 카드 리뷰 /@@dpit/76 내가 가장 많이 읽은 책은 &lt;사랑의 기술&gt;이다. 하지만 내가 좋아하는 책은 &lt;언플래트닝&gt;이다. 그렇다면 왜 언플래트닝을 좋아하는가? 1. 만화라서 좋아한다. 나는 만화를 좋아한다. 나의 첫 장래희망은 만화가 였다. 그만큼 나는 만화를 좋아했고, 지금도 좋아한다. '만화가'라는 꿈을 이루기 위해 35의 나이에 다시 그림을 그리고 있다. 그만큼 나는 만화를 Fri, 17 Feb 2023 06:03:07 GMT 최필준 /@@dpit/76 좋은 사람을 알아보려면 좋같은 사람을 잘 알아야 한다. - 고민 카드 리뷰 /@@dpit/75 &quot;좋은 사람을 알아보는 나만의 방법이 있나요?&quot; 라고 누군가 물어본다면 대답하기가 어렵다. 좋은 사람은 널리고 깔렸지만, 기준이 사실 애매하다. 그러면 우리는 이분법을 선택하기로 한다. 좋같은 사람말고는 다 좋은 사람이라 하기로 한다. 그렇다면 좋같은 사람은 어떤 사람인가? 나는 폭력적인 사람이라고 생각한다. 그렇다면 폭력이란 무엇인가? 타인의 자유를 Wed, 15 Feb 2023 13:48:12 GMT 최필준 /@@dpit/75 나의 이상형은? - 고민 카드 리뷰 /@@dpit/74 이상형[理想型]생각할 수 있는 범위 안에서 가장 완전하다고 여겨지는 사람의 유형 나의 이상형, 이성, 그러니까 여자. 이상적인 여자. 연애를 하고 싶거나,&nbsp;결혼을 하고 싶다는,&nbsp;욕구와 생각을 격렬하게 일으키는&nbsp;여자 사람. 이지만 현실에서는 찾기 힘든 그런 사람. 나는 그럼 어떤 사람을 좋아하는가? 평소에도 생각은 하지만, 오늘은 좀 더 빡세게 생각이란걸 Wed, 15 Feb 2023 02:32:26 GMT 최필준 /@@dpit/74 나의 하루 일과는? - 고민 카드 리뷰 /@@dpit/73 이것은 고미니 카드다. 나의 친구 고매짱이 만든 특제 질문 카드다. 다양한 질문들이 카드에 써져있다. 나는 이 질문들을 기록하는 다이어리가 나오길 바란다. 하지만, 아직 다이어리는 만들어지지 않았으니, 혼자서라도 꿋꿋하게 일기 형식으로 쓰기로 하자. 브런치에 일기 써도 되나 모르겠지만, 그래도 써보자. 구매링크는! 요기 잉네 많이 많이 사주세요! 좌우지<img src= "https://img1.daumcdn.net/thumb/R1280x0.fjpg/?fname=http%3A%2F%2Ft1.daumcdn.net%2Fbrunch%2Fservice%2Fuser%2Fdpit%2Fimage%2FyhWRCVvFweuIo9fmWXqLWV6eJ7o.jpeg" width="500" /> Wed, 15 Feb 2023 01:53:03 GMT 최필준 /@@dpit/73 수신의 4가지 방법 /@@dpit/72 수신의 자신을 닦는다는 의미이다. 수신의 방향은 2가지다. 1. 인격의 발전 2. 개성의 강화 그렇다면 수신을 해야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3가지다. 1. 무너지지 않는 내적안전망의 구축 2. 내가 원하는 삶을 살아가는 자유 3. 타인의 행복과 안녕을 고려하는 여유 그러면 어떤 방법을 써야하는가? 나는 4가지는 필수라고 생각한다. 1. 운동 2. 독서 Fri, 20 Jan 2023 13:36:52 GMT 최필준 /@@dpit/72 수신 제가 치국 평천하 /@@dpit/71 수신이라는 진리 세상 사람들이 진리라고 이야기하는 문장이 있다. '사람은 누구나 죽는다' '변하지 않는 것은, 모든 것이 변한다는 사실뿐이다' 나에게는 한 문장이 더 있다. 유교의 경전 &lt;대학&gt;에 쓰여있는 문장이다. '수신 제가 치국 평천하'이다. 자신을 닦고, 가정을 가지런히하여, 나라를 다스리고, 천하를 평정한다는 뜻이다. 나는 이 문장도 진리라고 Thu, 19 Jan 2023 03:23:16 GMT 최필준 /@@dpit/71 오늘 쓸 만한 글이 없는 4가지 이유 /@@dpit/70 매일 글을 쓰는 사람들과 매일 글을 쓰려고 노력하는 사람들은 공감할만한 이야기일지도 모르겠다. 오늘은 쓸게 없다는 당혹감이다. 아무리 머리를 쥐어짜도 쓸만한게 없다. 뇌를 쥐어짠다 해서 나올 글감도 아니지만 그래도 골머리만 싸매고 있다. 왜 쓸만한게 없는가? 왜 오늘의 나는 오늘의 나의 머릿속에는 글이 될만한 무언가가 없는가? 1. 읽은게 없기 때문이 Thu, 19 Jan 2023 00:49:30 GMT 최필준 /@@dpit/70 6000 - 좁은문, 좁은길 나의 십자가 지고~ /@@dpit/69 허영만 작가의 &lt;꼴&gt;이라는 책을 보고 있다. 처음으로 '육천'이라는 단어를 들어봤다. 6000..은 아니고.. 六賤이다. '여섯 가지의 천한 행동'을 말한다. 하나씩 알아보자. 1. 안하무인 남들이 자신을 욕하는지 모르고 마음대로 행동하고 말하는 사람 2. 기고만장 자신의 능력을 떠벌리는 오만한 사람 3. 싸패쏘패 주위 사람이 곤란을 겪을 때, 비웃 Tue, 17 Jan 2023 11:48:36 GMT 최필준 /@@dpit/69 딱하기 그지 없는 인간 /@@dpit/68 명상을 하면서 문득 이런 생각이 들었다. 인간은 정말 딱하다. 너나 할 것 없이 딱하다. 이유는 이러하다. 인간은 개념으로 생각하지 않으면 아무것도 하기 힘들다. 하다못해 자신의 감정을 느끼는 것조차 제대로 하지 못한다. 이런 생각을 하게된 계기는 명상 어플 'Calm'때문이다. 명상을 하다보니 이런 생각이 들었다. 결국 명상도 언어로 배우는 구나. Mon, 16 Jan 2023 12:33:39 GMT 최필준 /@@dpit/68 부처님도 빡치나요? /@@dpit/67 사람들은 화를 내지 않는 것이 부처의 기준이라 생각하는것 같다. 결론부터 말하자면 부처도 화를 낸다. 세상에는 수많은 부처와 보살이 있다. 하지만 불교의 시작은 석가모니 부처님이다. 석가모니 부처님도 빡치고 분노한 적이 있냐고 물어본다면? &ldquo;그렇다&rdquo;이다. 내가 알기로 딱 한 번 있다고 전해진다. 그렇다면 화를 낸 이유는 무엇일까? 결론부터 말하자면 자신 Sun, 15 Jan 2023 12:15:56 GMT 최필준 /@@dpit/67 2022에 나는 무엇을 했나? /@@dpit/64 이제 작년이 되어버린 2022년 나는 무엇을 했나.. 일단~ 1. 글을 여러가지 써제꼈고, 2. 수영을 마스터반까지 올라갔었고, 3. 식습관을 통째로 바꿨고, 4. 수면 습관도 개선했고, 5. 기타를 어느 정도 칠 수 있게 되었고, 6. 보컬이라는걸 제대로 배우게 되었고, 7. 그림을 매일 한장씩 그린 결과, 이제 대충 무언가 그리는 정도는 되었고, 8. Sun, 01 Jan 2023 12:55:54 GMT 최필준 /@@dpit/64 농약같은 미정 /@@dpit/63 오랜 세월동안&nbsp;야생에서 살아가던 인간은 항상 무작위 위험에 노출되어 있었다. 무작위 위험이란 해충, 독충, 야생짐승, 천둥벼락, 화재, 질병, 전쟁, 사고, 실수 등이 있다. 이런 무작위 위험에 노출된 인간은 불안을 느낀다. 무작위 위험은 현대사회에서 '미정'이라는 이름으로 바뀌었고, 우리는 정해지지 않은 것에 불안을 느낀다. 미정의 질과 양에 따라서, Thu, 29 Dec 2022 05:12:47 GMT 최필준 /@@dpit/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