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은 /@@ey0P 안녕하세요. 학교에서 아이들과 함께 생활하고 있는 교사입니다. 각 지역과 문화재 답사를 다니면서 독자분들이 보다 쉽게 이해할 수 있는 문화유산답사기를 집필하고 있습니다. ko Sun, 11 May 2025 14:19:25 GMT Kakao Brunch 안녕하세요. 학교에서 아이들과 함께 생활하고 있는 교사입니다. 각 지역과 문화재 답사를 다니면서 독자분들이 보다 쉽게 이해할 수 있는 문화유산답사기를 집필하고 있습니다. //img1.daumcdn.net/thumb/C100x100/?fname=http%3A%2F%2Ft1.daumcdn.net%2Fbrunch%2Fservice%2Fuser%2Fey0P%2Fimage%2FiT2xdokTrRNVbV4NEXuIf3hRfMk.jpg /@@ey0P 100 100 0. 박물관 클라스, 웅진 백제 63년, 공주(公州) - 당일형 답사 /@@ey0P/8 1. 명당 중의 명당, 영산(靈山) 계룡산 계룡산(鷄龍山)은 충청남도 공주, 계룡, 논산시와 대전광역시에 걸쳐 있는 산이다. 산의 이름은 주봉인 천황봉에서 연천봉&middot;삼불봉으로 이어지는 능선이 마치 닭 벼슬을 쓴 용의 모양과 닮았다고 하여 붙여졌다고 한다. 이 계룡산은 예로부터 풍수지리학적으로도 4대 명산으로 여겨지고 있으며 흔히 이이야 하기를 <img src= "https://img1.daumcdn.net/thumb/R1280x0/?fname=https%3A%2F%2Ft1.daumcdn.net%2Fbrunch%2Fservice%2Fuser%2Fey0P%2Fimage%2FLt8YuzO74i3a6-pPV-7feHQWE2I.png" width="500" /> Thu, 08 May 2025 06:31:06 GMT 이재은 /@@ey0P/8 4. 답사의 신, 『산사』에 가다! -선암사- - 당일형 답사 /@@ey0P/56 무릇 비워야 다시 채울 수 있는 법이다. 이번에는 한국의 산지승원 산사(山寺)로 간다. 모든 소리가 숨을 죽이는 그곳에서 공백의 시간으로 들어간다. 유네스코 세계유산, 『산사, 한국의 산지 승원』 선암사(仙巖寺) 전라남도 순천시 승주읍 조계산(曹溪山) 동쪽 기슭에 위치한 사찰이며, 현재 한국불교 태고종의 유일한 수행 총림이다. 선암사 창건에 관해서는 두<img src= "https://img1.daumcdn.net/thumb/R1280x0/?fname=https%3A%2F%2Ft1.daumcdn.net%2Fbrunch%2Fservice%2Fuser%2Fey0P%2Fimage%2Ff3yfndmq790_IV9_8LI5pjFS1W4.jpg" width="500" /> Wed, 07 May 2025 05:07:02 GMT 이재은 /@@ey0P/56 3. 답사의 신, 『산사』에 가다! -마곡사- - 당일형 답사 /@@ey0P/55 무릇 비워야 다시 채울 수 있는 법이다. 이번에는 한국의 산지승원 산사(山寺)로 간다. 모든 소리가 숨을 죽이는 그곳에서 공백의 시간으로 들어간다. 1. 유네스코 세계유산, 『산사, 한국의 산지 승원』&nbsp;마곡사(麻谷寺) 충청남도 공주시 사곡면 운암리 태화산 동쪽 산허리에 위치한 사찰이며, 대한불교 조계종 제6교구 본사이다. 뒤로는 국사봉, 서쪽으로는 옥녀봉<img src= "https://img1.daumcdn.net/thumb/R1280x0/?fname=http%3A%2F%2Ft1.daumcdn.net%2Fbrunch%2Fservice%2Fuser%2Fey0P%2Fimage%2FrnGSVxS4dl7VVpEuwtTmhFIyhYM.jpg" width="500" /> Thu, 02 Jan 2025 01:41:51 GMT 이재은 /@@ey0P/55 2. 답사의 신, 『산사』에 가다! -법주사- - 당일형 답사 /@@ey0P/54 무릇 비워야 다시 채울 수 있는 법이다. 이번에는 한국의 산지승원 산사(山寺)로 간다. 모든 소리가 숨을 죽이는 그곳에서 공백의 시간으로 들어간다. 1. 유네스코 세계유산, 『산사, 한국의 산지 승원』 법주사(法住寺) 충청북도 보은군 속리산 내에 위치한 사찰이며, 대한불교 조계종 제5교구 본사이다. 『동국여지승람(東國輿<img src= "https://img1.daumcdn.net/thumb/R1280x0/?fname=https%3A%2F%2Ft1.daumcdn.net%2Fbrunch%2Fservice%2Fuser%2Fey0P%2Fimage%2FlZOAFzMvRr8iZ_B64LeO7nf53-0.jpg" width="500" /> Fri, 18 Oct 2024 06:13:09 GMT 이재은 /@@ey0P/54 1. 답사의 신, 『산사』에 가다! -통도사- - 1박 2 일형 답사 /@@ey0P/53 무릇 비워야 다시 채울 수 있는 법이다. 이번에는 한국의 산지승원 산사(山寺)로 간다. 모든 소리가 숨을 죽이는 그곳에서 비움의 시간으로 들어간다. 1. 유네스코 세계유산, 『산사, 한국의 산지 승원』 통도사(通度寺) 경상남도 양산시 하북면 지산리에 위치한 사찰이며, 대한불교 조계종 제15교구 본사이다. 한국의 삼보사찰 중 하나이자<img src= "https://img1.daumcdn.net/thumb/R1280x0/?fname=https%3A%2F%2Ft1.daumcdn.net%2Fbrunch%2Fservice%2Fuser%2Fey0P%2Fimage%2FO4t47nIBIz03kSalq4Q2sZM5uOU.jpg" width="500" /> Wed, 25 Sep 2024 05:57:50 GMT 이재은 /@@ey0P/53 0. 답사의 신, 서원(書院)에 가다! 답사의 길잡이 - 당일형 답사 /@@ey0P/52 1. 서원(書院) 이야기 &ndash; 서원 답사의 포인트 서원의 현판이나 비문, 안내문 등이 한자로 되어 있는 경우가 많아서 자칫하면 중요한 답사의 포인트를 놓치고 올 경우가 많다. 특히 9개의 서원은 전국에 걸쳐 분포하고 있어 먼 길을 다녀와야 하므로, 가기 전에 그리고 가서도 답사의 포인트를 잡고 가야 한다. 서원 답사에서는 다음과 같은 세 가<img src= "https://img1.daumcdn.net/thumb/R1280x0/?fname=https%3A%2F%2Ft1.daumcdn.net%2Fbrunch%2Fservice%2Fuser%2Fey0P%2Fimage%2FgKWdQHYkE2lfpHP94lg8rkOiB2M.png" width="500" /> Wed, 26 Jun 2024 23:39:46 GMT 이재은 /@@ey0P/52 9. 답사의 신, 서원(書院)에 가다! -돈암서원 - - 당일형 답사 /@@ey0P/51 1. 유네스코 세계유산,&nbsp;한국의 서원,&nbsp;돈암서원(遯巖書院) 돈암서원은 충청남도 논산시 연산면에 있는 서원으로 사계(沙溪) 김장생(金長生) 선생을 주향으로 모셨고 이후 효종 9년(1658) 신독재(愼獨齋) 김집(金集)을 추가로 배향하였다. 이어 숙종 14년(1688)에 동춘당(同春堂) 송준길( 宋浚吉), 1695년에는 우암(尤庵) 송시열(宋時烈)을 각각 추<img src= "https://img1.daumcdn.net/thumb/R1280x0/?fname=http%3A%2F%2Ft1.daumcdn.net%2Fbrunch%2Fservice%2Fuser%2Fey0P%2Fimage%2FtkMiiAg8k4YO6mfI9tkTlta2HPA.png" width="500" /> Wed, 26 Jun 2024 23:22:20 GMT 이재은 /@@ey0P/51 8. 답사의 신, 서원(書院)에 가다! -무성서원 - - 당일형 답사 /@@ey0P/50 1. 유네스코 세계유산,&nbsp;한국의 서원,&nbsp;무성서원(武城書院) 무성서원은 전라북도 정읍시 칠보면에 있는 서원이다. 전북 정읍은 우리 기억에 동학농민혁명의 발상지라고 잘 알려져 있다. 또 문학 시간에 필수로 접하게 되는 현존하는 유일한 백제가요 &lsquo;정읍사(井邑詞)&rsquo;의 고장이기도 한다. 정읍 시내에는 이순신 장군을 모신 충렬사가 있는데 그 이유는 이순신 장군이 정<img src= "https://img1.daumcdn.net/thumb/R1280x0/?fname=http%3A%2F%2Ft1.daumcdn.net%2Fbrunch%2Fservice%2Fuser%2Fey0P%2Fimage%2FJWpRgX71-vfa8XlrrQGXgkEIY5w.png" width="500" /> Mon, 24 Jun 2024 07:32:33 GMT 이재은 /@@ey0P/50 7. 답사의 신, 서원(書院)에 가다! -병산서원 - - 당일형 답사 /@@ey0P/49 1. 서원(書院)&nbsp;이야기 서원(書院)은 조선시대 성현(聖賢)에 대한 제사를 지내고 학자를 키우기 위해 전국 곳곳에 설립한 사설 교육 기관으로 오늘날의 지방사립대학교라고 볼 수 있다. 서원의 공간은 크게 성현(聖賢)에 대한 제사를 지내는 건물인 사우(祠宇)와 청소년을 교육하는 서재(書齋)로 나눌 수 있다. 서원의 교육은 원장(院長), 강장(講長), 훈장(<img src= "https://img1.daumcdn.net/thumb/R1280x0/?fname=http%3A%2F%2Ft1.daumcdn.net%2Fbrunch%2Fservice%2Fuser%2Fey0P%2Fimage%2FMwvd7h85tWyGetPGAe4g3a9gdFI.jpg" width="500" /> Wed, 19 Jun 2024 01:30:04 GMT 이재은 /@@ey0P/49 6. 답사의 신, 서원(書院)에 가다! -도동서원 - - 당일형 답사 /@@ey0P/48 1.서원(書院) 이야기 서원(書院)은 조선시대 성현(聖賢)에 대한 제사를 지내고 학자를 키우기 위해 전국 곳곳에 설립한 사설 교육 기관으로 오늘날의 지방사립대학교라고 볼 수 있다. 서원의 공간은 크게 성현(聖賢)에 대한 제사를 지내는 건물인 사우(祠宇)와 청소년을 교육하는 서재(書齋)로 나눌 수 있다. 서원의 교육은 원장(院長),<img src= "https://img1.daumcdn.net/thumb/R1280x0/?fname=https%3A%2F%2Ft1.daumcdn.net%2Fbrunch%2Fservice%2Fuser%2Fey0P%2Fimage%2Fm9gke9b2v3hdDHRfLy7DsHPFJ28.png" width="500" /> Wed, 29 May 2024 02:23:11 GMT 이재은 /@@ey0P/48 5. 답사의 신, 서원(書院)에 가다! - 필암서원 - - 당일형 답사 /@@ey0P/47 1. 서원(書院)&nbsp;이야기 서원(書院)은 조선 시대에 성현(聖賢)에 대한 제사를 지내고 학자를 키우기 위해 전국 곳곳에 설립한 사설 교육 기관으로 오늘날의 지방사립대학교라고 볼 수 있다. 서원의 공간은 크게 성현(聖賢)에 대한 제사를 지내는 건물인 사우(祠宇)와 청소년을 교육하는 서재(書齋)로 나눌 수 있다. 서원의 교육은 원장(院長), 강장(講長), 훈장<img src= "https://img1.daumcdn.net/thumb/R1280x0/?fname=http%3A%2F%2Ft1.daumcdn.net%2Fbrunch%2Fservice%2Fuser%2Fey0P%2Fimage%2F5Kab9ac9E3g2Q-NS-Q4urZtMfL8.png" width="300" /> Mon, 20 May 2024 05:18:50 GMT 이재은 /@@ey0P/47 4. 답사의 신, 서원(書院)에 가다! -도산서원 - /@@ey0P/46 1. 퇴계와 서원 Ⅰ 우리나라에서 한국사를 공부한 사람들이라면, 또 굳이 한국사를 공부하지 않아도 퇴계 선생을 모르는 사람은 없을 것이다.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이웃 중국이나 일본에서도 흠모하는 조선의 대학자이자 조선 성리학을 완성한 인물이라고 볼 수 있다. 이러한 퇴계에 대해 알아보려면 그의 학문적 성과만으로도 수많은 시간과 지면을 할애해야 하겠지만 <img src= "https://img1.daumcdn.net/thumb/R1280x0/?fname=https%3A%2F%2Ft1.daumcdn.net%2Fbrunch%2Fservice%2Fuser%2Fey0P%2Fimage%2FLLzk416hg3j_tYtLVL1ZxVONb7A.png" width="500" /> Thu, 16 May 2024 07:46:58 GMT 이재은 /@@ey0P/46 3. 답사의 신, 서원(書院)에 가다! - 옥산서원 - /@@ey0P/45 1. 서원(書院) 이야기 서원(書院)은 조선시대 성현(聖賢)에 대한 제사를 지내고 학자를 키우기 위해 전국 곳곳에 설립한 사설 교육 기관으로 오늘날의 지방사립대학교라고 볼 수 있다. 서원의 공간은 크게 성현(聖賢)에 대한 제사를 지내는 건물인 사우(祠宇)와 청소년을 교육하는 서재(書齋)로 나눌 수 있다. 서원의 교육은 원장(院長),<img src= "https://img1.daumcdn.net/thumb/R1280x0/?fname=https%3A%2F%2Ft1.daumcdn.net%2Fbrunch%2Fservice%2Fuser%2Fey0P%2Fimage%2FEM0992bypsI8pQ1Ory71XM8lU5A.jpg" width="500" /> Mon, 13 May 2024 03:47:46 GMT 이재은 /@@ey0P/45 2. 답사의 신, 서원(書院)에 가다! - 남계서원 - - 1박 2일형 답사 /@@ey0P/44 1. 서원(書院) 이야기 서원(書院)은 조선시대에 성현(聖賢)에 대한 제사를 지내고 학자를 키우기 위해 전국 곳곳에 설립한 사설 교육 기관으로 오늘날의 지방사립대학교라고 볼 수 있다. 서원의 공간은 크게 성현(聖賢)에 대한 제사를 지내는 건물인 사우(祠宇)와 청소년을 교육하는 서재(書齋)로 나눌 수 있다. 서원의 교육은 원장(院長)<img src= "https://img1.daumcdn.net/thumb/R1280x0/?fname=https%3A%2F%2Ft1.daumcdn.net%2Fbrunch%2Fservice%2Fuser%2Fey0P%2Fimage%2FYm3XcAWOXHdF-s_3gD0-Q-P7wu8.jpg" width="500" /> Fri, 26 Apr 2024 07:22:52 GMT 이재은 /@@ey0P/44 1. 답사의 신, 서원(書院)에 가다! -소수서원 - - 1박 2일형 답사 /@@ey0P/43 1. 서원(書院) 이야기 서원(書院)은 조선시대에 성현(聖賢)에 대한 제사를 지내고 학자를 키우기 위해 전국 곳곳에 설립한 사설 교육 기관으로 오늘날의 지방사립대학교라고 볼 수 있다. 서원의 공간은 크게 성현(聖賢)에 대한 제사를 지내는 건물인 사우(祠宇)와 청소년을 교육하는 서재(書齋)로 나눌 수 있다. 서원의 교육은 원장(院長)<img src= "https://img1.daumcdn.net/thumb/R1280x0/?fname=https%3A%2F%2Ft1.daumcdn.net%2Fbrunch%2Fservice%2Fuser%2Fey0P%2Fimage%2FuLWLd4v5DeXcT2H12hGVvtVWufE.jpg" width="500" /> Fri, 19 Apr 2024 07:17:13 GMT 이재은 /@@ey0P/43 34. 신들의 정원, 조선왕릉(王陵) - 영월 장릉 /@@ey0P/42 1. 조선왕릉 알아보기 『장릉(莊陵)』 - 강원도 영월 단종은 조선의 제6대 국왕으로 만 16세라는 어린 나이에 안타까운 죽음을 맞아 비운의 소년 군주라고도 불린다. 세종의 적장손이자 문종과 현덕왕후의 적장남으로 태어나 왕세손으로 책봉되었으며 세종이 사망한 뒤 문종이 보위에 오르면서 왕세자로 책봉되었다. 태어나자마자 어머니 현덕왕후<img src= "https://img1.daumcdn.net/thumb/R1280x0/?fname=https%3A%2F%2Ft1.daumcdn.net%2Fbrunch%2Fservice%2Fuser%2Fey0P%2Fimage%2Fr_ybdpR37Qpb-BmnPmj9Q9jpiyE.png" width="500" /> Tue, 09 Apr 2024 01:39:04 GMT 이재은 /@@ey0P/42 33. 신들의 정원, 조선왕릉(王陵) -김포 장릉 /@@ey0P/41 1.&nbsp;추존 원종과 인헌왕후의 능,&nbsp;『장릉(章陵)』 원종은 조선의 14대 왕인 선조의 아들이자, 16대 왕인 인조의 아버지이며 15대 왕인 광해군과는 이복형제이다. 선조와 인빈 김 씨의 셋째 아들로 선조 13년(1580) 경복궁 별전에서 태어났고, 선조 20년(1587) 정원군(定遠君)에 봉해졌다. 정원군은 임진왜란 때 아버지 선조를 모시면서 험난한 일을 겪<img src= "https://img1.daumcdn.net/thumb/R1280x0/?fname=http%3A%2F%2Ft1.daumcdn.net%2Fbrunch%2Fservice%2Fuser%2Fey0P%2Fimage%2F-z9qnQAojIb-ifK-aYt538hTK4U.png" width="500" /> Sun, 07 Apr 2024 23:12:30 GMT 이재은 /@@ey0P/41 32. 신들의 정원, 조선왕릉(王陵) -파주 장릉 /@@ey0P/40 1.&nbsp;인조와 인열왕후의 능,&nbsp;『장릉(長陵)』 인조는 조선의 제16대 임금으로 추존된 원종과 인헌왕후 구 씨의 첫째 아들로 선조 28년(1595)에 임진왜란 중 황해도 해주에서 태어났다. 이후 능양군에 봉해졌으며, 1623년 서인 정권과 함께 광해군을 폐위한 인조반정으로 왕위에 올랐다. 조선 왕조의 네 번째 반정인 인조반정으로 큰 아버지인 광해군과 그 지지 <img src= "https://img1.daumcdn.net/thumb/R1280x0/?fname=http%3A%2F%2Ft1.daumcdn.net%2Fbrunch%2Fservice%2Fuser%2Fey0P%2Fimage%2FTziQK_PtVhgpoDT4m7hRsldJe2c.png" width="500" /> Sun, 07 Apr 2024 23:09:25 GMT 이재은 /@@ey0P/40 31. 신들의 정원, 조선왕릉(王陵) - 남양주 홍유릉 - 1박 2일형 답사 /@@ey0P/39 1.&nbsp;조선왕릉 알아보기&nbsp;『홍릉(洪陵)과 유릉(裕陵)』&nbsp;-&nbsp;경기도 남양주 대한제국 고종과 명성황후의 무덤인 홍릉(洪陵), 순종과 두 황후의 무덤 유릉(裕陵)을 합쳐서 부르는 명칭이다. 일단 능원은 따로지만 바로 옆에 붙어 있기 때문에 홍유릉으로 합쳐 부른다. 소재지인 경기도 남양주시 금곡동의 이름을 따서, 때론 '금곡릉'이라 불리기도 한다. 이 외에도 엄밀<img src= "https://img1.daumcdn.net/thumb/R1280x0/?fname=http%3A%2F%2Ft1.daumcdn.net%2Fbrunch%2Fservice%2Fuser%2Fey0P%2Fimage%2FXESwxva6k9TzNzqD8_ZvZ3k4fEc.png" width="500" /> Fri, 05 Apr 2024 01:07:15 GMT 이재은 /@@ey0P/39 30. 신들의 정원, 조선왕릉(王陵) - 서울 정,의릉 /@@ey0P/38 1.&nbsp;신덕왕후의 능,&nbsp;『정릉(貞陵)』&nbsp;-&nbsp;서울시 성북구 정릉은 태조 이성계의 계비인 신덕왕후의 능으로 현재 사적 제199호로 지정되어 있으며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된 공인 문화재이다. 신덕왕후는 조선 개국 이후 최초의 왕비였지만, 두 아들을 태조 7년(1398) 왕자의 난으로 모두 잃은 비운의 여성이다. 신덕왕후 강 씨의 집안은 고려의 권문세가로서<img src= "https://img1.daumcdn.net/thumb/R1280x0/?fname=http%3A%2F%2Ft1.daumcdn.net%2Fbrunch%2Fservice%2Fuser%2Fey0P%2Fimage%2Fbemdan__Rls4xI-mhcs-HwB6JWs.jpg" width="500" /> Thu, 04 Apr 2024 01:16:01 GMT 이재은 /@@ey0P/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