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잘러의 전략 /@@gGrW 22년차 직장인입니다. 일잘러의 전략적인 직장생활을 나누고자 합니다. ko Wed, 30 Apr 2025 08:29:18 GMT Kakao Brunch 22년차 직장인입니다. 일잘러의 전략적인 직장생활을 나누고자 합니다. //img1.daumcdn.net/thumb/C100x100.fjpg/?fname=http%3A%2F%2Ft1.daumcdn.net%2Fbrunch%2Fservice%2Fuser%2FgGrW%2Fimage%2FAYW8mxdNvHwrzscqQMb0GAV0OR4 /@@gGrW 100 100 워드를 2배 잘하는 전략 - 일잘러가 되보자 /@@gGrW/22 대부분의 회사들이 Word를 이용해서 보고서를 쓰고 있는데, 회사마다 다양한 포맷으로 작성되기 때문에 정형화된 Template 은 없다. 하지만, 대학시절 사용하던 워드와 직장에 입사해서 사용하는 워드와의 차이점을 말한다면, 그것은 주어진 포맷이나 Template, 자동 완성 기능을 따라 만들 것인가, 아니면, 기존의 자동 완성 기능이나 줄간격을 탈피하고<img src= "https://img1.daumcdn.net/thumb/R1280x0/?fname=https%3A%2F%2Ft1.daumcdn.net%2Fbrunch%2Fservice%2Fuser%2FgGrW%2Fimage%2FVNBU30kr3QVgy-ma_8pcm4fpiJ8.jpg" width="500" /> Fri, 25 Apr 2025 22:00:00 GMT 일잘러의 전략 /@@gGrW/22 경영 수업 (피터 드러커) - 일잘러의 추천 도서 /@@gGrW/25 경영의 고전이자 필독서라고 할 만큼 인사이트가 무궁무진했던 책을 하나 소개하려고 한다. &quot;피터 드러커 경영 수업&quot;이라는 책이다. 인사이트가 많지만, 그 중에서 딱 3가지만 짧게 소개하겠다. (경영자를 위한 책이지만, 리더이던 신입이던 직장 생활에서 일잘러가 되기 위해 (어쩌면 먼 미래의 경영자가 되기 위해) 경영자의 마인드를 엿볼 수 있는 책이니 시간내서<img src= "https://img1.daumcdn.net/thumb/R1280x0.fjpg/?fname=https%3A%2F%2Ft1.daumcdn.net%2Fbrunch%2Fservice%2Fuser%2FgGrW%2Fimage%2Fetx-A3VuCgQ0vlmsmwKTIcCv3Fo" width="500" /> Wed, 23 Apr 2025 20:38:41 GMT 일잘러의 전략 /@@gGrW/25 Be prepared (묻기 전에 대답하기) - 일잘러의 전략 /@@gGrW/24 묻기 전에 대답을 하는 것이 가능할까? 학창 시절을 돌이켜보면 출제자의 의도를 파악해서 미리 예상문제를 뽑아서 공부하는 사람(내가 선생님이라면 무슨 문제를 낼까?)의 성적이 그냥 막무가내로 공부하는 사람의 성적보다 좋을 수밖에 없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공부라는 것은 노력도 중요하지만, 원리를 파악하는 것이 기본이라는 말처럼 직장 생활에 있어서도 미리 Mon, 21 Apr 2025 19:42:25 GMT 일잘러의 전략 /@@gGrW/24 파워포인트를 2배 잘하는 전략 - 일잘러가 되기 /@@gGrW/21 파워포인트는 다양한 목적으로 활용된다. 가장 많이 쓰는 경우가 경영진 보고일 텐데, 직접 발표를 해보면 어떻게 만들어야겠다는 생각이 정리될 것이다. 요새는 보고서도 단순화하거나 별도로 자료를 준비하지 않고 엑셀 파일 띄워서 보고하는 등 업무 효율화 측면에서 파워포인트의 사용을 줄이는 편이지만, 여전히 파워포인트는 이 소프트웨어의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Fri, 18 Apr 2025 22:00:00 GMT 일잘러의 전략 /@@gGrW/21 엑셀을 2배 잘하는 전략 - 엑셀의 달인이 되자 /@@gGrW/20 회사에서 나의 닉네임은 '엑셀의 달인'이다. 이 닉네임을 언제부터 넣었는지는 잘 기억이 안 나지만 한 20년쯤 된 것 같다. 당연히 엑셀을 입사하기 전부터 잘했던 것은 아니었다. 입사 후 첫해에 나는&nbsp;마케팅으로 배정이 되었고, 당연히 나의 업무 중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매일 한 페이지의 보고서를 만드는 일이었다. 이 한 페이지는 엑셀로 만든 보고서였고 Fri, 11 Apr 2025 22:00:01 GMT 일잘러의 전략 /@@gGrW/20 파일명에서부터 일잘러는 다르다 - 스피드와 정확도, 두마리 토끼를 잡는 시작 /@@gGrW/19 지난 글에서 스피드와 정확도, 두 마리의 토끼를 잡을 수 있는 방법을 이야기했었는데, 요약해 보면 이렇다. - 수작업을 줄이고 자동화해야 한다. (다음번에 같은 일을 또 하게 될 것을 준비) - 최소한으로 업무 동선을 줄여야 한다. (마우스 대신에 키보드를 사용) - 사용하는 도구를 줄인다. (업무의 복잡도를 최소한으로 줄인다.) 오늘은 다른 사람에게 Fri, 04 Apr 2025 22:00:02 GMT 일잘러의 전략 /@@gGrW/19 스피드 / 정확도 - (일잘러의 전략이란?) /@@gGrW/18 전략이란? 흔히 전략이라고 하면, 제갈공명 같은 사람들을 많이 떠올리지만, 사실 우리 모두는 어느정도 전략을 가지고 있다. 예를 들어, 직장에서 회의를 들어가면서, 예상되는 질문에 대답을 준비하는 것이나, 여행을 떠날 때 준비물을 챙기는 것들도 작은 범주에서는 전략이라고 할 수 있다(계획이라고도 한다). 아주 쉽게 설명하자면, 전략은 현재의 상황을 알 Fri, 28 Mar 2025 23:00:10 GMT 일잘러의 전략 /@@gGrW/18 완벽한 회의 준비 전략 - 일잘러가 되보자 /@@gGrW/23 효율적인 회의 진행을 위해서 사전 준비는 필수적이라고 한다. 하지만, 어떻게? 회의 준비에 대한 글들을 읽어보면 대략적으로 이런 코멘트가 많다. 명확한 목적 설정, 효과적인 아젠다 작성, 관련 자료 미리 공유, 여유 시간 배분 등등. 하지만, 일단 회의를 준비할 시간이 없다. 그리고, 회의가 너무 많다. (그래서 준비할 시간이 없다) 실제로 내가 Fri, 28 Mar 2025 00:00:18 GMT 일잘러의 전략 /@@gGrW/23 워드 2배 잘하는 방법 - 일잘러의 전략 /@@gGrW/16 대부분의 회사들이 Word를 이용해서 보고서를 쓰고 있는데, 회사마다 다양한 포맷으로 작성되기 때문에 정형화된 Template 은 없다. 하지만, 대학시절 사용하던 워드와 직장에 입사해서 사용하는 워드와의 차이점을 말한다면, 그것은 주어진 포맷이나 Template, 자동 완성 기능을 따라 만들 것인가, 아니면, 기존의 자동 완성 기능이나 줄간격을 탈피하고<img src= "https://img1.daumcdn.net/thumb/R1280x0/?fname=https%3A%2F%2Ft1.daumcdn.net%2Fbrunch%2Fservice%2Fuser%2FgGrW%2Fimage%2FVNBU30kr3QVgy-ma_8pcm4fpiJ8.jpg" width="500" /> Wed, 26 Mar 2025 16:01:48 GMT 일잘러의 전략 /@@gGrW/16 파워포인트 2배 잘하는 방법 - 일잘러의 전략 /@@gGrW/15 파워포인트는 다양한 목적으로 활용된다. 가장 많이 쓰는 경우가 경영진 보고일 텐데, 직접 발표를 해보면 어떻게 만들어야겠다는 생각이 정리될 것이다. 요새는 보고서도 단순화하거나 별도로 자료를 준비하지 않고 엑셀 파일 띄워서 보고하는 등 업무 효율화 측면에서 파워포인트의 사용을 줄이는 편이지만, 여전히 파워포인트는 이 소프트웨어의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Thu, 20 Mar 2025 04:28:06 GMT 일잘러의 전략 /@@gGrW/15 엑셀 2배 잘하는 방법 - 일잘러의 전략 /@@gGrW/14 회사에서 나의 닉네임은 '엑셀의 달인'이다. 이 닉네임을 언제부터 넣었는지는 잘 기억이 안 나지만 한 20년쯤 된 것 같다. 당연히 엑셀을 입사하기 전부터 잘했던 것은 아니었다. 입사 후 첫해에 나는 마케팅으로 배정이 되었고, 당연히 나의 업무 중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매일 한 페이지의 보고서를 만드는 일이었다. 이 한 페이지는 엑셀로 만든 보고서였고 Sun, 16 Mar 2025 20:24:00 GMT 일잘러의 전략 /@@gGrW/14 엑셀을 꼭 잘해야 하는 건가? - 일잘러의 전략 /@@gGrW/13 엑셀을 꼭 잘해야 하는가? 아니다. 못해도 할 수 있는 일을 찾으면 된다. 하지만, 숫자를 다루는 업무에 직접적으로 연관이 없다라도 숫자에 대한 감을 가지고 일을 하는 것은 중요하다. 예를 들어 제품별 매출이나 손익 트렌드를 머릿속에 가지고 일을 하는 사람과, 그냥 무턱대고 열심히 일하는 사람과는 분명 다른 결과를 얻게 될 것이다. 신입 사원 교육을 Sat, 01 Mar 2025 09:17:50 GMT 일잘러의 전략 /@@gGrW/13 파일명에서부터 일잘러는 다르다 - 일잘러의 전략 /@@gGrW/12 지난 글에서 스피드와 정확도, 두 마리의 토끼를 잡을 수 있는 방법을 이야기했었는데, 요약해 보면 이렇다. - 수작업을 줄이고 자동화해야 한다. (다음번에 같은 일을 또 하게 될 것을 준비) - 최소한으로 업무 동선을 줄여야 한다. (마우스 대신에 키보드를 사용) - 사용하는 도구를 줄인다. (업무의 복잡도를 최소한으로 줄인다.) 오늘은 다른 사람에게 Wed, 26 Feb 2025 22:28:13 GMT 일잘러의 전략 /@@gGrW/12 스피드? 정확도? - 일잘러의 전략 /@@gGrW/9 일을 잘한다는 정의는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겠지만, 직장 생활을 하는 사람들에 대한 평가를 보편적으로 본다면, 일을 빨리하고, 정확히 하는 사람이 일을 잘한다는 이야기를 듣게 됩니다. 아무리 일을 빨리해도 매사에 실수투성이라면 일을 잘한다는 이야기를 듣을 수 없을 것이고요. 일을 아무리 정확하게 잘 해도, 시간이 오래 걸린다면 마찬가지로 일을 잘한다는 Tue, 25 Feb 2025 11:29:25 GMT 일잘러의 전략 /@@gGrW/9 전략이란 무엇인가? - 일잘러의 전략 /@@gGrW/11 흔히 전략이라고 하면, 제갈공명 같은 사람들을 많이 떠올리지만, 사실 우리 모두는 어느정도 전략을 가지고 있다. 예를 들어, 직장에서 회의를 들어가면서, 예상되는 질문에 대답을 준비하는 것이나, 여행을 떠날 때 준비물을 챙기는 것들도 작은 범주에서는 전략이라고 할 수 있다(계획이라고도 한다). 아주 쉽게 설명 하자면, 전략은 현재의 상황을 알고, 목표를 Tue, 25 Feb 2025 11:28:07 GMT 일잘러의 전략 /@@gGrW/11 일잘러의 전략 - 일잘러의 전략 /@@gGrW/10 안녕하세요. 먼저 제 소개를 해야겠네요. ^^ 지금까지 했던 주요 업무는 마케팅, SCM, IT, 물류, 전략 등이 있구요. 보유하고 있는 자격증은 CSCP (Certified Supply Chain Professional, APICS) 가 있습니다. 한 직장에서 22년간 있으면서 얻은 직장생활의 전략을 나누하려고 합니다. 해외 취업, 직장 생활을 통 Tue, 25 Feb 2025 11:26:22 GMT 일잘러의 전략 /@@gGrW/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