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hape Lim /@@gqMT 로보틱스/SLAM 분야로 박사 학위를 받고 우당탕탕 살아가는 중. 포닥 생활, 대학원 생활, 나의 삶의 추억이 휘발되기 전에 이렇게 글로 남깁니다 총총 ko Tue, 29 Apr 2025 13:26:56 GMT Kakao Brunch 로보틱스/SLAM 분야로 박사 학위를 받고 우당탕탕 살아가는 중. 포닥 생활, 대학원 생활, 나의 삶의 추억이 휘발되기 전에 이렇게 글로 남깁니다 총총 //img1.daumcdn.net/thumb/C100x100/?fname=http%3A%2F%2Ft1.daumcdn.net%2Fbrunch%2Fservice%2Fuser%2FgqMT%2Fimage%2FcR0FDdoLgjwaIf-aIvN3jIZeMW0.png /@@gqMT 100 100 자율주행의 시대는 정말로 기술로부터 오는가? - 자율 주행과 사회적 수용에 대한 넋두리 /@@gqMT/30 아무래도 자율주행이나 SLAM 쪽을 연구하다 보니, 개인적으로 &ldquo;자율주행의 시대는 정말 올까요?&rdquo; 라는 질문을 자주 받습니다. 현문우답일 수도 있지만 저는 이 질문에 대해서 &quot;사람들이 자율주행을 받아들일 수 있는 시점이 되면 온다&quot; 고 믿고 있습니다. 인간의 본능적 두려움과 관련된 자율주행? 제자리에 가만히 있는 대부분의 전자기기들과 달리, 자율주행<img src= "https://img1.daumcdn.net/thumb/R1280x0/?fname=http%3A%2F%2Ft1.daumcdn.net%2Fbrunch%2Fservice%2Fuser%2FgqMT%2Fimage%2FBESB9kIyMx0jAf4hYlUBzUrZSlk.png" width="500" /> Tue, 22 Apr 2025 02:02:07 GMT Shape Lim /@@gqMT/30 컴퓨터비전&middot;로보틱스 알고리즘 이름 짓는 꿀팁 - MIT 포닥이 알려주는 생생 Methodology 이름 짓기 /@@gqMT/19 Introduction 늘 연구 동료들과 코웍을 하다보면 최종적으로 알고리즘의 이름을 짓는 데에서 브레인스토밍을 하는데요, 같은 내용을 여러 번 일일이 설명하는 게 꽤나 번거롭다 보니&nbsp;&nbsp;차라리 제 생각을 더 잘 정리해서 글로 적어두는 것이&nbsp;효율적일 것 같다고 생각했습니다. 순전히 저의 경험을 바탕으로 한 100% 주관적인 의견이지만, 익혀두시면 큰 도<img src= "https://img1.daumcdn.net/thumb/R1280x0/?fname=http%3A%2F%2Ft1.daumcdn.net%2Fbrunch%2Fservice%2Fuser%2FgqMT%2Fimage%2F38NRWOCMlGbCYpo0bapZVuLaPno.png" width="500" /> Fri, 07 Feb 2025 16:01:59 GMT Shape Lim /@@gqMT/19 대학원생이 진학 후 알아두면 좋을 세 가지 - 내가 그 당시 몰라서 하지 못 했던 것들 /@@gqMT/25 오늘은 대학원생이 된 당신의 미래에 도움이 될 세 가지를 공유하고자 한다. 참고로 나에게도 누군가가 석사 시기 즈음에 말해줬다면 좋았을 텐데, 불행히 나는 다 몸으로 부딪혀가며(?) 경험을 통해 알게 되었다. 부디 이 글을 읽는 분은 모쪼록 현명하게 대처하시길! 1. 어디라도 메일 주소를 **절대** 직접적으로 기입하지 않는다 이 것은 지도교수님께서 알<img src= "https://img1.daumcdn.net/thumb/R1280x0/?fname=http%3A%2F%2Ft1.daumcdn.net%2Fbrunch%2Fservice%2Fuser%2FgqMT%2Fimage%2FmbS9COSmcfTpiUJSHXFSyTZRc_A.png" width="500" /> Thu, 24 Oct 2024 04:22:01 GMT Shape Lim /@@gqMT/25 대학원 진학 전, 스스로 꼭 체크할 것들 (2) - 2. 나는&nbsp;학점 외에 무언가에&nbsp;몰입해서 성취해 본 경험이 있는가? /@@gqMT/23 [체크리스트 2] 나는 학부 시절 무언가에&nbsp;매진해 본 경험이 있는가? 만약 내가 나중에 교수가 된다면, 대학원 진학을 고려하는 학부생들을 선발하기 전에 꼭 학부 시절, 학점&nbsp;외에 무언가에 몰입해서 성취해 본 경험이 있는가? 라고 물어봐야지 하고 생각하고 있었다. 그리고 놀랍게도, 최근에 어떤 CEO분을 만났는데, 해당 CEO님도 이런 '몰입의 경험'에<img src= "https://img1.daumcdn.net/thumb/R1280x0.fjpg/?fname=http%3A%2F%2Ft1.daumcdn.net%2Fbrunch%2Fservice%2Fuser%2FgqMT%2Fimage%2FL0Sk6fUpR0T8IV99FNAhYIsC7l4.PNG" width="500" /> Sun, 13 Oct 2024 20:53:48 GMT Shape Lim /@@gqMT/23 대학원 진학 전, 스스로 꼭 체크할 것들 (1) - 1.&nbsp;나는 능동적인 삶을 살아왔는가? /@@gqMT/21 스스로 되돌아보기 위한 5가지 체크 리스트 많은 대학원 관련 글들에서, 대학원 진학을 고민할 때 해당 연구실의 주제로 최소 몇 년간 꾸준히 연구할 자신이 있는지, 해당 분야가 자신이 졸업하는 시점에도 여전히 전망이 있는 분야인지, 그리고 자신이 산/학/연 중 '학'에 적합한지 생각해 보라고들 한다. 하지만, 이 것을 학부생 입장에서 어떻게 알 수 있겠는가<img src= "https://img1.daumcdn.net/thumb/R1280x0/?fname=http%3A%2F%2Ft1.daumcdn.net%2Fbrunch%2Fservice%2Fuser%2FgqMT%2Fimage%2FV7gkNu30pZueaXdJK1c6yVa9D1I.png" width="500" /> Sun, 13 Oct 2024 19:44:13 GMT Shape Lim /@@gqMT/21 대학원 진학 전, 스스로 꼭 체크할 것들 (0) - Introduction: 대학원 생활이 나에게 잘 맞을까 /@@gqMT/20 대학원 진학. 인생의 큰 전환점이다. 누군가는 대학원 생활을 결혼과 굉장히 동치 되는 개념이라고 얘기하기도 한다.&nbsp;다들 그 생활이 힘들다고 하지만, 정작&nbsp;졸업 후에는&nbsp;다들 어딘가에서 좋은 직장을&nbsp;잡고 잘 살아가는&nbsp;점에서 굉장히 유사하다&nbsp;(특히, 앞서 경험한 사람들 대부분이 &quot;하지 말라&quot;라고 충고하는 점에서도 둘의 유사성을 느낄 수 있다 lol). 현재 많<img src= "https://img1.daumcdn.net/thumb/R1280x0.fjpg/?fname=http%3A%2F%2Ft1.daumcdn.net%2Fbrunch%2Fservice%2Fuser%2FgqMT%2Fimage%2FPwNlKyvxJLd1UeFHQj1sfuUTpoQ.PNG" width="500" /> Sun, 13 Oct 2024 19:09:43 GMT Shape Lim /@@gqMT/20 T-FR 리뷰 후기, 리뷰 질문 리스트 공유 - 생생 Transaction on Field Robotics 리뷰 후기 /@@gqMT/18 그리고 나도 현재 우리 분야의 대가인 교수님 아래에서 일하다 보니, T-FR 논문 리뷰를 할 기회가 있었다. 그런데 리뷰를 하며 깜짝 놀란 부분은, 리뷰 질문 리스트가 굉장히 상세히 세분화되어 있다는 것이다. 특히, 이 질문 리스트에는 좋은 답변을 받을 수 있을지 저자의 입장에서 다시 한번 생각해 보면 좋을 질문들이 많았다. 그래서 혹시 나중에 (미래의) <img src= "https://img1.daumcdn.net/thumb/R1280x0/?fname=http%3A%2F%2Ft1.daumcdn.net%2Fbrunch%2Fservice%2Fuser%2FgqMT%2Fimage%2FazX2VuMXEDQ-zU4-ZzzTTqBTlGQ.jpg" width="500" /> Sat, 28 Sep 2024 14:59:43 GMT Shape Lim /@@gqMT/18 박사 3년 졸업하기 (2): 학위 논문에 대한 이해 - 다작보다 학위 논문 주제와 관련된 연구를 일관성 있게 하자 /@@gqMT/16 (이 글은 이전 글과 이어집니다) 자, 논문이란 것에 대한 이해를 잘했다고 치자. 그 이후에는 이제 무엇을 해야 할까? 마냥 논문을 많이 투고하면 지도교수님께서 알아서 졸업시켜 주실까? 아쉽게도&nbsp;그렇지 않다. 이번 글에서는 논문 자체를 잘 이해했다는 가정하에, 이제 '어떤 주제의 논문을 투고해야 하는가?'에 대해 알아보자. 한 줄로 요약하자면, 졸업을 위<img src= "https://img1.daumcdn.net/thumb/R1280x0/?fname=http%3A%2F%2Ft1.daumcdn.net%2Fbrunch%2Fservice%2Fuser%2FgqMT%2Fimage%2FBwkUgEEKlXkBAz1Hsl2_PqxI8hI.jpg" width="500" /> Sun, 07 Jul 2024 03:32:35 GMT Shape Lim /@@gqMT/16 박사 후 연구원 J1 비자 발급 빨리 받기 - 야 너두! J-1 빨리 받을 수 있어! /@@gqMT/13 포닥으로 임용하겠다는 PI의 결정을 듣는 순간, 모든 것이 끝났다고 생각했다. 하지만 아니었다! 포닥으로 해외에 체류하기 위한 서류 처리를 준비하면서 가장 먼저 느꼈던 점은 '연구 연가를 가시는 교수님들은 이런 복잡한 과정을 몇 년에 한 번씩 해야 한다는 말이야?'라는 생각이 들 만큼, 서류 처리 과정이 처음 해보면 굉장히 복잡하고 신경 써야 하는 것이 많<img src= "https://img1.daumcdn.net/thumb/R1280x0/?fname=http%3A%2F%2Ft1.daumcdn.net%2Fbrunch%2Fservice%2Fuser%2FgqMT%2Fimage%2FKMOeHBl_Db4kLf7ZSEVoZ-P_i4k.png" width="500" /> Sat, 06 Apr 2024 17:55:40 GMT Shape Lim /@@gqMT/13 박사 3년 졸업하기 (1): '논문'에 대한 이해 - '논문 쓰기'를 한 문장으로 표현한다면? /@@gqMT/2 글을 열기 전, 먼저 부족한 저를 3년 만에 졸업시켜 주신, 저의 지도교수님이신 명현 교수님께 감사의 마음을 전합니다 연구 논문 작성법 관련해서 학부생 4학년부터&nbsp;석사 1년 차까지를&nbsp;대상으로 하는 세미나를 초청드리고 싶은데요, &quot; 나를 좋게 봐주시던 K대의 한&nbsp;교수님께서 학부생 고학년들과 막 대학원에 입학한&nbsp;학생들을 위해서 갓 졸업한 파릇파릇한 박사로<img src= "https://img1.daumcdn.net/thumb/R1280x0/?fname=http%3A%2F%2Ft1.daumcdn.net%2Fbrunch%2Fservice%2Fuser%2FgqMT%2Fimage%2F0edBCEzib2tPJgfK-JMPFh83dL4.jpg" width="500" /> Sun, 28 Jan 2024 13:51:11 GMT Shape Lim /@@gqMT/2 Introduction: MIT 포닥?! - 일개 박사과정인 내가 이세계에선 MIT 포닥?! /@@gqMT/1 부산에서 대전으로 유학을 떠난 지 어언 10년. 어찌 저째 우당탕탕 살다 보니, MIT의 Luca Carlone 교수님께&nbsp;포닥으로 간택되어(?)&nbsp;내년 4월 1일부로 MIT로 출근하게 되었다. 석사 진학을 할 때에도, 하물며 1년 전만 해도 내가 해외로 포닥을 나가거나, 특히 MIT에서 일하게 될 줄은 상상도 못 했는데!&nbsp;마침 이번 주에 미국 대사관에 가서 <img src= "https://img1.daumcdn.net/thumb/R1280x0/?fname=http%3A%2F%2Ft1.daumcdn.net%2Fbrunch%2Fservice%2Fuser%2FgqMT%2Fimage%2Fi9EojAqxiUnRKFEVmJzXuIZNaNU.jpg" width="500" /> Mon, 22 Jan 2024 05:32:48 GMT Shape Lim /@@gqMT/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