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움 김종훈 살뜻한 이웃 /@@h7LY 다움 김종훈 살뜻한 이웃의 브런치스토리입니다. ko Mon, 05 May 2025 23:17:23 GMT Kakao Brunch 다움 김종훈 살뜻한 이웃의 브런치스토리입니다. //img1.daumcdn.net/thumb/C100x100/?fname=http%3A%2F%2Fk.kakaocdn.net%2Fdn%2Fn4ipx%2FbtsIIzqJRJX%2FQajOCO0DIOpbM0EVt3IzuK%2Fimg_640x640.jpg /@@h7LY 100 100 어린이날, 진주의 어린이와 미래를 위한 발걸음 - 출산율 제고를 위한 실질적 제안 /@@h7LY/20 5월 5일 어린이날, 진주 곳곳이 아이들의 웃음으로 환해집니다. 진주성 야외무대에서는 가족이 함께 즐길 수 있는 공연과 체험행사가, 경남문화예술회관 앞마당에서는 풍선과 버블쇼가 펼쳐지고, 진주시립박물관과 국립진주박물관에서도 전통놀이 체험과 어린이 교육 프로그램이 이어집니다. 그런데 여러분, 우리는 오늘을 살고 있지만, 과거 어린이의 권리를 위해 싸웠던 Sun, 04 May 2025 23:39:28 GMT 다움 김종훈 살뜻한 이웃 /@@h7LY/20 눅눅한 삶을 털고, 높낮이 없는 세상으로 - 세계 노동절 전야 /@@h7LY/19 1998년 6월 30일, ROTC 육군 중위로 전역한 뒤 저는 다시 교단에 섰습니다. 동주여자고등학교에서 시작해 부일전자디자인고, 진주혜광학교, 거성중학교, 남해중학교, 통영중앙중학교 등 정말 많은 학교에서 학생들과 함께 호흡해 왔습니다. 그 과정에서 저는 단순히 '교사'로서가 아니라 한 사회의 구성원으로서, 노동자로서의 제 삶을 돌아보 Wed, 30 Apr 2025 14:01:53 GMT 다움 김종훈 살뜻한 이웃 /@@h7LY/19 숨겨진 정원을 걷다, 오래된 기억을 만나다. - 오늘 강의를 듣고 배우다 느끼고 실천하고 싶다. /@@h7LY/18 오늘, 『나의 문화유산답사기』의 유홍준 교수님을 직접 만나 강연을 듣는 뜻깊은 시간을 가졌습니다. &quot;우리나라 숨겨진 정원 이야기&quot;를 통해, 우리가 미처 알지 못했던 아름다운 공간들과 그 안에 흐르는 시간의 깊이를 느낄 수 있었습니다. 강연이 끝난 후, 교수님께 직접 사인도 받고 함께 사진도 찍었습니다. 대학 시절, 『나의 문화유산답사기』 책 한 Mon, 28 Apr 2025 14:51:35 GMT 다움 김종훈 살뜻한 이웃 /@@h7LY/18 『개선문』 &ndash; 잊히는 자들의 도시에서 사랑을... - 에리히 마리아 레마르크의 시대적 소설 읽기 /@@h7LY/17 제목: 『개선문』 &ndash; 잊히는 자들의 도시에서 사랑을 외치다 에리히 마리아 레마르크의 시대적 소설 읽기 &ldquo;승리의 문 아래, 패배한 인간들이 서 있었다.&rdquo; 파리를 대표하는 건축물 &lsquo;개선문&rsquo;(Arc de Triomphe). 그 거대한 아치 아래로 수많은 사람들이 지나간다. 영광을 기리는 기념비지만, 레마르크의 『개선문』은 그것을 다르게 본다. 그 Fri, 25 Apr 2025 00:41:43 GMT 다움 김종훈 살뜻한 이웃 /@@h7LY/17 티핑포인트의 설계자들 이야기 - 유형은 어떻게 만들어지는가? /@@h7LY/16 [트렌드는 어떻게 만들어지는가: 『티핑 포인트의 설계자들』이야기] 요즘 유행은 왜 유행일까요? 누가 시작하고, 왜 갑자기 모두가 따라 하게 될까요? 우리는 트렌드를 자연스러운 흐름처럼 받아들이지만, 그 이면에는 정교한 &lsquo;설계자들&rsquo;이 있다는 흥미로운 분석이 있습니다. 말콤 글래드웰의 『티핑 포인트』는 이미 20여 년 전, 유행과 사회적 전염(social c Fri, 25 Apr 2025 00:23:41 GMT 다움 김종훈 살뜻한 이웃 /@@h7LY/16 우리는 대화로 존재합니다. - 대화하는 뇌 독서 토론 후기 /@@h7LY/15 [우리는 '대화'로 존재합니다] &ldquo;말은 기억을 만들고, 현실을 구성하며, 미래를 설계한다.&rdquo; 이 문장은 『대화하는 뇌』가 전하는 강력한 메시지입니다. 대화는 단순한 말의 주고받기가 아닙니다. 우리 뇌는 이야기할 때 서로 동기화되고, 공감하며, 공동체를 형성합니다. 신뢰는 중요한 회의가 아니라 잡담에서 시작되고, 미래는 전문가의 머리가 아 Thu, 24 Apr 2025 14:26:11 GMT 다움 김종훈 살뜻한 이웃 /@@h7LY/15 과학과 철학의 경계에서 - 지속 가능한 문명을 위한 새 길을 묻다. /@@h7LY/14 과학과 철학의 경계에서, 지속 가능한 문명을 위한 새 길을 묻다. &ldquo;철학 없는 기술은 어디로 가는가?&rdquo; 우리는 지금, 기술이 인간을 앞질러 달리는 시대에 살고 있습니다. 하지만 방향은 누가 정하고 있나요? AI는 인간의 지능을 닮아가고 있지만, 그 기술을 설계하는 우리의 사고방식은 여전히 산업시대에 머물러 있습니다. 기술이 단지 편리함을 넘어서 삶의<img src= "https://img1.daumcdn.net/thumb/R1280x0.fjpg/?fname=http%3A%2F%2Ft1.daumcdn.net%2Fbrunch%2Fservice%2Fuser%2Fh7LY%2Fimage%2F8t7UYBM1ZPcLbv-v4ZlvwO_MNAU" width="500" /> Mon, 21 Apr 2025 15:30:55 GMT 다움 김종훈 살뜻한 이웃 /@@h7LY/14 욕망과 통제 넘어 - 디지털 디톡스를 위한 불교 심리학과 신경과학의 통합적 /@@h7LY/13 욕망과 통제 넘어: 디지털 디톡스를 위한 불교 심리학과 신경과학의 통합적 국가 전략 제안 국문 초록 디지털 게임 및 도박 중독은 다차원적 공중보건 위기로 점차 인식되고 있다. 심리학적, 사회적, 신경생물학적 기제들이 이미 다각도로 연구되었지만, 불교 심리학은 중독의 근원을 &lsquo;자아에 대한 집착(Ātman)&rsquo;으로 간주하는 철학적&middot;치유적 틀을 제공한다. 본 Mon, 21 Apr 2025 00:26:23 GMT 다움 김종훈 살뜻한 이웃 /@@h7LY/13 윤리적 의식의 진화와 뇌과학 - 알고리즘 사회에서 인간 주체성의 위기 /@@h7LY/12 윤리적 의식의 진화와 뇌과학: 알고리즘 사회에서 인간 주체성의 위기 초록: 본 연구는 현대 사회에서 뇌과학의 발전과 윤리적 의식의 변화가 어떻게 상호작용하며 인간 주체성에 영향을 미치는지 탐구한다. 특히 유튜브와 쇼츠와 같은 디지털 플랫폼에서 활용되는 알고리즘이 인간의 인지 구조와 가치 판단 체계를 형성하는 방식과 이 과정에서 데이터를 조작하는 주체의 Fri, 18 Apr 2025 14:32:34 GMT 다움 김종훈 살뜻한 이웃 /@@h7LY/12 진정한 독립국가는 무엇인가 &ndash; 영화 《제로썸》을 보고 - 자성자각(自性自覺), 자심자계(自心自戒) /@@h7LY/11 &ldquo;착한 사람은 흥하고, 악한 사람은 망한다.&rdquo; 이 단순한 진리를 이해하고 실천하기까지, 우리는 얼마나 더 많은 시간을 흘려보내야 할까요? &ldquo;아직도 세월호를 말하느냐&rdquo;는 질문 앞에서 진주에서는 매달 첫째 주 토요일, 세월호를 기억하는 작은 행사가 조용히 이어지고 있습니다. ​어떤 이는 묻습니다. &ldquo;아직도 세월호를 말하느냐&rdquo;라고 그 말에 나는 묻고 싶어 집니 Fri, 18 Apr 2025 12:54:27 GMT 다움 김종훈 살뜻한 이웃 /@@h7LY/11 헌법 재판소의 결단 - 진주민주시민사랑방 정기총회 낭독문 /@@h7LY/10 진주민주시민사랑방 정기총회 자리에서 헌법재판소 탄핵 결정을 되새기는 시 낭독문입니다. 사회적 메시지와 공동체적 각성을 강조하며 몇 자 적어 봅니다. [헌법 재판소의 결단] &ndash; 진주민주시민사랑방 정기총회 낭독문 &ndash; 사랑하는 시민 여러분, 오늘 이 자리는 단순한 총회가 아니라 우리 시대의 민주주의와 헌법 가치를 다시금 마음 깊이 새기는 자리입니다. Sat, 12 Apr 2025 00:33:11 GMT 다움 김종훈 살뜻한 이웃 /@@h7LY/10 대한민국 국정철학 정립을 위한 심물논리철 기반 - K-Initiative의 국제적 정합성 연구 /@@h7LY/9 대한민국 국정철학 정립을 위한 심물논리철 기반 K-Initiative의 국제적 정합성 연구 초록 본 논문은 대한민국 대통령이 되고자 하는 이재명이 제안한 국정 운영 전략 &quot;K-Initiative&quot;의 철학적 정당성과 국제적 정합성을 확보하기 위한 방안으로, 한국 전통 철학이자 신흥종교에서 재해석된 &quot;심물논리철(心物論理哲)&quot;을 적용하는 방안을 제시한다. 생명 Fri, 11 Apr 2025 00:24:23 GMT 다움 김종훈 살뜻한 이웃 /@@h7LY/9 그날, 마을은 말이 없었다 - 장흥: 1950 마을로 간 전쟁을 보고 /@@h7LY/8 그날, 총성이 울리던 들판에서 이름도 남기지 못한 자들이 조용히 쓰러졌다. 꽃피던 마을의 길목에서 아이의 손을 놓은 어미, 두 손을 모은 노인, 그 누구도 죄인이 아니었건만 하늘은 침묵했다. 역사는 그날을 오래 묻었다. 기억은 금기가 되었고, 진실은 낡은 종이 위에만 살았다. 하지만 오늘, 당신의 카메라가 말하기 시작했다. 장흥의 골목, 돌아오지 못한<img src= "https://img1.daumcdn.net/thumb/R1280x0.fjpg/?fname=http%3A%2F%2Ft1.daumcdn.net%2Fbrunch%2Fservice%2Fuser%2Fh7LY%2Fimage%2F7xdP8qQCeDLM5PNWnxglfHHR0zw" width="500" /> Wed, 09 Apr 2025 15:16:02 GMT 다움 김종훈 살뜻한 이웃 /@@h7LY/8 사람을 보는 눈 - 대한민국의 미래를 이끌 선장을 뽑는 일 /@@h7LY/7 사람을 보는 눈, 그리고 대한민국의 미래를 이끌 선장을 뽑는 일 물결이 거세질수록, 진짜 선장의 실력이 드러납니다. 대한민국호(號)를 이끌 다음 선장을 뽑는 지금, 우리는 외모나 유행어가 아닌 '사람의 본질'을 봐야 합니다. 정치는 쇼가 아닙니다. 대통령은 연예인이 아닙니다. 이 나라의 미래, 우리의 삶을 책임질 사람은 마음의 눈&mdash;심안(心眼)으로 골라 Tue, 08 Apr 2025 14:50:16 GMT 다움 김종훈 살뜻한 이웃 /@@h7LY/7 디지털 기술 과잉 시대의 인간 회복력에 대한 아날로그적 - 접근: 『디지털, 잠시 멈춤』 고용석 작가 강연을 중심으로 /@@h7LY/6 디지털 기술 과잉 시대의 인간 회복력에 대한 아날로그적 접근: 『디지털, 잠시 멈춤』 고용석 작가 강연을 중심으로 국문초록 21세기는 디지털 기술의 급속한 발전과 함께 인간의 주의력, 감정 조절 능력, 사회적 관계에 깊은 영향을 주고 있다. 이에 따라 '디지털 디톡스(Digital Sat, 05 Apr 2025 01:12:29 GMT 다움 김종훈 살뜻한 이웃 /@@h7LY/6 『난관지돌파, 평화지대도(難關之突破, 平和之大道)』 - 한국 사회의 법치 위기와 도덕적 회복 가능성에 대한 성찰- 성덕도 법문과 /@@h7LY/1 난관지돌파, 평화지대도: 한국 사회의 법치 위기와 도덕적 회복 가능성에 대한 성찰 &mdash; 성덕도 법문과 2025년 천주교 시국선언문을 중심으로 초록(Abstract) 본 연구는 2025년 3월 30일 발표된 한국 천주교 사제&middot;수도자들의 시국선언문을 중심으로 한국 사회에서 나타나는 법치주의와 도덕성의 위기를 심층적으로 분석하고, 이를 성덕도 경전 『난관지돌파, Fri, 04 Apr 2025 16:28:27 GMT 다움 김종훈 살뜻한 이웃 /@@h7LY/1 자살률 1위 대한민국에서 살자율 1위 국가로 - 이재명의 생애서사를 통해 본 생애 회복력 교육과 정책 제언 /@@h7LY/5 자살률 1위 대한민국에서 살자율 1위 국가로: 이재명의 생애서사를 통해 본 생애 회복력 교육과 정책 제언 초록: 대한민국은 경제적 발전과는 달리 OECD 국가 중 자살률 1위를 지속하고 있다. 본 논문은 정치인 이재명의 생애 서사를 중심으로, 극한의 시련 속에서도 삶을 선택한 인간의 내면적 회복력과 사회적 구조의 문제를 통합적으로 분석한다. 자살충동의 원인 Fri, 04 Apr 2025 16:17:46 GMT 다움 김종훈 살뜻한 이웃 /@@h7LY/5 문형배 재판관이 임명될 때 영상을 보며 스스로를 성찰 - &nbsp;#어른김장하 선생님을 생각하며 스스로 다짐 /@@h7LY/4 문형배 헌법재판관님의 말씀을 읽으며 가슴 깊은 곳에서부터 울림이 전해졌습니다. 특히 김장하 선생님에 대한 언급은 저에게 있어 더욱 특별한 의미로 다가왔습니다. 저 역시 김장하 선생님께서 평생 실천하셨던 교육, 공동체, 정의의 가치를 좇으며 살아온 사람입니다. 경남 진주시 대곡면의 농부의 아들로 태어난 저는, 대아고등학교 24회 졸업생으로서 김장하 선생님이 Fri, 04 Apr 2025 16:09:31 GMT 다움 김종훈 살뜻한 이웃 /@@h7LY/4 대한민국 헌법재판소의 판결을 통해 바라본 민주주의 - 미래와 정의 /@@h7LY/3 대한민국 헌법재판소의 판결을 통해 바라본 민주주의의 미래와 정의 초록 2025년 4월, 대한민국 헌법재판소는 대통령 윤석열의 탄핵 사건에 대해 역사적인 판결을 내렸습니다. 이 판결은 단순히 한 명의 대통령에 대한 심판을 넘어, 대한민국 민주주의의 본질과 향후 진행 방향에 대한 중요한 지침을 제공합니다. 본 논문은 이 판결이 대한민국의 미래에 어떠한 의미를 Fri, 04 Apr 2025 16:00:54 GMT 다움 김종훈 살뜻한 이웃 /@@h7LY/3 정의와 덕의 통섭적 재구성 - 동서양 사상을 통한 공의&middot;공정&middot;공평&middot;형평의...... /@@h7LY/2 정의와 덕의 통섭적 재구성: 동서양 사상을 통한 공의&middot;공정&middot;공평&middot;형평의 윤리적 지평 탐색 Ⅰ. 서론 본 논문은 정의(justice)와 덕(virtue)의 개념을 공의(rightness), 공정(justice), 공평(fairness), 형평(equity)의 네 가지 윤리적 차원으로 재구성하여 동서양 철학의 통섭적 접점을 탐색한다. 특히 G. E. 무어, Wed, 02 Apr 2025 14:27:18 GMT 다움 김종훈 살뜻한 이웃 /@@h7LY/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