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ㅇSMㅇS /@@hLes 말단 공무원입니다. 꾸준히 절약하고 투자하여 10년 만에 경제적 자유에 도달하였습니다. 누구나 성공할 수 있는 쉬운 길을 제시합니다. 한 달에 10분. 1년 2시간이면 충분합니다. ko Tue, 06 May 2025 01:05:44 GMT Kakao Brunch 말단 공무원입니다. 꾸준히 절약하고 투자하여 10년 만에 경제적 자유에 도달하였습니다. 누구나 성공할 수 있는 쉬운 길을 제시합니다. 한 달에 10분. 1년 2시간이면 충분합니다. //img1.daumcdn.net/thumb/C100x100/?fname=http%3A%2F%2Ft1.daumcdn.net%2Fbrunch%2Fservice%2Fuser%2FhLes%2Fimage%2FaMkrcO_LvcS4oKcWWastye0iP0U.png /@@hLes 100 100 한 푼이라도 더! 은퇴 후 극한 절세 전략 3 - 종합소득세의 이해 및 계산 방법 /@@hLes/18 절세를 위해서는 세금의 이해가 필수적입니다. 세법은 복잡하지만, 기본적인 개념만 알아도 절세에 큰 도움이 됩니다. 소득의 8가지 유형과 분류 소득세법에 따르면, 개인의 소득은 총 8가지 유형으로 나뉘며, 과세 방식에 따라 두 가지로 분류됩니다. 종합과세소득(6종) : 근로소득, 사업소득, 기타소득, 이자소득, 배당소득, 연금소득 분류과세소득(2종) : 퇴<img src= "https://img1.daumcdn.net/thumb/R1280x0/?fname=https%3A%2F%2Ft1.daumcdn.net%2Fbrunch%2Fservice%2Fuser%2FhLes%2Fimage%2FhafycnbgD-5zWO6imh_XwFsQ_CQ.png" width="500" /> Fri, 02 May 2025 05:36:24 GMT CㅇSMㅇS /@@hLes/18 한 푼이라도 더! 은퇴 후 극한 절세 전략 2 - 연금 수령 시 유의사항 /@@hLes/1 시간이 흘러 드디어 연금을 수령할 시점이 왔습니다. 이제 어떻게 인출할지, 어떤 점에 주의해야 할지 짚고 넘어가겠습니다. 1. 연금 수령 요건 연금저축이나 IRP에서 연금 형태로 수령하려면 만 55세 이상이고, 계좌 보유 기간이 5년 이상이어야 합니다.그러니 미리미리 계좌를 만들어두는 게 유리합니다. 여러 개 만들어도 불이익은 없습니다.시간 날 때 증권사<img src= "https://img1.daumcdn.net/thumb/R1280x0/?fname=http%3A%2F%2Ft1.daumcdn.net%2Fbrunch%2Fservice%2Fuser%2FhLes%2Fimage%2FxO5R09tccwC5jeOs9IFjZR0d0RE.png" width="500" /> Thu, 01 May 2025 09:34:51 GMT CㅇSMㅇS /@@hLes/1 한 푼이라도 더! 은퇴 후 극한 절세 전략 1 - 수익률 순서 위험 /@@hLes/17 은퇴 후에도 자산배분 전략을 유지해야 하는 이유 한 번 세워두면 끝! : 흔들림 없는 자산배분 전략 7의 마지막 사례로 돌아가봅시다. 영희는 2000년 초에 주식 100%에, 서은은 주식 60% 채권 30% 금 10%의 자산배분 전략으로, 철수는 예금에 3% 금리로 투자하였습니다. 결과적으로, 영희와 서은은 투자 기간 동안 거의 비슷한 연복리 수익률을 기<img src= "https://img1.daumcdn.net/thumb/R1280x0/?fname=https%3A%2F%2Ft1.daumcdn.net%2Fbrunch%2Fservice%2Fuser%2FhLes%2Fimage%2FiqrSHWyxsv7d6pAZem3IzQCRucw.jpg" width="500" /> Tue, 29 Apr 2025 04:10:24 GMT CㅇSMㅇS /@@hLes/17 한 달 10분이면 끝! 구글 스프레드시트로 간편하게 5 - 구글스프레드시트 사용법 /@@hLes/16 이 스프레드시트는 총괄표 시트와 계좌별 시트, 2개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먼저 총괄표 시트입니다. 총괄표 시트에서는 각 종목의 종목명, 종목코드, 현재가, 전일 대비, 등락률, 그리고&nbsp;마지막 갱신시간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종목을 바꾸시고 싶으시면&nbsp;종목명과 종목코드만 직접 입력하시면 됩니다. ETF와 비트코인의 현재가는 각각 getStockPrice, g<img src= "https://img1.daumcdn.net/thumb/R1280x0/?fname=https%3A%2F%2Ft1.daumcdn.net%2Fbrunch%2Fservice%2Fuser%2FhLes%2Fimage%2FyDruCFrJIgCywSfF620U-mnJkZI.png" width="500" /> Wed, 23 Apr 2025 02:50:13 GMT CㅇSMㅇS /@@hLes/16 한 달 10분이면 끝! 구글 스프레드시트로 간편하게 4 - 구글 스프레드시트를 통한 실전 투자 /@@hLes/15 구글 스프레드시트는 마이크로소프트 엑셀과 비슷한 구조의 스프레드시트 프로그램입니다. 셀에 데이터를 입력하고 수식을 활용해 계산하며, 표나 그래프로 시각화하는 기능도 엑셀과 거의 유사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무엇보다도 무료입니다.&nbsp;구글 계정만 있으면 누구나 사용할 수 있습니다. 또한 웹 기반이라 PC에서 프로그램을 따로 설치하지 않아도 되고, 인터넷만 연결<img src= "https://img1.daumcdn.net/thumb/R1280x0/?fname=https%3A%2F%2Ft1.daumcdn.net%2Fbrunch%2Fservice%2Fuser%2FhLes%2Fimage%2F1IR422ounHabkjRVB7fnkOPt444.jpg" width="357" /> Mon, 21 Apr 2025 04:07:19 GMT CㅇSMㅇS /@@hLes/15 한 달 10분이면 끝! 구글 스프레드시트로 간편하게 3 - 절세계좌 관련 Q&amp;A /@@hLes/14 절세계좌는 활용은 워낙 사례가 다양하여 이해를 도우기 위해 Q&amp;A형식으로 준비해 봤습니다. 추가로 계속 업데이트됩니다. 궁금하신 점은 댓글로 달아주시면 답변드리며, 좋은 질문은 Q&amp;A에 올라갈 수 있습니다. 필요 개념 과세재원 : 세액공제를 받은 금액, 수익금 비과세재원 : 세액공제를 받지 않은 금액, 즉 초과납입분 Q: 작가님 책대로 해서 10억이 모였<img src= "https://img1.daumcdn.net/thumb/R1280x0/?fname=https%3A%2F%2Ft1.daumcdn.net%2Fbrunch%2Fservice%2Fuser%2FhLes%2Fimage%2FrGtSXcpi1MLvMhVI_AFYOvAS9yQ.jpg" width="500" /> Fri, 18 Apr 2025 03:59:46 GMT CㅇSMㅇS /@@hLes/14 한 달 10분이면 끝! 구글 스프레드시트로 간편하게 2 - 절세 유니버스 소개 /@@hLes/13 절세 유니버스 : 연금계좌부터 ISA까지, 투자수익을 지키는 마법의 조합 제 첫 글 '투자자 전성시대'에서 언급했듯이, 2010년대 후반부터 투자 환경에 획기적인 변화가 생겼습니다. 바로 연금저축펀드, IRP, ISA와 같은 과세이연 계좌의 등장입니다. 이 계좌들은 투자 판을 완전히 바꿔놓았습니다. 수익률만 따지는 게 아닌, 어떤 계좌를 잘 활용하느냐가 <img src= "https://img1.daumcdn.net/thumb/R1280x0/?fname=https%3A%2F%2Ft1.daumcdn.net%2Fbrunch%2Fservice%2Fuser%2FhLes%2Fimage%2FC3ayPJeAyFQ2eNLcys9NsDMGfOc.jpg" width="500" /> Thu, 17 Apr 2025 05:01:38 GMT CㅇSMㅇS /@@hLes/13 한 달 10분이면 끝! 구글 스프레드시트로 간편하게 1 - 금융자산에 부과되는 세금 소개 /@@hLes/12 금융자산에 부과되는 세금 한 번 세워두면 끝! : 흔들림 없는 자산배분 전략 2에 나왔던 리밸런싱 사례로 돌아가봅시다. 영희는 국내 일반증권계좌에서 200만 원을 미국주식 50%, 미국채권 50%로 투자했습니다. 그 후 시장은 극단적인 변동을 겪게 됩니다. 시장 변동 상황 1년 후: 주식 가격이 +100% 상승했고, 채권 가격은 -50% 하락했습니다. 2<img src= "https://img1.daumcdn.net/thumb/R1280x0/?fname=https%3A%2F%2Ft1.daumcdn.net%2Fbrunch%2Fservice%2Fuser%2FhLes%2Fimage%2FQN1XNx7oSZY_1a3kjw4JJM-3SBY.jpg" width="500" /> Wed, 16 Apr 2025 04:32:54 GMT CㅇSMㅇS /@@hLes/12 한 번 세워두면 끝! 흔들림 없는 자산배분 전략 9 - 장기투자합시다! 처음과 같이, 이제와 항상, 영원히 /@@hLes/11 제2원칙 장기투자합시다! 처음과 같이, 이제와 항상, 영원히 복리의 마법은 시간이 걸린다 많은 사람들이 투자를 시작할 때 빠른 수익을 기대합니다. 하지만 빠르게 부자가 되는 길은 운이 따라야 가능한 일입니다. 반면에, 누구나 확실하게 부자가 될 수 있는 길은 따로 있습니다. 그 길은 빠르지는 않지만, 분명한 길입니다. 바로 복리의 마법을 믿고, 장기투자를<img src= "https://img1.daumcdn.net/thumb/R1280x0/?fname=https%3A%2F%2Ft1.daumcdn.net%2Fbrunch%2Fservice%2Fuser%2FhLes%2Fimage%2FxSQwiBk9VZHiZ8hU433_aI2zsbY.jpg" width="500" /> Tue, 15 Apr 2025 03:07:11 GMT CㅇSMㅇS /@@hLes/11 한 번 세워두면 끝! 흔들림 없는 자산배분 전략 8 - 일희일비하지 말고 포트폴리오를 고수하기 /@@hLes/10 자산배분 편 끝이 보입니다. 마무리로 원칙 2가지를 제시하며 마무리하겠습니다. 오늘은 제1원칙입니다. 제1원칙 : 일희일비하지 말고, 내 포트폴리오를 믿고 나아갑시다. 자산배분 투자로 시작하더라도, 주식시장이 잘 나갈 때는 주식 비중을 더 높였어야 한다고 후회하거나, 주식시장 하락장이 오면 공포와 두려움에 다시 포트폴리오에서 주식비중을 낮추고 채권, 금<img src= "https://img1.daumcdn.net/thumb/R1280x0/?fname=https%3A%2F%2Ft1.daumcdn.net%2Fbrunch%2Fservice%2Fuser%2FhLes%2Fimage%2FvOtKVvuq0zJsf5n6Mm0GM7ja1eQ.png" width="500" /> Mon, 14 Apr 2025 04:24:09 GMT CㅇSMㅇS /@@hLes/10 한 번 세워두면 끝! 흔들림 없는 자산배분 전략 7 - 자산배분 투자의 실제 위력 /@@hLes/9 실제사례로 살펴보는 자산배분의 힘 지금까지 자산 배분투자의 기본 개념들과 실제 포트폴리오 구성까지 살펴봤습니다. 자산배분 포트폴리오는 연복리 약 7~10% 수준의 수익률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처음 투자에 입문하신 분들에겐 다소 낮게 느껴질 수 있지만, 복리의 힘을 감안하면 이는 매우 우수한 수치입니다. 투자 세계에는 흔히 &quot;하이 리스크, 하이 리턴, 로우<img src= "https://img1.daumcdn.net/thumb/R1280x0/?fname=https%3A%2F%2Ft1.daumcdn.net%2Fbrunch%2Fservice%2Fuser%2FhLes%2Fimage%2FtlxcQxfuX5utRymQaotkGwnSB6Q.png" width="500" /> Fri, 11 Apr 2025 03:31:26 GMT CㅇSMㅇS /@@hLes/9 한 번 세워두면 끝! 흔들림 없는 자산배분 전략 6 - 유명 포트폴리오 및 나만의 포트폴리오 만들기 /@@hLes/8 이번 편에는 대표적인 자산배분 포트폴리오를 소개하고, 제가 실제 운용 중인 포트폴리오도 공유합니다. 다시 한번 말씀드리지만 자산배분 전략에 정해진 답은 없습니다. 중요한 것은 자신의 투자 성향과 리스크 수용 범위에 맞는 포트폴리오를 설정하는 것입니다.&nbsp;핵심은 과도한 집중을 피하고, 적절히 분산하는 것입니다. 세부 비중은 본인의 투자성향과 상황에 맞게 조절해<img src= "https://img1.daumcdn.net/thumb/R1280x0/?fname=http%3A%2F%2Ft1.daumcdn.net%2Fbrunch%2Fservice%2Fuser%2FhLes%2Fimage%2FPxUsr43-z6ShDtAoFaBEMW-wlbw.png" width="500" /> Thu, 10 Apr 2025 01:56:35 GMT CㅇSMㅇS /@@hLes/8 한 번 세워두면 끝! 흔들림 없는 자산배분 전략 5 - ETF를 통한 포트폴리오 구성 /@@hLes/7 포트폴리오 구성에는 절대적인 정답은 없습니다. 다만, 일반적으로 주식 비중이 높으면 장기 수익률은 상승하지만, 변동성도 커집니다. 반면, 채권 비중을 늘리면 장기 수익률은 낮아지지만, 변동성은 줄어듭니다. 포트폴리오를 어떻게 구성할지는 개개인의 위험감내도에 따라 주식채권 비중을 정하는 게 우선입니다. 위험 감내도는 본인이 심리적으로 얼마나 손실을 견딜 수<img src= "https://img1.daumcdn.net/thumb/R1280x0/?fname=https%3A%2F%2Ft1.daumcdn.net%2Fbrunch%2Fservice%2Fuser%2FhLes%2Fimage%2FhY523kmrJYAA5McTbDz-Su0Xejc.png" width="500" /> Wed, 09 Apr 2025 09:03:29 GMT CㅇSMㅇS /@@hLes/7 한 번 세워두면 끝! 흔들림 없는 자산배분 전략 4 - 주식이 아파할 때 내가 고쳐 줄게! 채권과 금, 비트코인 /@@hLes/6 채권 채권은 정부나 기업이 자금을 빌리기 위해 발행하는 일종의 '차용증서'입니다.&nbsp;대표적으로 국채가 있는데, 이는 중앙정부에서 발행하기 때문에 신뢰도가 매우 높습니다. 예를 들어, 금리가 5%인 국채 10년물을 매수하면, 매년 원금의 5%에 해당하는 이자를 수령하고, 만기인 10년 후에는 원금을 전액 돌려받게 됩니다. 채권은 깊이 파고들면 매우 복잡한 구<img src= "https://img1.daumcdn.net/thumb/R1280x0/?fname=http%3A%2F%2Ft1.daumcdn.net%2Fbrunch%2Fservice%2Fuser%2FhLes%2Fimage%2FOxKoWKZBT557xzO_7dPr20Uc6ms.jpg" width="500" /> Tue, 08 Apr 2025 13:00:30 GMT CㅇSMㅇS /@@hLes/6 한 번 세워두면 끝! 흔들림 없는 자산배분 전략 3 - 자산배분의 공격수! 주식 소개 /@@hLes/5 투자에서 자산배분은 위험을 분산하고 안정적인 수익을 추구하는 데 핵심적인 전략입니다. 이번 편에서는 자산배분 투자에 사용되는 주요 자산군 중 하나인 주식에 대해&nbsp;살펴보겠습니다. 주식 주식은 자산배분에서 가장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며, 투자자 포트폴리오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만큼 많은 사람들이 가장 익숙하게 여기는 자산이기도 합니다<img src= "https://img1.daumcdn.net/thumb/R1280x0/?fname=http%3A%2F%2Ft1.daumcdn.net%2Fbrunch%2Fservice%2Fuser%2FhLes%2Fimage%2FrhKXJDW254WgYJ4daM7DrzSD-G0.jpg" width="500" /> Mon, 07 Apr 2025 09:12:19 GMT CㅇSMㅇS /@@hLes/5 한 번 세워두면 끝! 흔들림 없는 자산배분 전략 2 - 리밸런싱의 매력 : 섀넌의 악마와 리밸런싱 보너스 /@@hLes/4 리밸런싱의 매력 리밸런싱은 투자에서 단순하지만 강력한 효과를 발휘하는 전략입니다. 시간이 지나면 시장 변동에 따라 자산 간 비중이 달라지게 됩니다. 이때 처음 설정했던 자산 비중으로 다시 맞추는 과정이 바로 리밸런싱입니다. 이 과정은 단순히 비율을 조정하는 것처럼 보일 수 있지만, 포트폴리오의 안정성을 높이는 동시에 추가적인 수익(리밸런싱 보너스)을 기대<img src= "https://img1.daumcdn.net/thumb/R1280x0/?fname=http%3A%2F%2Ft1.daumcdn.net%2Fbrunch%2Fservice%2Fuser%2FhLes%2Fimage%2FHc5gfguE9pkpOdhBROrntfjMcQM.png" width="500" /> Mon, 07 Apr 2025 09:04:26 GMT CㅇSMㅇS /@@hLes/4 한 번 세워두면 끝! 흔들림 없는 자산배분 전략 1 - 자산배분 전략의 개요, 상관관계 /@@hLes/3 흔들림 없는 투자:&nbsp;자산배분 전략 흔들림 없는 투자 투자 세계에는 '로우 리스크 로우 리턴, 하이 리스크 하이 리턴'이라는 기본 원칙이 있습니다. 많은 사람들이 예적금을 통해 금융 상품에 입문합니다. 예적금은 대표적인 로우 리스크 상품입니다. 자산이 사라질 걱정이 거의 없지만, 수익률도 낮습니다. 세금과 물가상승률까지 고려하면 실질 수익률이 마이너스가 되<img src= "https://img1.daumcdn.net/thumb/R1280x0/?fname=http%3A%2F%2Ft1.daumcdn.net%2Fbrunch%2Fservice%2Fuser%2FhLes%2Fimage%2Fm0uwWbXMjA4JaZx7apqduEGb4f4.jpg" width="500" /> Fri, 04 Apr 2025 09:33:36 GMT CㅇSMㅇS /@@hLes/3 프롤로그 : 투자자 전성시대 - 영원히 지속가능한 투자 /@@hLes/2 투자자 전성시대 사마천의 사기 화식전에는 이렇게 적혀 있습니다.&ldquo;재산이 자기보다 열 배 많으면 그에게 자기를 낮추고, 백 배 많으면 그를 두려워하며, 천 배 많으면 그에게 부림을 받고, 만 배 많으면 그의 종복이 된다.&rdquo; 서양에서도 돈의 힘에 대한 통찰은 다르지 않았습니다. &quot;금을 가진 자가 규칙을 만든다(He who has the gold makes th<img src= "https://img1.daumcdn.net/thumb/R1280x0/?fname=https%3A%2F%2Ft1.daumcdn.net%2Fbrunch%2Fservice%2Fuser%2FhLes%2Fimage%2Fv6ZNonfpTBCpb91uy6lMOJ90q9k.png" width="500" /> Thu, 03 Apr 2025 04:27:58 GMT CㅇSMㅇS /@@hLes/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