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민종 /@@hcgx 끊임없는 도전으로 &ldquo;사람과 공간&rdquo;의 가치를 극대화하며 성장하는 홀핀 그룹 대표입니다. ko Tue, 06 May 2025 18:38:10 GMT Kakao Brunch 끊임없는 도전으로 &ldquo;사람과 공간&rdquo;의 가치를 극대화하며 성장하는 홀핀 그룹 대표입니다. //img1.daumcdn.net/thumb/C100x100/?fname=http%3A%2F%2Ft1.daumcdn.net%2Fbrunch%2Fservice%2Fuser%2Fhcgx%2Fimage%2FEnr6fsN1dMv25VdDuh5BFPtMNPM.jpg /@@hcgx 100 100 대표가 직면하는 리스크와 불안, 걱정 고민을 다루는 법 - 대부분의 걱정은 현실이 되지 않는다. /@@hcgx/16 사업을 운영하며 대표가 마주하는 리스크는 다양하다. 법적 이슈부터 운영 중 발생하는 문제들, 그리고 새로운 도전을 시작할 때 느끼는 불확실성까지.. 대표는 항상 결정의 기로에 서 있다. 하지만 많은 사람들이 간과하는 사실은 불안과 걱정의 대부분이 아직 오지 않은 미래에서 온다는 점이다. 실제로, 여러 연구에 따르면 걱정거리의 79%는 현실로 일어나지 않으며<img src= "https://img1.daumcdn.net/thumb/R1280x0.fjpg/?fname=http%3A%2F%2Ft1.daumcdn.net%2Fbrunch%2Fservice%2Fuser%2Fhcgx%2Fimage%2FBPz6-Uj56nvrfOgXqjZ5OjRv2Tg.PNG" width="500" /> Thu, 16 Jan 2025 07:59:10 GMT 유민종 /@@hcgx/16 대표, 임원, 직원 관점의 차이: 대표의 생각 방향 /@@hcgx/15 사업을 운영하면서 대표가 속상해하는 부분 중 하나는 구성원들과의 관점의 차이라고 볼 수 있을 것 같다. 하지만 이 관점 차이는 필연적이다. 각자의 위치에서 바라보는 책임과 역할, 그리고 사업에 대한 태도는 크게 다를 수밖에 없다. 이 차이를 이해하고 조화롭게 이끄는 것이 바로 대표의 역할이고 몫이다. 나 역시 잘해보려고 노력하지만 정말 쉽지 않은 부분 중 <img src= "https://img1.daumcdn.net/thumb/R1280x0.fjpg/?fname=http%3A%2F%2Ft1.daumcdn.net%2Fbrunch%2Fservice%2Fuser%2Fhcgx%2Fimage%2F0PNOZK6TYpQgjZT79dz7vnkZXnw.PNG" width="500" /> Sun, 29 Dec 2024 02:12:14 GMT 유민종 /@@hcgx/15 팀 빌딩: 열정적이고 성과 중심인 직원을 찾고 싶다면 /@@hcgx/14 창업은 아이디어만큼이나 사람과의 싸움이다. 성공적인 창업은 항상 훌륭한 팀이 존재한다고 생각한다. 처음 시작한 후&nbsp;3년 차에 서비스업으로 매출 20억 규모의 사업을 운영하며 깨달은 가장&nbsp;중요한 점 중 하나는 열정적이고 성과 중심인 직원을 찾고 키우는 부분이었던 것 같다. 처음 창업을 한 후 일정 기간 동안 정말 힘들었던 부분 중 하나는 내 맘대로 움직여주<img src= "https://img1.daumcdn.net/thumb/R1280x0.fjpg/?fname=http%3A%2F%2Ft1.daumcdn.net%2Fbrunch%2Fservice%2Fuser%2Fhcgx%2Fimage%2F8bOVK-Z8K2DiL4Pj2QIMdqBf-Xc.PNG" width="500" /> Thu, 05 Dec 2024 08:12:37 GMT 유민종 /@@hcgx/14 친구 또는 지인과 회사를 운영하는 게 괜찮을까요? /@@hcgx/13 내가 개인적으로 생각하는 답은 &quot;괜찮다&quot;이다. 사실 나 같은 경우 지금까지의 경험으로는&nbsp;&quot;아주 찬성&quot;에 가까운 것 같다. 동업은? 아직 잘 모르겠다. 운영하는 회사에서 같은 목표를 보고 달리면서 슬픈 일, 기쁜 일, 불안한 일, 재밌는 일을 같이 느끼고 얘기를 나눌 수 있다는 부분은 정말 복이며 매력인 것 같다. 임원들이 실제로는 고용된 직원이지만 자신의<img src= "https://img1.daumcdn.net/thumb/R1280x0.fjpg/?fname=http%3A%2F%2Ft1.daumcdn.net%2Fbrunch%2Fservice%2Fuser%2Fhcgx%2Fimage%2FNphsIBrAwUzfM7GSwR9gW2ndm_o.PNG" width="500" /> Sat, 30 Nov 2024 09:22:37 GMT 유민종 /@@hcgx/13 3~5번째 창업, 포기하지 않는 마음 /@@hcgx/12 3번째 4번째 창업은 실패라기보다는 과거를 되돌아보고 더 나은 미래를 위한 시간이었던 것 같다. 공동 창업이었지만 자문에 가까웠고&nbsp;지인이 아이템을 가지고 있어 나에게 제안을 한 케이스였다. 그 당시 과거의&nbsp;연속된 실패로 인해 무엇을 시작하기에 두려운 상태였다. 잘 해낼 수 있을까에 대한 자신감이 많이 떨어져 있던 시기였고&nbsp;금전적으로도 매우 힘든&nbsp;상황이었다<img src= "https://img1.daumcdn.net/thumb/R1280x0.fjpg/?fname=http%3A%2F%2Ft1.daumcdn.net%2Fbrunch%2Fservice%2Fuser%2Fhcgx%2Fimage%2FT-Akhv5wPETZYeonQWJyIuPhrQI.PNG" width="500" /> Mon, 25 Nov 2024 11:00:04 GMT 유민종 /@@hcgx/12 회사 운영에서의 기다림 - 리더로서 성장과 경험의 기회를 제공한다. /@@hcgx/11 회사 운영에서의 기다림은 머리로는 알면서도 실행하기 힘든 부분 중 하나인 것 같다. 어떠한 업무를 지시한 후, 직원이 그 업무를 완수할 때까지 기다리는 과정은 쉽지 않다. 리더로서 모든 결과를 빠르게 보고 싶어 하는 욕구는 강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대표가 원하지 않거나 결과가 분명 안 좋을&nbsp;업무를 직원이 매우 하고 싶어 하는 상황도 있다. 대표가 얘기<img src= "https://img1.daumcdn.net/thumb/R1280x0.fjpg/?fname=http%3A%2F%2Ft1.daumcdn.net%2Fbrunch%2Fservice%2Fuser%2Fhcgx%2Fimage%2FyrCPpcj9W2N9dgXgH1wfmEaaxOk.PNG" width="500" /> Sat, 19 Oct 2024 11:19:18 GMT 유민종 /@@hcgx/11 빠른 실행의 힘 : 실패를 통한 배움 - 아이디어를 현실로 바꾸고 매출을 만들어 내는 법 /@@hcgx/10 창업을 시작할 때&nbsp;선행되어야 하는 부분 중 하나는&nbsp;아이디어와 아이템이다. 이 아이디어를 실행하는 부분에서 매출을 만들어내는 구조도 함께 고민해야 한다. 빠른 실행은 중요하다. 하지만 무작정 행동에만 집중하는 것은 올바른 접근이 아닐 것이다. 우리는 실행과 동시에 수익을 낼 수 있는 구조를 함께 구축해야 한다. 아무리 뛰어난 아이디어도 수익을 창출하지 못한<img src= "https://img1.daumcdn.net/thumb/R1280x0/?fname=http%3A%2F%2Ft1.daumcdn.net%2Fbrunch%2Fservice%2Fuser%2Fhcgx%2Fimage%2Fxg6OA0QsyWRDuVg7Sfr8YhNnMRk.jpg" width="500" /> Tue, 15 Oct 2024 09:19:29 GMT 유민종 /@@hcgx/10 회사를 운영하며 얻는 배움, 고마움 &nbsp; /@@hcgx/9 회사를 설립하고 앞서 얘기한 것과 같이 참 힘든 순간이 많았다. 목적지는 있지만 함정이 많은 미로를 걸어가면서 이 길이 맞을까라는 생각을 한두 번 한 게 아니었다. 하지만 회사를 운영하며 경험과 배움을 통해 성장하고, 직원들에게 느끼는 고마움과 그들과 같이 목표한 것을 하나하나 해냈을 때의 희열 때문에 힘들지만 다시 일어서서 앞으로 나아가는 것 같다. <img src= "https://img1.daumcdn.net/thumb/R1280x0.fjpg/?fname=http%3A%2F%2Ft1.daumcdn.net%2Fbrunch%2Fservice%2Fuser%2Fhcgx%2Fimage%2FWPCJnCCsSOq6co3DUSGg_ISzrRM.PNG" width="500" /> Sun, 13 Oct 2024 09:33:41 GMT 유민종 /@@hcgx/9 나도 사업(창업)이나 해볼까? - 쉽게 말할 수 있는 문장이 아님을.. /@@hcgx/8 나도 창업이나&nbsp;해볼까? 정말 소수지만 가끔 대화를 하다 보면 이런 얘기를 하는 사람들이 있다. 우선 문장 안에 '이나'가 이해하기 힘들다. 이유를 들어보면 거의 비슷하다. - 직장인으로 살아가는데 나만의 시간이 없다. - 야근한다고&nbsp;돈도 안 주는데.. - 나 아이디어 많아서 잘 될 거 같아 - 좋아 보인다 - 돈 많이 벌겠다 - 우리 대표는 별로라 그냥 내<img src= "https://img1.daumcdn.net/thumb/R1280x0.fjpg/?fname=http%3A%2F%2Ft1.daumcdn.net%2Fbrunch%2Fservice%2Fuser%2Fhcgx%2Fimage%2F5PoTTlXfs7meR6JUEKBoISmhmSs.PNG" width="500" /> Fri, 11 Oct 2024 07:55:13 GMT 유민종 /@@hcgx/8 대표라는 단어가 주는 말의 무게 /@@hcgx/7 가끔 나 자신에게 질문하고는 한다. 아직도 많이 걸어가야 할 길이 있고 지금도 대표가 가질 수밖에 없는 고독과 단어가 주는 무거움을 알고 있는데 다시 돌아가도 이 길을 걸을 걷인가? 직장을 다니던 시절, 나는 항상 팀 내에서 분위기메이커였던&nbsp;것 같다. 일하는 곳에서 잠깐이나마 서로 웃는 얼굴을 볼 수 있게 가벼운 농담을 던지고&nbsp;일의 힘듦을 잊게 해주는 역<img src= "https://img1.daumcdn.net/thumb/R1280x0.fjpg/?fname=http%3A%2F%2Ft1.daumcdn.net%2Fbrunch%2Fservice%2Fuser%2Fhcgx%2Fimage%2F3ZtaDco4fuoM-Kzq0Sp7XYptqno.PNG" width="500" /> Wed, 09 Oct 2024 06:05:03 GMT 유민종 /@@hcgx/7 두 번째 창업_오프라인 - 필라테스 창업 /@@hcgx/6 다시 나만의 사업을 해야겠다고 마음먹고 직장을 퇴사하면서 그 시기까지의 경험은 아래와 같은 답을 주었다. 1. 가족이 있기에 빠른 시간 내에 매출을 만들어야 한다. 2. 온라인 베이스의 사업을 해보니, 매출이 나오고 BEP를 맞추기까지 시간이 필요하다. 3. 빠른 매출을 만들어야 하면 오프라인이 정답이다. 고객과 대면하여 직접적인 경험을 제공하며 지역사 Tue, 08 Oct 2024 14:00:50 GMT 유민종 /@@hcgx/6 첫 번째 실패 후 다시 직장생활 - 배움과 인사이트 /@@hcgx/5 직장에서 배운 비즈니스 운영과 직원 관리의 기본 큰 꿈 대비 첫 번째 도전에서 허무한 결과와 경험을 겪었다. 다시 창업을 하기 위해 준비과정과 경험이 필요하다는 것을 깨달았다. - 운영이 잘 되는 회사는 매출관리, 비용관리 또 어떻게 HR을 운영하는가? - 전략기획은 어떠한 식으로 해야 되는가? - 세일즈와 마케팅은 어떻게 해야 되는 것인가? - 좋은 팀 Sun, 06 Oct 2024 12:53:17 GMT 유민종 /@@hcgx/5 29살 첫 창업 도전 : 무모했던 출발 - 첫 번째 실패와 경험 /@@hcgx/4 26살 호텔에서 첫 직장을 시작한 나는 창업이 하고 싶었다. 29살이 되던 해 30살이 되기 전 꼭 창업을 해야겠다는 다짐과 함께 과감하게 직장을 그만두게 된다. 이때 이미 나는 결혼을 하고 갓 태어난 이쁜 딸이 있는 아빠였다. 직장에서 만났던 유능한 동료도 참여하기로 했고, 모든 순간&nbsp;나를 지지해 주는 와이프도 허락을 해주었다. 지금 돌이켜봐도 첫 실패<img src= "https://img1.daumcdn.net/thumb/R1280x0/?fname=http%3A%2F%2Ft1.daumcdn.net%2Fbrunch%2Fservice%2Fuser%2Fhcgx%2Fimage%2FbBopiuL2_Cy8TO7Nosy4iOyX-cw.jpg" width="500" /> Thu, 26 Sep 2024 09:00:07 GMT 유민종 /@@hcgx/4 창업을 생각할 때 필요한 것들 - 많은 실패를 경험했기에 /@@hcgx/3 20대 후반 어린 나를 되돌아보면 그냥 막연하게 창업이 하고 싶었다. 회사는 멈춰있다는 생각을 했고 톱니바퀴처럼 굴러가는 직장생활이 내가 그리는 미래의 꿈과는 다른 것 같았기 때문이었을까. 추진력은 좋았기에 회사를 그만두고 친구와 같이 O2O서비스 창업을 했다. (첫 번째 창업) 호기롭게 창업하고 7개월 뒤 우리는 사무실에서 짐을 빼고 폐업했다. 다시 <img src= "https://img1.daumcdn.net/thumb/R1280x0/?fname=http%3A%2F%2Ft1.daumcdn.net%2Fbrunch%2Fservice%2Fuser%2Fhcgx%2Fimage%2FZpH-MBRJSeebNpk-fMV-92TyR6w.jpg" width="500" /> Mon, 09 Sep 2024 09:24:04 GMT 유민종 /@@hcgx/3 대표의 역할과 리더십 - 정답은 없다. /@@hcgx/2 대표의 역할과 리더십 (1) 많은 스타트업 대표님들과 대표는 어떤 리더십을 가져야 하며 어떤 역할을 해야 하는지 같이 고민한다. 리더십은 대표의 성향도 다 다르고, 어떤 업종과 서비스인지에 따라 많이 다를 거 같다. 손무(손자병법)를 떠올려보면 조금 비슷할 것 같다. 손무는 장수를 세 부류로 나눴었다. &quot;용장&quot; 나를 따르라! 하며 강한 스킬로 군사들을<img src= "https://img1.daumcdn.net/thumb/R1280x0/?fname=http%3A%2F%2Ft1.daumcdn.net%2Fbrunch%2Fservice%2Fuser%2Fhcgx%2Fimage%2F_Z5Wtd7_qptMrFr3iFZiQ9TExFw.jpg" width="500" /> Fri, 06 Sep 2024 03:27:40 GMT 유민종 /@@hcgx/2 스타트업 실패로 얻는 경험 그리고 성장 - 4번의 좌절 끝에 얻은 경험 및 성장 /@@hcgx/1 스타트업은 힘들다. 창업은 힘들다. 대표는 외롭다. 대표는 항상 아무렇지 않아야 한다. 직원의 소중함을 절실히 알아야 한다. 아끼지 말아야 한다. 직장인시절&nbsp;창업을 하고 싶다고 항상 얘기했고, 20대가 끝나갈 무렵 실천에 옮긴다. 아무것도 모르고 패기로 시작했고 2,000만 원의 소자본으로 창업한 그때의 결과는 당연히 처참했다. 이후 30대 초반 3번의 <img src= "https://img1.daumcdn.net/thumb/R1280x0/?fname=http%3A%2F%2Ft1.daumcdn.net%2Fbrunch%2Fservice%2Fuser%2Fhcgx%2Fimage%2FRWmI6_SiV-AvCquoN3E6LnA-zII.jpg" width="500" /> Thu, 05 Sep 2024 08:35:59 GMT 유민종 /@@hcgx/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