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대현 /@@sJu 뭐 하나 제대로 하는 건 없지만 안 하는 건 없습니다. ko Mon, 12 May 2025 10:40:57 GMT Kakao Brunch 뭐 하나 제대로 하는 건 없지만 안 하는 건 없습니다. //img1.daumcdn.net/thumb/C100x100.fjpg/?fname=http%3A%2F%2Ft1.daumcdn.net%2Fbrunch%2Fservice%2Fguest%2Fimage%2FLMbZOvmuDFJX8KZYyOxO7NsB9wU /@@sJu 100 100 적당하게 적당하게 /@@sJu/380 능력있고 유명한 선생님이 되고 싶었다.책도 쓰고, 원격연수도 찍고, 연수 강의를 다니면 행복할 줄 알았다.하지만 아이러니하게도 가장 이름이 알려졌던 시기에 가장 힘든 시간을 보냈다.결국 찾은 행복은 멀리있지 않았다.웃는 순간, 친구와 한잔하는 순간, 딸과 손잡는 순간, 낚시를 하러 가는 순간, 맛있는 밥을 먹는 순간, 지금 이글을 쓰는 순간순간 순 Thu, 13 May 2021 06:35:15 GMT 박대현 /@@sJu/380 신곡 소개'울릉도에선 독도가 보인다' - 10월 25일은 독도의 날 /@@sJu/378 노래 들어보시며 읽어보시죠~! 10월 25일은 독도의 날이다. 교육 IT 기업 클래스팅에서 독도의 날을 기념하는 새로운 독도 노래를 제안했다. 왜 일본은 독도 땅이라 우기는지, 그리고 왜 우리땅인지를 공부했고 짧은 가사에 무엇을 담을지 고민했다. 일본의 주장처럼 조선이 명확하게 위치와 관리를 하지 못했다는 주장은 어쩌면 그럴싸해 보인다. 일본이 제시하는<img src= "https://img1.daumcdn.net/thumb/R1280x0/?fname=http%3A%2F%2Ft1.daumcdn.net%2Fbrunch%2Fservice%2Fuser%2FsJu%2Fimage%2FJ1RfED1R8mZqxNyI49uGpseDIN8.jpg" width="500" /> Tue, 22 Oct 2019 06:29:52 GMT 박대현 /@@sJu/378 선생님들이 만드는 유튜브, 교사영상제작단 뻘짓 /@@sJu/377 https://www.youtube.com/channel/UCeJUceiuLfBMuW2dEDo7S-Q 1. 교사영상제작단 뻘짓 교사영상제작단 뻘짓은 2016년 여름 시작되었다.수요일밴드 박대현과 영화감독 출신 정재성, 배우 출신 이동민 선생님이 중심으로 첫 모임을 결성하였다. 모집은 페이스북으로 했다.인천부터 경남, 광주 등 전국 각지에서 16명의 똘끼충 Wed, 21 Aug 2019 03:11:06 GMT 박대현 /@@sJu/377 유튜브를 시작하는 이들에게 짧고 굵게 /@@sJu/376 1. 유튜브에서 성공하는 방법 가. 재미있고 유익한 영상을- 시청지속시간 60%이상, 따봉이 조회수의 10% 이상 되는 영상나. 주기적으로 오래동안 업로드한다.- 주 1회 이상, 1년 이상 정도(?) 2. 재미있고 유익한 영상을&nbsp;오래 만들수 있는 방법 가. 내가 좋아하는 콘텐츠나. 내가 잘 하는 콘텐츠다. 제작하기 편한 콘텐츠 를 만든다. 결론 - 아주 Wed, 21 Aug 2019 03:08:54 GMT 박대현 /@@sJu/376 권력을 욕하거나 편드는 자들의 공통점 /@@sJu/375 권력자를 욕하거나, 권력자를 편드는 것은권력을 좋아하고, 얻고 싶은 마음권력 지향성이 원인이다. 권력자를 욕도 해도 되고, 편들어도 되는데둘은 사실 같은 마음'권력을 얻고 싶은 마음'임을 서로 알아주면 좋겠다. 또,가짜 뉴스가 이슈인데 나는 그럼 진짜는 뭔가?절대적 객관적인 진짜 뉴스라는 게 진짜 있는가?내가 알 수 있는 것인가?하는 생각도 든다. 관 Wed, 21 Aug 2019 03:04:10 GMT 박대현 /@@sJu/375 미래 걱정은 똥이다 /@@sJu/374 내일 이후를 생각해보면1. 기대 설렘2. 불안 걱정이 두 가지 종류의 감정이 생긴다.1. 기대 설렘원하는 결과를 얻으면 만족스럽다.원하는 결과를 얻지 못하면 실망하고 괴롭다.2. 불안 걱정걱정하던 일이 생기지 않으면 안도한다.걱정하던 일이 생기면 좌절하고 괴롭다.하지만뇌에서는 부정적인 감정의 힘이 훨씬 강하다좋은 감정은 아무리 강 Tue, 20 Aug 2019 07:51:58 GMT 박대현 /@@sJu/374 욕심을 버릴 수 있는 방법 /@@sJu/373 왜 내 마음에 욕심이 계속 생기지? 결론부터 이야기하면욕심이 있었기에 우리는 생존, 번식을 할 수 있었다.욕심을 갖는 것은 당연하다. 욕심이 없었던 개체들인 더 쉽게 죽고, 번식에 불리했다.욕심 없는 유전자의 개체는 욕심 많은 유전자의 개체보다 영양 상태가 좋지 못했고, 섹스를 적게 했다. 더 섹스하기 위해, 더 먹기 위해, 더 잠을 자기 위해 투쟁했던 <img src= "https://img1.daumcdn.net/thumb/R1280x0/?fname=http%3A%2F%2Ft1.daumcdn.net%2Fbrunch%2Fservice%2Fuser%2FsJu%2Fimage%2FFC5M0vqgxu84b54CgP2TiEWXaXU.jpg" width="500" /> Sun, 18 Aug 2019 14:27:07 GMT 박대현 /@@sJu/373 타인에게 실망하는 이유 - 너 때문 /@@sJu/372 타인에 대한 실망이 생기는 이유는보통 타인이 내 기대에 미치지 못하기 때문이다.하지만 알아야 한다.당신이 기대한 그 타인은실제 그 타인이 아니라 당신의 대뇌피질의 신경세포들이 만든 가상의 타인이라는 것을.당신이 보는 박대현이라는 사람 또한진짜 내가 아니라 당신의 뇌에서 만들어진 상상의 박대현이다.나는 당신 뇌 신경세포들이 조합하여 만든 그<img src= "https://img1.daumcdn.net/thumb/R1280x0/?fname=http%3A%2F%2Ft1.daumcdn.net%2Fbrunch%2Fservice%2Fuser%2FsJu%2Fimage%2F8Y70c_6LKf-kiDdGUIm3vJq08Pk.jpg" width="500" /> Sat, 17 Aug 2019 01:33:44 GMT 박대현 /@@sJu/372 마지막 행복의 조건 /@@sJu/371 6월부터 계속 컨디션이 좋지 않았다. 그러다 이번 주말에는 내내 몸이 많이 아팠다.어제는 5만원짜리 링거를 맞았고, 독한 약을 먹고, 헤르페스로 수포로 부은 입술에 연고를 계속 발랐다.그랬더니 오늘은 컨디션이 좋아졌다.문득 다 필요 없고통증이 없는 몸만 있다면 행복할 수 있겠다. 생각이 들었다.그러다마약성 진통제가 없으면 신체의 고통이 멈추지<img src= "https://img1.daumcdn.net/thumb/R1280x0.fjpg/?fname=http%3A%2F%2Ft1.daumcdn.net%2Fbrunch%2Fservice%2Fuser%2FsJu%2Fimage%2F-UkAJb-3oFLgGYV6B0q5_sC_izs.jpeg" width="275" /> Tue, 13 Aug 2019 17:20:56 GMT 박대현 /@@sJu/371 내 삶이 초밥같다면 /@@sJu/369 곧 죽을까 봐 하고 싶은 걸 해야 하고50년 뒤 죽을까 봐 하고 싶은 걸 참아야 한다. 내일 죽을까 봐 하고 싶은 걸 했는데...안 죽으면 후회하고, 50년 뒤 죽을까 봐 하고 싶은 걸 참았는데...곧 죽으면 후회한다. 하기야 언제 죽는지 안다면 지금 하는 것들이 재미가 없지. 내 남은 삶이 내 남은 초밥처럼 가지런히 놓여 있다면계획적으로<img src= "https://img1.daumcdn.net/thumb/R1280x0/?fname=http%3A%2F%2Ft1.daumcdn.net%2Fbrunch%2Fservice%2Fuser%2FsJu%2Fimage%2FH06YIvgZvEvp1jACFpcSGPTZ1fc.jpg" width="500" /> Mon, 12 Aug 2019 06:53:12 GMT 박대현 /@@sJu/369 삶의 기본 세팅 값은 외로움, 우울감, 걱정, 불안 /@@sJu/368 삶의 기본 세팅 값은 외로움, 우울감, 걱정, 불안입니다.페북, 인스타 속 부러운 남들의 찰나 순간들은 기본 세팅 값에서 벗어난 특이한 순간들입니다.(구멍 난 풍선에 바람이 들어 있는 순간처럼요)대부분의 사람은 어느 정도 시간이 지나면 외롭고 우울하고 걱정, 불안한 마음으로 돌아옵니다.(구멍 난 풍선이 쭈글해지는 것 처럼요.)구멍 난 풍선에 <img src= "https://img1.daumcdn.net/thumb/R1280x0/?fname=http%3A%2F%2Ft1.daumcdn.net%2Fbrunch%2Fservice%2Fuser%2FsJu%2Fimage%2Ff9XNt2sm0dlkj9-Lz4mVEyct9fs.jpg" width="500" /> Thu, 08 Aug 2019 18:39:18 GMT 박대현 /@@sJu/368 요즘은 미니멀리즘에 심취해있습니다. /@@sJu/367 요즘은 미니멀리즘에 심취해있습니다.옷도 거의 반 이상은 버리고 심심하면 옷장을 열고, 서랍을 열고 오늘 뭘 버릴까 살펴봅니다.버릴 게 진짜 없는데 그래도 기어코 뭐라도 하나를 버리고 나며 참 개운합니다.금방은 남방들을 모두 입어보고 가장 낡고 몸에 맞지 않은 2개 남방을 버렸습니다.그래도 7개 남방이 남았네요.미니멀리즘은 버리는 것이 아니<img src= "https://img1.daumcdn.net/thumb/R1280x0/?fname=http%3A%2F%2Ft1.daumcdn.net%2Fbrunch%2Fservice%2Fuser%2FsJu%2Fimage%2FfVw9Jti0sqF2APlhTWBJlXATLSE.jpg" width="500" /> Thu, 08 Aug 2019 18:08:44 GMT 박대현 /@@sJu/367 앞으로의 계획 /@@sJu/366 자문자답,앞으로의 계획은? 그냥 하루하루 주어진 만큼의 일을 하고, 쉴 때 쉬고 그렇게 살 계획이에요.요즘의 저를 보면 강물 위 떠내려가는 스티로폼 같아요. 그리 욕심이 없어요. 강물 위 스티로폼처럼 이리저리 이끌러 둥둥 떠가는 것 같아요.이리 치이고, 저리 치이고, 스티로폼은 금이 가고 깨지지만 그래도 그냥 강물 위에 둥둥 떠내려가잖아요.강물 Thu, 08 Aug 2019 18:06:59 GMT 박대현 /@@sJu/366 세상은 바뀌어도 사람은 변하지 않는다 /@@sJu/364 4차 산업혁명이니 뭐니 AI가 변화를 주니 마니 5G가 빠르니 좋니 아무리 사회가 빠르게 변해도 사람은 밥을 먹어야 살고 사람은 잠을 자야 살고 사람은 마음을 나눌 친구가 있어야 외롭지 않다. 살고 싶고, 사랑이 하고 싶다. 인간이라는 지향점은 생존과 번식이다. 아무리 4차 5차 6차 10차 산업혁명이 와도 인간는 섹스를 좋아한다. 응? ㅋ Thu, 18 Jul 2019 05:10:04 GMT 박대현 /@@sJu/364 남이 부러울 때 이렇게 주문을 외우자 /@@sJu/363 페이스북, 인스타 온갖 SNS 지뢰들 왜 이렇게 잘난 사람들이 많아! 왜 나 빼고 다 행복해 보여? 아이 XX! X 같은 세상! 이렇게 열받고, 나만 불행한 생각이 들 때 주문을 외어보자. 나는 그렇게 잘나지 않은 사람이다. 나는 그렇게 특별하지 않은 사람이다. 나는 그렇게 잘생기지(예쁘지) 않은 사람이다. 나는 그저 그런 사람이다. 세상에<img src= "https://img1.daumcdn.net/thumb/R1280x0/?fname=http%3A%2F%2Ft1.daumcdn.net%2Fbrunch%2Fservice%2Fuser%2FsJu%2Fimage%2F-9NzUzfw4YQgpUqsGMlqOXpfT1s.png" width="500" /> Tue, 16 Jul 2019 00:59:31 GMT 박대현 /@@sJu/363 오르기보다 내려오기가 더 힘들다. - 등산 이야기가 아니고 /@@sJu/362 매출 오르고 돈 벌리는 즐거움 유명해지고 인기 많아지는 즐거움 승진해서 직급이 올라가는 즐거움 이런 즐거움이 당연해지는 데는 긴 시간이 필요하지 않다. 하지만 매출이 떨어지고 돈 잃는 슬픔 인기가 떨어지고, 명예가 실추되는 슬픔 늙고 실력이 떨어져 퇴직을 하고 회사를 나오는 슬픔 이런 슬픔은 당연해지는데 긴 시간이 필요하다. 기쁨은 짧고 슬픔은 길다. Sun, 23 Jun 2019 08:14:57 GMT 박대현 /@@sJu/362 사랑할 땐 사랑이 보이지 않는 것이 본능 /@@sJu/361 젊은 날엔 젊음을 모르고 사랑할 땐 사랑이 보이지 않았네 처럼 건강할 때는 건강한 줄 모르고 집착할 땐 집착하는 줄 모르고 돈 잘 벌 땐 돈 잘 버는 줄 잘 모른다. 나중에야 늙고 사랑이 끝나고 병들고 괴롭고 돈 못 벌 때 그때야 안다. 아. 예전에 그랬구나 하고. 근데 건강한 사람한테는 건강 잘 지키라고 백날 말해도 잘 모르는 것. 지금이 당연한 줄<img src= "https://img1.daumcdn.net/thumb/R1280x0/?fname=http%3A%2F%2Ft1.daumcdn.net%2Fbrunch%2Fservice%2Fuser%2FsJu%2Fimage%2FDBgjg4_0ZBalKBeWsL86rUEdrow.jpg" width="500" /> Wed, 22 May 2019 04:22:39 GMT 박대현 /@@sJu/361 살랑살랑 살자 /@@sJu/360 호랑이는 배는 고파도 괴로워하지 않는다. 잡으려는 사슴이 도망쳐도 괴로워하지 않는다. 애써서 잡은 사슴을 더 힘센 호랑이한테 뺏겨도 괴로워하지 않는다. 그저 툴툴 털고 다른 사슴을 잡으러 나간다. 어떨 때는 부처의 이야기는 우리보고 저 호랑이처럼 식물처럼, 동물처럼 살라는 것처럼 들린다. 나는 사람인데. 어찌 동물이랑 비교를 하나? 인간을 무시하나? 하<img src= "https://img1.daumcdn.net/thumb/R1280x0/?fname=http%3A%2F%2Ft1.daumcdn.net%2Fbrunch%2Fservice%2Fuser%2FsJu%2Fimage%2FNTFnWXpF7BV93k_sQRPiuBqKylA.png" width="500" /> Mon, 20 May 2019 07:43:49 GMT 박대현 /@@sJu/360 삶에 목표는 없어도 된다. /@@sJu/359 삶에 목표가 있으면 좀 재미가 있지.근데 뭐 없어도 괜찮다. 목표가 없어도 괜찮으니목표 없다고 불안해 할 필요가 없고목표 달성 못한다고 괴로워 할 필요가 없다. 목표가 없으면 그냥 살면 되니 얼마나 더 편하노.먹고 살만 한기다.<img src= "https://img1.daumcdn.net/thumb/R1280x0/?fname=http%3A%2F%2Ft1.daumcdn.net%2Fbrunch%2Fservice%2Fuser%2FsJu%2Fimage%2FYpp7QONfbcaurNUp6xU6jwGz8EY.png" width="500" /> Mon, 20 May 2019 03:23:40 GMT 박대현 /@@sJu/359 조증 우울증에 관해 - 익숙해지지 않고 계속 기쁘거나 슬픈것은 병이다. /@@sJu/358 좋은 것이 생기면 기쁘다.좋은 것도 계속되면 당연한 것이 되고더는 기쁘지 않다. 물 흐르듯 자연스러운 사람의 마음이다. 다행히도&nbsp;나쁜 것이 생기면 슬픈데나쁜 것이 계속 되면 당연한 것이 되고더는 슬프지 읺다. 물 흐르듯 자연스러운 사람의 마음이다. 익숙해지지 않고 계속 기쁘거나 슬픈것은 병이다.<img src= "https://img1.daumcdn.net/thumb/R1280x0/?fname=http%3A%2F%2Ft1.daumcdn.net%2Fbrunch%2Fservice%2Fuser%2FsJu%2Fimage%2FUaTQpW4JYUCQeoYh5EgHn-HZBIs.png" width="500" /> Mon, 20 May 2019 03:21:42 GMT 박대현 /@@sJu/3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