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식, 콩의 무한한 가능성
호랑이 강낭콩 좀 보내줄까?
호랑이? 강낭콩? 왠지 어울리지 않는 두 단어가 합쳐진 것 같지만 이 단어를 듣자마자 입 안에선 침이 고입니다. 어릴 적 느껴봤던 구수한 콩의 맛. 밤이나 감자, 혹은 고구마 같이 포실포실해서 콩만 쏙쏙 골라먹었던 기억. 유달리 콩밥을 싫어하는 사람들도 있지만 저는 콩밥을 꽤 좋아합니다.
콩장은 먹는데 콩밥은 안 먹어.
친정 어머니가 콩을 보내주신단 말에 남편은저렇게 대답합니다. 사실 저희 남편은 콩밥을 싫어해요. 콩장도 달콤 짭쪼름한 양념에 말랑말랑해야 잘 먹어요. 어린아이처럼. 그래서 결혼하고 나서는 콩밥을 잘안 해먹었는데 호랑이 강낭콩이란 말을 듣자마자 엄마에게 냉큼 보내달라고 했죠.
1920년대 미국은 세계 식량 종자 확보를 위해 세계 각지의 야생 작물 채취에 나섰습무료 카지노 게임. 그들은 한반도에서 3개월 동안 전 세계 야생콩(대두) 종자의 절반이 넘는 무려 3,379종의 야생콩을 채취했습무료 카지노 게임. 또한 1901년부터 1976년 사이에 우리나라에서 5496종의 재래종 콩을 수집해 갔으며 이 가운데 3200여 종의 콩을 일리노이 대학이 보존하고 있습무료 카지노 게임.
이와 별도로 미국 농무부는 1947년까지 1만 개의 콩에 대한 유전자형을 우리나라에서 수집해 갔는데, 미국이 동아시아에서 수집한 콩 종자 가운데 우리나라에서 수집한 콩이 74%에 달할 정도로 압도적으로 많습니다.
홍익희, 세상을 바꾼 음식이야기, 2016. p157~1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