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장병 강아지와 함께 살아내기
영국에서 한국으로 돌아온 지 얼마 되지 않았을 때 새벽이의 두 번째 췌장염이 도지고 말았다. 피를 토하고 혈변을 보는 아이를 데리고 가장 가까운 병원으로 갔다. 그곳의 수의사 선생님이 엑스레이를 보고도 정확한 진단을 내리기가 어려웠는지 다른 병원으로 전원시켜주셨다. 그래서 알게 된 곳이 지금 다니는 동물병원이다.
그때는 대표 원장이신 A 선생님 혼자서 진료를 보실 때였다. 의사 선생님은 한 분이셨지만 병원은 언제나 바빴다. 이 지역에 사는 반려인들의 신뢰를 크게 받고 있는 모양이었다. 예약 없이 가면 대기 시간이 길었고, 예약도 빠르게 찼다.
정신없는 병원 분위기와 다르게 A 선생님은 차분하고, 간결하게 설명하시며 언제나 자신감 있어 보였다. 망설임보다는 빠르고 정확한 진단에 신뢰가 갈 수밖에 없는 타입의 의사 선생님이다. A 선생님이 자주 하시는 말씀은 ‘이런 경우엔 일단 두고 보는 게 좋습니다’인데, 이 말은 ‘이런저런 경우의 수가 있는데 이 정도 증상만으로는 단정할 수 없다, 게다가 증상이 경미하니 무리하게 검사를 진행하기보다는 조금 더 지켜보기를 권한다’는 뜻이다. 선생님의 저 말씀에서 과잉진료라고는 찾아볼 수 없었다.
병원 접수대에서 근무하시는 B 선생님 역시 믿음이 가는 스타일이다. 진료 예약을 누락한다던가 약을 잘못 주는 사소한 실수는 단 한 번도 없었고, 갈 때마다 아이의 이름을 외우지 못한다던가 다른 아이로 착각하는 경우도 없었다. 길게 대화를 나눈 적은 없지만 이 선생님에게 ‘새벽이’와 ‘새벽이 보호자’가 정확하게 인식되는 느낌을 항상 받았다. 우리 가족이 B 선생님께 대단히 특별하다는 착각이 아니라 선생님께선 모든 보호자와 반려동물을 (결제하는 NPC가 아니라) 개별 주체로 정확하게 인식하신다는 의미다. 어느 날 이 선생님이 휴가를 다녀오셨는지 병원에서 보이지 않아 순간 진지하게 병원 옮길 고민까지 했을 정도로 마음속으로 신뢰하는 분이다.
하지만 가장 감사한분은 지금 새벽이의 주치의이신 C 선생님이다. C 선생님은 A 선생님만 계시던 병원에 새로 오신 외과 전공의시다. A 원장님 진료 예약이 다 차서 C 원장님으로 진료 예약을 하고 병원에 방문했을 때 처음 뵈었다. 선생님은 지나치다 싶을 정도로 다정하고 조심스러운 말씨를 가진 분이셨다. 유난하게 친절한 태도 때문에 의대를 갓 졸업한 수의사 선생님이 새로 오셨다고 생각했을 정도다.
새벽이의 심장이 제대로 기능하지 못한다는 사실을 알게 되던 날, C 무료 카지노 게임은 아주 무거운 어조로 병명과 예후에 대해 설명하셨다. 아직 현실을 제대로 받아들이지 못한 우리 부부에게 무료 카지노 게임이 자신의 전화번호가 있는 명함을 건네주셨다. 응급 상황이 생기면 언제든지 연락 주시라고 말씀하시면서.
난 명함을 받으면서 선생님의 일상을 우려했다. 이렇게 커다란 호의와 책임감으로 아이들을 진료하는 수의사라면 병원 밖의 생활이 있기는 할까? 어떻게든 개인 전화번호로는 연락드리지 않으려 나름 애를 썼지만 악화하는 아이의 병증 앞에서 어쩔 수 없는 순간도 있다. 그리고 선생님은 한 번도 곤란한 기색을 보이지 않으시며 내가 기대한 이상의 노력을 기울여 주셨다.
이제 새벽이의 심장은 약에도 예전처럼 반응하지 못하고 있다. 유의미하다고 정해진 강심제 용량을 크게 초과한 채로 투약하고 있다. 두 수의사 선생님 모두 새벽이가 이렇게까지 견디는 것이 대단한 일이고 보호자 님들도 너무 잘하고 계신다고 말씀해 주셨다. 난 우리 동물병원 선생님들의 이런 배려가 좋다. 보호자에게 죄책감을 심어주지 않으려 말을 고르고, 오랜 간병 기간에도 불구하고 잘해주고 있다고 격려하시는 모습에 또 힘을 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