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보리남순 Sep 20. 2024

토마토

24년 9월 20일 금요일

어릴 때 먹던 토마토는 변변찮은 과일이었다. 설탕이라도 듬뿍 치지 않으면 밍밍한 그것을 과일이라 불러주기에도 민망했다. 토마토가 과일이 아니라는 것을 가정 교과서로 배웠을 때 '그러면 그렇지' 단박 수긍이 되었다. 그러면서도 한편 의문이 들었다. 물컹거리고 밍밍한 이 채소로는 뭘 만들지?


시간이 많이 흘러 내 텃밭을 갖게 되었을 때 뒷집 사람이 토마토 모종 몇 개를 주었다. 남은 모종이라며 심어보라고 했다. 토마토가 열렸을 때 그것이 방울토마토라는 것을 알게 되었다. 빨갛게 익은 방울토마토는 어릴 때 먹었던 밍밍했던 바보맛이 아니었다. 단단하고 야무진 맛이 났다.

제대로 된 토마토 맛을 알게 된 것은 밭에서 토마토를 재배하면서였다. 가장 맛있게 먹는 토마토는 요리히지 않는 토마토다. 일하다가 따먹는 토마토가 제일 맛있다. 빨갛게 잘 익은 토마토 한 개를 옷에 슥슥 문질러서 한입 크게 베어 먹으면 풍부한 과즙이 툭 폭발한다. 그것은 절대로 밍밍한 토마토 맛이 아니다. 달고 시고 맵고 쓰고 짠 오미를 다 느끼게 된다. 어느 맛 하나 크게 튀지 않는 밍밍한 토마토는그래서 어떤나라에서는 채소로 분류되고 또 다른 나라에서는 과일로 불리는가 보다.


올 해는 내 밭에서 자라는 토마토가 영 말이 아니다. 생전처음 토마토배꼽썪음병이 내 밭 토마토에 찾아왔다. 그것만 해도 속상할 일인데 잘 익은 토마토 반토막이 날아가 있는 것들이 여러 개였다. 반 남은 토마토를 들여다보니 먹은 흔적이 남아 있다. 토마토를 훔쳐 먹는 존재를추적해 보았다.

'혹시 고라니가 다시 들어온 걸까?' 의심되는 마음에 몇 해 전 밭작물을 뜯어먹는 고라니 때문에 비싸게 주고 설치한 펜스 주변을 살폈지만 구멍을 찾지 못했다. 고라니가 아니라면 누굴까? 어쩌면 나무 위에서 까악태평하게 노래하고 있는 저 까지가 아닐까? 의심의 눈초리로 까치를 쳐다보자 까치가 내 눈을 피해 고개를 돌린다.


까치는 무리를 이루어 사는 새다. 집에서 키우던 개도 달려드는 까치떼를 피해 도망갈 정도로 까치는 드세다. 까치가 내 밭에 드나들고 난 뒤부터는 참새나 직박구리, 오목눈이 같은 작은 새들도 잘 보이지 않았다. 여러 정황으로 보아토마토를 반쯤씩만 파 먹는 새는 까치가 분명하다. 한 개를 온전히 다 파먹는 것도 아니고 여러 개의 토마토를 반만 파먹다니...

토마토는 내꺼야. 너는 벌레나 먹엇!


새에게 토마토를 뺏기지 않기 위해서 부지런히 밭을 드나들며 토마토를 수확했다. 그렇게 했어도 예년에 비해 수확량은 반토막밖에 되지 않는다. 양이 줄어서 더 귀하게 먹게 된다.

나이가 들어가면서 먹는 것도 복잡하지 않는 방법이 좋다. 토마토를 살짝 끓여서 믹서기에 갈아 주스로 마시기도 하고 오이나 맛없는 참외 같은 것을 납작하게 썰어 토마토와 섞어 올리브오일을 뿌려 먹는다. 가끔은 큰 아이가 사준 트러플 액스트라버진 올리브 오일로 사치를 부린다.


샐러드보다 더 많이 해 먹게 되는 음식은 토마토에 단호박과 콩을 넣어 만든 죽이다. 단호박과 콩 토마토를 잘라서 한소끔 후루룩 끓여서 믹서기로 갈면 간편한 죽이 된다. 아침 대용이나 속이 불편할 때, 또 손님을 접대할 때도 전체음식으로 내놓을 수 있어 여러 가지로 좋다. 잘게 자른 토마토와 단호박이 냉동실로 들어간다. 겨울 양식이다.


일 년 양식이 될 토마토를 까치가 나누어 먹자고 덤비다니!

어림없다, 까치야!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