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표님을 위한 인사(HR)
카지노 쿠폰(Objective, Goal)에 대해 예전부터 쓸까 말까 고민을 많이 했었습니다.
왜냐하면아래작성한카지노 쿠폰의핵심이상을'카지노 쿠폰'에서깨닫지못했기때문입니다.
카지노 쿠폰(Objective, Goal)의 핵심은 세 가지로 말할 수 있습니다.
1. Stretched Goal
2. Alignment
3. Feedback
카지노 쿠폰수립에서도전적카지노 쿠폰(Stretched Goal)는당연하지만이상적인 것입니다.
흔히 평가척도를 5단계(S A B C D)로 나눌 때, S는 도전적이며 달성했을 때 대단한 성취 수준을 나타내는 것에 해당합니다. B는 카지노 쿠폰를 달성한 수준에 해당하죠. 하지만 상당히 많은 사람들은 B를 업무를 수행하며 당연히 달성될 수준으로 정하고, A 또는 S를 카지노 쿠폰를 달성한 수준으로 설정합니다.
카지노 쿠폰 자체의 난이도에 따라 등급을 정의하는 것이 적합하지만, 1) 카지노 쿠폰 자체의 난이도를 인사부서에서 파악하는 게 거의 불가능한 현실과 2) 어려운 카지노 쿠폰 수립으로 카지노 쿠폰 달성률이 낮아지면 소속 부서장의 성과도 낮아지는 것과 같이 해석되기 때문에, 현업에 도전적인 카지노 쿠폰를 세우도록 하는 것은 거부감이 많습니다. 하물며 OKR에서 말하는 Objective는 단순히 도전적 카지노 쿠폰만을 의미하는 것 이상입니다. 그 자체로 일을 하는 이유이자 동기부여가 되어야 하고 비전이 되어야 하죠.
도전적인카지노 쿠폰는달성하면'대단하다!!, 어떻게한거야??!!' 정도의감탄을부를정도의것이어야합니다. 단순하게볼때, 매년매출5억을달성하는영업직에게매출6억은도전적인카지노 쿠폰가아닙니다. 매출10억은되어야합니다. 도전적카지노 쿠폰를세우고가다듬다보면어느새OKR에서말하는Objective와맞닿아있음을깨닫게될것입니다.
일반적인 노력으로는 달성 불가능한 카지노 쿠폰를 세운다. = 도전적 카지노 쿠폰
도전적인 카지노 쿠폰를 달성할 수 있는 방법을 찾는다. = 전략 도출
전략의 실행 결과의 합이 도전적 카지노 쿠폰의 달성에 충분한지 검토하고 보완한다. = 전략의 보완
도전적인 카지노 쿠폰와 전략의 본질을 발견한다.
카지노 쿠폰는 세우는 이유는 한 방향으로 조직의 역량을 집중하기 위해서입니다. 이는 아주 기본적인 경영 전략과 동일합니다. 한 방향으로 조직의 역량을 집중한다는 것은 회사의 비전, 미션, 카지노 쿠폰를 달성하기 위해서 모든 부서, 구성원이 집중한다는 것입니다.
역량을 집중하려면 회사의 카지노 쿠폰는 각 부서의 카지노 쿠폰와 정렬(Alignment)되어 있어야 하며, 누락됨이 없어야 합니다. 또한 특정 영역에 조직의 역량이 쏠려 있어서도 안됩니다. 이는 부서의 카지노 쿠폰와 개인 카지노 쿠폰와의 정렬에서도 마찬가지입니다.
카지노 쿠폰의 Alignment를 점검하는 하는 것은 인사부서에서 일부 수행할 수 있으나, 현업 부서장이 수행하는 것이 적절합니다. 인사부서는 현업 부서장이 올바르게 카지노 쿠폰를 정렬하고 보완할 수 있도록 가이드를 제공하고 도와주어야 합니다.
회사 카지노 쿠폰 ↔ 부서 카지노 쿠폰 ↔ 개인 카지노 쿠폰
Q1. 부서 카지노 쿠폰를 모두 달성하면 회사 카지노 쿠폰가 달성되는가?
Q2. 개인 카지노 쿠폰를 모두 달성하면 부서 카지노 쿠폰가 달성되는가?
Q1, Q2에 명확한 답변을 할 수 없다면 Alignment가 이루어지지 않았다고 판단해도 됩니다.
평가는 '할 일(카지노 쿠폰)'과 '한 일(성과)'에 대해 소통하는 채널입니다. 소통은 쌍방향이어야 합니다. 그래야 서로의 의중을 파악할 수 있고 발전적인 방향으로 나아갈 수 있습니다. Feedback이 없다면 작성한 카지노 쿠폰를 위해 일을 제대로 하고 있는지(구성원 입장에서, 회사 입장에서) 확인하기 힘듭니다. 그냥 '일'을 하고 있을 뿐이죠. 같은 길을 걷기 시작했어도 길을 걷다 보면 어느덧 다른 방향으로 가고 있을 수 있습니다. Feedback은 카지노 쿠폰를 달성할 수 있도록 방향을 잡아주는 것이라고 보면 맞습니다.
그럼 Feedback은 무엇을 해야 할까요?
A1. 구성원은 [내가 할 일은 무엇이며, (특정 기간 동안) 한 일은 무엇입니다.]를 먼저 작성합니다.
→ A1은 되도록 텍스트로 작성해서 부서장에게 전달하는 것이 좋습니다.
A2. 부서장은 [한 일에서 이러한 부분은 잘했고 이러한 부분은 보완하면 좋겠다.]를 작성/소통합니다.
→ A2는 필수적으로 A1을 확인하고 고민하고 텍스트로 작성하되 대면해서 소통하는 것이 좋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