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콜랑 Feb 19. 2025

"해치님이 목숨 걸고 카지노 게임 쫓기고 있구요"

얼마 전에 개봉한 '베테랑 2'의 한 장면이다.

30초 재생 구간에서 "해치님이 목숨걸고 경찰한테 쫓기고 있구요"라는 카지노 게임이 나온다. 영화를 보면서 이 장면에서 대사가 이상하다고 느끼는 사람이 얼마나 될까?


정확하게 카지노 게임하자면 '목숨 걸고 경찰한테서 도망치고 있구요'라고 해야 한다. 그런데 그렇게 카지노 게임하지 않았다. 영화 속 대사도, 영화를 보는 사람도 별다른 생각 없이 영상을 봤을 것이다.


언어는 이런 식으로 작동한다. 완벽하지 않다. 영화 속에서 '해치'는 경찰에게 쫓기고 있는 걸까 아니면 경찰에게서 도망치고 있는 걸까? 내가 카지노 게임하고자 하는 대상의 관점에서 카지노 게임하는 일은 상당한 정도의 인지 처리의 과부하(?)를 요구하는지도 모르겠다.


정확하지 않지만, 또 그렇게 부정확한 대로 처리하여 카지노 게임하지만, 수용하는 사람들(즉, 관객 혹은 우리)은 자연스럽게 이해한다. 문법적으로 정확한 카지노 게임, 논리적으로 사실과 정합적인 카지노 게임, 그런 카지노 게임만으로 의사소통을 하기에는 두뇌의 처리 용량이 부족한 걸까??


그리고 또 하나. 상황 처리와 문법 처리는 병렬적으로 실시간으로 거의 동시에 관계하면서 처리되는 게 확실해 보인다.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