롤랑 바르트
롤랑 바르트의 『카메라 루시다』(『밝은 방』)의 일부분을 옮긴다.
바르트는 엄마의 죽음이후로 하나의 공백기를 거치게 된다. 그렇지만, 그는 글쓰기에 대한 강한 열망에 사로잡히게 된다. 그에게 엄마는살려두어야 할 존재, 그녀만을 위한 기억을 창조해야 했다.
바르트에게서 사후 명성과 관련하여 기념비를 남기는 것은 감사와 인정의 행위가 아니다.그것은 오래 기억되고, 지속되는 기념비인 것이다.
‘ “기념비”가 되고 싶은 마음은 추호도 없다.-그러나 마망에게도 그런 일이 일어나는 것에 대해서는 견딜 수가 없다(아마도 그녀가 글을 쓴 적이 없고, 그래서 내가 없으면 그녀에 대한 기억도 사라져버리고 말 것이기 때문일 것이다.) "
그리하여『카메라 루시다』(『밝은 방)는 사진 이론의 성격을 벗어난다. 그것은 부재하는 대상에 대한 사랑과 그리움을 담은 "애정 어린 헌사"이다. 이 책은 1부 사진 이론과 2부에서 어머니의 사진에 이론을 적용하는 부분으로 나뉜다.
가장 추상적인 '이론'과 깊은 심연에 존재하는 '애도'가 결합된"혼란"스러운 텍스트이다. 담론과 언어를 주관적이고 개인적 차원에서 "뒤섞는" 텍스트이다.
쇼크로스는 말한다.
"보편적인 성격을 지니는 동시에 개인적인 특성을 지니고 있다는 느낌, 다시 말해 사진 일반에 대한 담론인 동시에 그의 어머니에 대한 일종의 추도곡이라는 느낌"(『문제적 텍스트 : 롤랑/바르트』에서 재인용)
이 책은 이미 번역되어 있으나, 절판과 품절 상태에 있어서 아쉽기만 하다.
원문은 『Camera Lucida : Reflections onPhotography, trans. by Richard Howard(New York: Hill and Wang, 1981)』에서 발췌한다.
----------------------
<2부
29번
시간을 거슬러 올라가서 이 사진을 발견했다는 사실도 내 회상에서 빼놓을 수 없다.
그리스인들은 죽음을 거꾸로 거슬러 올라갔고, 그 앞에 놓인 것은 그들의 과거였다. 같은 방식으로 나는 나의 삶이 아닌 사랑하는 사람의 삶을 거꾸로 거슬러 올라갔다.
돌아가시기 전 여름에 찍은 그녀의 마지막 사진(너무 피곤하지만 고상한 모습으로 친구들에게 둘러싸여 집 문 앞에 앉아 있는 모습)에서 시작하여 3/4 세기를 거슬러 어린 시절의 모습에 도착한다:
나는 어린 시절, 어머니, 어머니로서의 어머니의 주권적 선함Sovereign Good을 강렬하게 응시한다. 물론 그때 나는 어머니를 두 번 잃었다. 마지막에 쇠약해졌던 어머니와 최초의 사진 속의 어머니를, 나에게는 그것이 마지막이었다. 그러나 바로 그 순간 모든 것이 일변했고, 나는 그 안에서 어머니를 발견했다. ... (. . 영원성이 그녀를 변화시켜, 말라르메의 구절을 완성한다).
이 사진의 움직임(사진의 질서)은 내가 실제로 경험한 것이다.
생의 마지막, 내가 어머니의 사진을 훑어보다가 겨울 정원 사진을 발견하기 직전에 어머니는 매우 약해지셨다. 나는 그녀의 약함 속에서 살았다 (강함의 세계에 참여하고, 저녁에 외출하는 것은 불가능했다. 모든 사회적 관계가 나를 놀라게했다).
그녀가 투병하는 동안 나는 그녀를 간호했고, 컵보다 마시기 쉬워 그녀가 좋아하던 차 한 그릇을 들고 있었으며, 그녀는 나의 어린 딸이 되어 첫 번째 사진 속의 그 본질적인 아이와 나를 하나로 묶어주었다. 브레히트에서 내가 존경하던 반전으로, 어머니를 (정치적으로) 교육하는 것은 아들이다; 그러나 나는 어머니를 교육하지 않았고, 그녀를 전혀 다른 것으로 전환시키지 않았다; 어떤 의미에서 나는 그녀에게 '말'한 적도, 그녀의 면전에서 그녀를 위해 '담론'한 적도 없었다; 우리는 서로에게 그런 종류의 말을하지 않고도 언어의 경박한 무의미 함, 이미지의 정지가 바로 사랑의 공간, 그 음악이어야한다고 생각했다. 결국 나는 오랫동안 나의 강렬한 내적 법규였던 어머니를 나의 딸로 체험했다.(my feminine child )
그것이 내가 죽음을 해결하는 방식이었다. 많은 철학자들이 말했듯이 죽음이 종족의 가혹한 승리라면, 보편의 만족을 위해 특수적인 것이 죽는다면, 자신과 다른 것으로 재생산된 후 개인이 죽는다면, 이로써 자신을 부정하고 초월한 채 죽는다면, 자식을 낳아본 적이 없는 내가, 바로 어머니의 병을 통해 나의 어머니를 낳은 것이다.
어머니가 돌아가신 후 나는 더 이상 엘랑 비탈의 행진에 나 자신을 맞출 이유가 없었다.
나의 특수성은 다시는 보편화될 수 없었다(유토피아적으로, 글을 쓰는 것이 내 인생의 유일한 목표가 되지 않는 한).
지금부터 나는 더 이상 아무것도 할 수 없는, 완전한 비변증법적인 죽음을 기다리는 것밖에 할 일이 없다.
이것이 내가 <온실 사진에서 읽은 내용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