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송무호 Feb 23. 2025

'침묵의 살인자' 고카지노 게임, 평생 약을 먹어야 할까?

습관을 바꾸면 약이 필요 없다

간호사: (전화로) 원장님 큰일 났습니다.

필자: 왜요? 무슨 일인데요?

간호사: 환자가 걷다가 실신했어요!

필자: 바이탈은 어떤가요?

간호사: 의식은 돌아왔는데 카지노 게임이 90에 60으로 낮아요.

필자: 고카지노 게임이 있던 환자 아닌가요?

간호사: 예 맞습니다. 혈압약 드시는 분입니다.


필자의 환자들은 입원 후 모두 채식을 한다. 고카지노 게임 약을 오랫동안 드시던 분들 중에 자신도 모르게 혈압이 떨어져 어지럽다는 증상을 호소하는 경우가 종종 있다.


채식 때문이다.


이런 분들은 애당초 약보다는 채식만 했어도 고카지노 게임이 완치되었을 가능성이 컸던 분이었다.




카지노 게임이란 무엇이며, 왜 올라가는 것일까?


심장에서 나온 혈액을 전신으로 보내는 '동맥' 속의 혈액이 혈관 벽을 누르는 압력을 '혈압'이라 하고, 그 압력이 오랫동안 높게 지속되는 걸 '고카지노 게임'이라 한다.


심장을 수도관, 동맥을 고무호스로 생각해 보면 이해하기 쉽다.


가까이 있는 식물에 물을 줄 때는 수도꼭지의 수압을 낮게 틀어도 물을 줄 수 있지만, 멀리 있는 식물에 물을 줄 때는 수도꼭지의 수압을 올리거나 손가락으로 호스 끝을 눌러 압력을 올려야 한다.


만약 고무호스가 오래되어 내부에 퇴적물찌꺼기가 차 직경이 줄어들면, 수도꼭지를 더 세게 틀어야 멀리 있는 식물에 물을 줄 수 있다. 하지만 약해진 호스가 그 수압을 감당하지 못하면 호스가 찢어질 수도 있다.


고카지노 게임이 있으면 심장과 동맥이 이와 비슷한 상황을 겪는다.


어떤 이유로든 동맥이 좁아져 말단 기관에 가야 할 혈액이 부족해지면, 심장이 펌핑을 더 강하게 해서 혈압을 올려 말단 기관으로 가는 혈액 양을 유지한다.


이렇게 자동적으로 인체 내부 환경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기능을'항상성'(恒常性, homeostasis)이라 하는데 배가 고프고, 갈증이 나고, 땀이 나고, 소변을 보고, 잠을 자는 모든 일상적인 생리활동이 그것이다. 이런 항상성 조절 기능을 통해 우리 몸은 체온, 혈압, 혈당, 전해질, 체액량 등을 일정하게 유지한다. 마치 보일러의 온도조절장치(thermostat)와 같은 자동 조절 시스템이다. 이런 항상성은 자율신경계와 호르몬에 의해 유지되는데, 항상성이 깨지면 질병이 생기고, 항상성이 망가져 돌이킬 수 없는 상태가 죽음이다 [1].


고카지노 게임은 몸속 주요 기관의 혈액 공급이 부족해지면 '항상성' 기전에 의해 발생하는 생존 반응이다.




나이가 들면서 고카지노 게임 발생 빈도가 증가하지만, 나이가 많아도 고카지노 게임이 없는 사람이 있고, 젊지만 고카지노 게임이 있는 사람이 있으니 나이가 고카지노 게임의 원인이라 하긴 힘들다.


카지노 게임이 오르는 기전은 아래 그림과 같이 매우 복잡하다 [2].


카지노 게임E Adua. Journal of Human Hypertension 2023


혈압은 크게 두 가지 요소에 의해 결정된다.


심장이 펌핑하는 혈액 양(the amount of blood the heart pumps)과 혈액이 동맥을 통과하기가 얼마나 어려운가(how hard it is for the blood to move through the arteries)이다. 심장이 펌핑하는 혈액 양이 많을수록, 동맥이 좁을수록 혈압은 높아진다.


혈액 양이 증가하는 가장 흔한 원인은 소금 섭취 증가고, 동맥이 좁아지는 가장 흔한 원인은 죽상동맥경화증이다 [3].


소금 섭취와 고카지노 게임의 관계는 비교적 잘 알려져 있어, 흔히들 음식 "짜게 먹지 말라"는 말로 대중들이 잘 알고 있다. 소금을 많이 섭취하면 혈액 내 체액량이 증가하여 혈압이 상승한다 [4,5].


소금 섭취보다 훨씬 더 중요한 것은 죽상동맥경화증(atherosclerosis)이다.


죽상경화증(atherosis)은 동맥 혈관 내부에 콜레스테롤과 중성지방이 '죽'처럼 기름때를 형성하여 혈관벽에 달라붙고,시간이 지나면서 칼슘이 침착되고 딱딱해지면서 '플라크'를 만들고 혈관이 좁아지는 과정이다. 동맥경화증(arteriosclerosis)은 동맥 혈관벽 중간층에 퇴행성 변화가 일어나 탄성이 줄어들어 딱딱해지는 일종의 노화현상이다 [6,7].


이런 죽상경화증과 동맥경화증이 같이 일어나 혈액 순환이 저해되는 상태가 '죽상동맥경화증'이다 (아래그림) [8].


카지노 게임L Melaku, A Dabi. Bull Natl Res Cent 2021


혈관이 좁아지면 통과하는 혈액 양이 감소한다. 좁아진 혈관을 통해서라도 말단 조직에 피를 공급해야 하니, 심장은 펌핑을 더 강하게 하여 혈압을 올린다.


플라크가 커지면서 혈관이 좁아지고, 어떤 경우에는 플라크가 터지면서 혈전(피떡)이 생겨 혈관을 막기도 한다. 막힌 장소가 심장이면 심근경색, 뇌면 뇌경색이 온다. 높아진 혈압을 혈관이 이기지 못하고 터지면 뇌출혈이나 망막출혈이 일어난다.




고카지노 게임은 오랜 기간 동안 특별한 증상이 없다.


카지노 게임은 자신도 모르는 사이에 서서히 올라가고, 혈관 문제도 상당히 진행될 때까지는 잘 모른다. 일부에서 가끔 머리가 아프거나 코피가 날 수는 있지만, 고카지노 게임인지 모르고 방치하다가심장, 뇌, 콩팥 등 주요 장기에합병증이 생겨 고생한다. 병이 상당히 진행될 때까진 아무런 증상이 없어 ‘침묵의 살인자’라 불린다.


전 세계적으로 사망 원인 1위는 심혈관 질환이며, 가장 높은 위험 인자는 고카지노 게임이다. (*한국 사망 원인 1위 암, 2위 심혈관 질환 [9])


고카지노 게임 환자는 지속적으로 늘어나고 있다.우리나라 성인 3명 중 1명은 고카지노 게임 환자다 (아래그래프).


카지노 게임


2021년 기준, 20세 이상 성인 인구 31%, 65세 이상 65%가 고카지노 게임을 앓고 있다. 합병증 환자는 약 38만명으로 관상동맥질환(21만명)이 가장 많고, 뇌혈관질환(18만명), 심부전(14만명), 만성콩팥질환(9만명)이 뒤를 있는다 [10].


사망에 이르는 심각한 질병인 심근경색의 60%, 뇌졸중의 90%는 고카지노 게임으로 인해 발생한다 [11].


최근에는 젊은 고카지노 게임 환자가 급증하고 있어 심각한 사회문제라 아니할 수 없다(아래기사) [12].





고카지노 게임이 병인가?


"뭐라고? 고카지노 게임이 병이 아니면 뭔가?.."


일반인 대다수는 이런 반응을 보이겠지만, 이 질문에 대한 답을 알아야 고카지노 게임을 치료할 수 있다.


우선 의학용어 중 '병'과 '증상'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병과 증상은 다른 말이다. 예를 들어 감기라는 '병'에 걸리면 열이 나고, 기침이 나는 '증상'이 생긴다.


바이러스가 몸에 침투한 걸 인지한 뇌는 면역시스템을 활성화시키고, 열에 약한 바이러스의 활동을억제하기 위해 '체온'을 올리고, 기관지에 고인 분비물과 바이러스를 몸 밖으로 내 보내기 위해 '기침'을 한다. 이런증상들은 병에서 회복하기 위한 생리적인 현상으로 몸에 이로운 반응이기에, 인위적으로 억제하면 오히려 해롭다.


해열제를 써서 열을 내리고, 기침약으로 기침을 억제하면 감기의 회복이 지연된다.


증상은 병이 난 것을 알려줄 뿐만 아니라, 병을 낫게 해주는 역할까지 하는 좋은 반응이다.


고카지노 게임은 병이 아니고 증상이다.


혈압은 필요에 따라 몸이 스스로 조절한다. 아침에 일어날 땐 활동을 돕기 위해 혈압이 올라가고, 저녁에 잠들 땐 혈압이 내려간다. 운동시엔 근육에 많은 혈액을 공급하기 위해 혈압이 올라가고, 휴식시엔 혈압이 떨어진다. 스트레스를 받으면 "Fight or Flight" 상황이 되어 혈압이 올라가고, 안정시엔 혈압이 떨어진다.


고카지노 게임은 생명을 지키기 위한 내 몸의 생존 반응이다.


뇌나 콩팥 등 생명 유지에 중요한 장기로 가는 혈액 공급이 부족해지면, 우리 몸은 스스로 카지노 게임을 올린다 [13]. 다리, 발 등 말단 조직에 혈액 공급이 부족해도 혈압이 올라간다. 혈액 공급이 부족해지는 이유는 혈관이 좁아졌기때문이고, 혈관이 좁아지는 가장 큰 원인은 '죽상동맥경화증'이다 [14].




'죽상동맥경화증'은 왜 생기는가?

https://my.clevelandclinic.org/health/diseases/16753-atherosclerosis-arterial-disease

혈액 내의 콜레스테롤과 중성지방이 많을 때 발생한다.


콜레스테롤과 중성지방은 동물성 식품에 많이 들어 있기에 동물성 식품을 즐겨 먹는 사람은 죽상동맥경화증에 잘 걸린다. (*콜레스테롤 및 중성지방 상세설명 - /@mhsong21/33)


풍요병(Disease of influence)이란 말이 있다.


가난한 나라보다 부자 나라에서 많이 생기는 병이란 뜻이다. 건강에 관한 지적 수준이 높고, 위생 상태도 좋고, 영양 상태도 좋고, 의료 시설도 좋기에 병이 적게 생길거라 생각되지만 고카지노 게임, 당뇨, 비만, 고지혈증 등 현대인을 괴롭히는 가장 흔한 만성질환들은 부자 나라에서 압도적으로 더 많이 발생한다.


왜 그럴까?


부자 나라 사람들은 고기·생선·우유·계란 등동물성 식품을 많이 먹는다. 이런 식품에는 지방이 많기에 비만하게 되고, 살이 찌면 혈액 내 중성지방이 올라간다. 중성지방은 콜레스테롤과 함께 '죽상동맥경화증'을 만들어 혈관이좁아지게 되고, 우리 몸은 '항상성' 기전에 따라 혈압을 올린다. 이것이 오래 지속되면 고카지노 게임 환자가 되는 것이다.


비만과 고카지노 게임은 '한 몸'이나 마찬가지다. (*살 빼는 방법 - /@mhsong21/37)




몸을 순환하는 피는 같은 성분이고, 죽상동맥경화증은 온몸 혈관을 다 침범하기에, 굵은 혈관보다는 가는 혈관이 영향을 더 많이 받는다. 예를 들어 혈관 내에 약 1mm 기름때가 생겼을 때를 가정해 볼 때, 혈관 직경이 5mm인 혈관보다 2mm인 혈관이 더 큰 영향을 받는다.


'탄광의 카나리아'(canary in the coal mine) 란 말이 있다.


https://www.abc.net.au/news/2020-05-21/canary-coal-mine-gas-underground-mining-technology-monitoring


19세기 당시 위험한 직업의 대명사격인 탄광에서 일하던 광부들은노란 카나리아한 마리를 새장에 넣어 들고 다녔다. 탄광은 각종 사고가 자주 발생하는 곳인데, 그중 하나가 갱도 벽에서 스며나오는 유독가스 중독 사고다. 예를 들어 일산화탄소는무색, 무취, 무미, 비자극성이지만 맹독성 가스다. 광부들은 새장 속 카나리아의 상태를 보며 작업을 계속할지 갱도를 탈출할지를 판단했다. 카나리아는 유독가스에 민감하게 반응하기 때문이다.


남성에게 흔한 발기부전(Erectile dysfunction)은 심혈관질환 '탄광의 카나리아' 역할을 한다. 페니스 동맥 직경은 1-2mm인 반면 심장 동맥은 3-4mm 정도이다. 일반적으로 동맥 직경의 50% 이상이 막히면 증상이 나타나기 시작하므로, 직경이 작은 동맥을 가진 페니스부터 증상이 나타난다 (아래도표) [15,16].


GI Hackett. British Journal of Diabetes 2016


발기부전 증상이 나타나고 3-5년 뒤에 협심증(가슴 통증), 심근경색, 뇌경색 등 치명적인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다 [17]. 40대에 발기부전이 생긴 분은 그렇지 않은 분에 비해 심장마비가 생길 확률이 무려 50배나 증가한다 [18].


따라서 발기부전이 있는 남성은 자신의 혈관이 서서히 막혀가고 있다는 걸 인지하고, 혈관이 더 이상 막히지 않도록 조치를 취해야 한다.


혈관이 막혀가는 초기 증상이 나타나는데도 불구하고 방치하고 있으면, 혈관은 점점 더 막혀 심각한 문제들이 발생한다.


심장에 혈액을 공급하는 관상동맥, 뇌에 혈액을 공급하는 뇌동맥과 경동맥, 콩팥의 신동맥, 그리고 다리의 혈관이 좁아지면서 협심증, 심근경색, 뇌경색, 치매, 만성신부전, 허혈성 하지질환(간헐적 파행) 등 여러가지 병들이 하나둘씩 따라온다.




고카지노 게임 치료는 어떻게 하나?


고카지노 게임이 '병'이라면 모든 수단을 동원해서 혈압을 낮추어야 한다. 하지만 고카지노 게임은 '증상'이기에 억지로 낮춰버리면 그나마 유지되던 혈액공급이 줄어들어 심장, 뇌, 콩팥 등 주요 장기가 위험에 처해지기에, 고카지노 게임 자체를 치료하는 게 아니라 고카지노 게임을 일으킨 원인을 치료해야 한다.


문제의 '원인'을 모르면 문제를 해결할 수 없다.


'idiopathic'이란 의학 용어가 있다.


필자가 의대생 시절 참 의아해했던 용어다. 영어 단어 'idio-'는 그리스어로 '그 자체'라는 뜻을 지닌 'idios'에서 나왔고, 'pathic'은 '고통, 질병'이란 뜻을 가진 'pathos'에서 나왔다. 쉽게 말해 원인은 잘 모르고 그냥 생긴 병이라는 뜻이다.


원인이 'idiopathic' 인 질병들이 매우 많은데, 고카지노 게임도 그중 하나다. 내분비나 콩팥 이상 등 원인이 확실한 경우를 2차성 고카지노 게임이라 하고, 원인을 잘 모르는 고카지노 게임을 1차성 고카지노 게임이라고 한다. 전체 고카지노 게임 중 90-95%는 1차성 고카지노 게임이고,2차성 고카지노 게임은 5-10% 뿐이다 [19]. 일차성 고카지노 게임을 본태성, 원발성, 특발성 고카지노 게임 등으로 부르는데,원인을 잘 모른다는 의미다.


허무하기 짝이 없다.


2023년 한국에서 가장 많이 처방된 건강보험 지출 1위 약은 고지혈증약(2조8천억원), 2위 암치료제(2조7천억원), 3위 카지노 게임강하제(2조원), 4위 위장약(1조4천억원), 5위 당뇨병약(1조4천억원)이다 [20]. 고지혈증약과 혈압강하제는 어차피 고카지노 게임 환자에게 사용되는 약이니, 모든 약 중고카지노 게임 관련 약이 가장 많이 팔린다.


원인을 모른다면서 약은 이렇게 많이 쓰고 있다.


원인을 모르는데 치료가 되나?


당연히치료가 안된다. 단지 증상 완화만 할 뿐이다. 그래서 의사들은 고카지노 게임은 완치시킬 수 있는 병이 아니고, '평생 관리해야 하는 병'이며, 꾸준히 약을 먹는 것 외에는 특별한 방법이 없다고 한다.


과연 그럴까?


고카지노 게임의 가장 큰 원인은 혈관이 좁아지면서 나타나는 혈액 공급 저하를 막기위한 '항상성' 기전이다. 혈관이 좁아지는 원인은 죽상동맥경화증이고, 죽상동맥경화증은 콜레스테롤과 밀접한 관계가 있기에 콜레스테롤 수치를 낮추면고카지노 게임은 치료가 된다.


고카지노 게임이 없는 성인 남성 약 3천명을 14년간 추적 관찰 후 발생한 약 1천명의 고카지노 게임 환자를 분석한 연구 결과, 총콜레스테롤 수치가 높은 사람은 낮은 사람에 비해 고카지노 게임 발병 위험이 약 40% 증가했고, 총 콜레스테롤과 HDL 비율이 안 좋은 사람은 발병 위험이 약 55% 증가했다 [21].


미국, 영국, 일본, 중국의 40~59세 약 4천6백명 참가자의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음식을 통한 콜레스테롤 섭취는 혈압과 밀접한 관련이 있었다. 콜레스테롤 섭취가 많은 사람은 혈압이 높았고, 섭취가 적은 사람은 혈압이 낮았다. 콜레스테롤 섭취 증가는 혈압을 올리므로, 고카지노 게임 예방 및 치료를 위해 콜레스테롤 섭취를 줄이라고 했다 [22].


콜레스테롤을 다스리는 것이 고카지노 게임 치료의 첫걸음이다.




지금 병원에서 하고 있는 대부분의 고카지노 게임 치료는 '원인 치료'가 아닌 '증상 치료'다.


'원인 치료'인 식이요법이나 운동요법은 과정이 힘들고 상당한 시간이 지나야 효과를 볼 수 있다고 생각하는 반면, '증상 치료'인 약물은 금방 효과를 볼 수 있기에 대다수의 사람들은 약물치료를 우선 선택한다. 병원에서도 생활습관 교정 등 비약물적 요법을 먼저 권해야 하지만, 약물을 먼저 처방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편리함을 추구하기 때문이다.


미국 심장학회의 고카지노 게임 치료 가이드라인에는 160/100mmHg 이하의 1기 고카지노 게임에는 생활습관 교정을 우선적으로 권하고 있다 (아래도표) [23].


AS Go, et al. Hypertension 2014;63(4):878-885.


고카지노 게임 약은 크게 3가지 종류로 나뉜다.


1. 심장 수축력을 저하시키는 약 (e.g. 베타차단제).

2. 혈액 중 수분을 소변으로 강제 배설시켜 혈액 양을 줄이는 약 (e.g. 이뇨제).

3. 혈관을 이완시키는 약 (e.g. 칼슘통로 차단제, 안지오텐신 억제제).


이런 약들은 분명히 효과는 있다. 하지만 그 효과가 길어도 하루를 넘기지 못하기에 매일 약을 먹어야 한다. 수십년간 약을 복용해도 약을 끊는 순간, 다시 혈압이 상승하므로 근본 치료와는 거리가 멀다. 그래서 '고카지노 게임약은 한번 먹기 시작하면 평생 먹어야 한다'고 말한다.


'베타차단제'는 심장의 펌프질을 약화시키기에 각종 장기로 가는 혈액 부족을 심화시켜 저혈압, 어지럼증, 우울증, 부정맥, 심부전, 발기부전등을 일으킨다 [24].


'이뇨제'는 수분과 나트륨을 콩팥에서 강제 배설시켜 혈액 양을 줄이기에 혈압은 다소 내려가지만, 몸이 탈수된 상태라 갈증이 나서 물을 찾아 마시게 되면 다시 혈액 양이 증가하여 혈압은 원상태로 복귀한다. 수분과 함께 전해질이 빠져나가기에 저나트륨혈증, 저칼륨혈증, 저마그네슘혈증 등이 생기고 반대로 고요산혈증, 고혈당증으로 인해 통풍이나 당뇨병이 발생할 수도 있다 [25].


요즘 가장 많이 처방되고 있는 '혈관이완제'는 혈관에 있는 미세 근육이 수축을 못하도록 해서 혈관을 이완시키는 작용을 한다. 혈관은 평상시 수축과 이완이 반복적으로 균형을 이루면서 몸의 요구에 따라 적절한 상태를 유지하는데, 강제로 수축을 못하게 만들면 결과적으로 혈관이 넓어지면서 혈압은 떨어진다. '칼슘통로 차단제'는 안면홍조, 두통, 다리 및 발목 부종 등의 부작용이 생길 수 있고 [26].'안지오텐신 억제제'는 마른기침이나 인후부종으로 인한 호흡곤란 등의 부작용이 생길 수 있다 [27].


각종 혈압약이 가지는 공통적인 부작용으로는 기운이 없고, 피곤하고, 정신이 멍하고, 어지럽고, 기립성 저혈압, 우울증 등이 나타나는데 이런 증상들은 뇌를 비롯한 각종 조직에 산소와 영양소 공급이 부족하다는 신호다. 이 역시 강제로 혈압을 내리기에 발생한다.


너무 쉽게 약을 처방하고, 너무 쉽게 약을 먹는 세상이라, 아이러니하게도 혈압이 정상보다 낮은 저혈압 환자가 늘면서 "고카지노 게임 환자가 저혈압으로 쓰러지는" 웃지 못할 상황이 종종 발생한다 [28]. 저혈압으로 인한 실신은 심각한 부작용으로, 자신도 모르게 의식을 잃고 넘어지면서 머리를 다치거나 얼굴을 다쳐 응급실에 실려오기도 한다.


약으로는 고카지노 게임이 낫지 않는다.


장기간 약물 사용으로 인한 각종 부작용이 있을 뿐이다.




혈압약을 오래 먹으면 혈관이 잘 막힌다.


고카지노 게임은 죽상동맥경화증으로 혈관이 좁아져있고, 혈액 중 지방성분이 많아 피가 끈끈한 상태다. 피가 끈끈하면 피 성분끼리 엉겨 붙어 혈전(피떡)이 잘 생긴다.


혈관이 좁고 피가 끈끈해도 혈압이 높으면 혈전이 생기는 것을 어느정도 방지할 수 있다. 피끼리 엉기려 하다가도 높은 압력에 의해 분해된다. 물살이 빠른 곳에 퇴적물이 쌓이지 않는 원리와 마찬가지다. 약으로 혈압을 강제로 내리면 피가 더 쉽게 엉기게 되어 혈전이 잘 생긴다.


요즘 심근경색, 뇌경색 환자가 증가하는 중요한 이유 중 하나는 고카지노 게임 치료를 약에 너무 의존하기 때문이다. 약으로 혈압을 강제로 낮추면 혈관이 터질 가능성은 줄어들지만, 혈관이 막힐 가능성은 더 커진다. 뇌졸중 환자 중뇌혈관이 막히는 뇌경색이 전체의80%,뇌혈관이 터져서 발생하는 뇌출혈이 20%를 차지한다 [29]. 지난 10년간 뇌졸중은 9.5% 증가,심근경색은 54.5% 나 증가했다(아래자료) [30].


그렇게 좋은 약들이 계속해서 쏟아져 나오는데 합병증 환자는 왜 점점 더 늘어날까?


약이 근본 치료가 아니기 때문이다.


심근경색은 초기 사망률이 40%로, 병원으로 이동해 치료해도 병원 내 사망률이 5~10%에 이르는 매우 심각한 질환이다 [31].


응급실로 온 심근경색 환자의 심장 혈관이 좁아진 것이 확인되면, 좁아진 관상동맥 부위에 금속으로 된 얇은 그물망인 직경 2mm 정도의 '스텐트'를 넣어 좁아진 혈관을 넓혀주는 경피적관상동맥중재술(PCI,Percutaneous Coronary Intervention)을 한다 (아래그림) [32].


심장 스텐트 시술 개념도, 서울아산병원


스텐트 시술은 응급실로 실려온 환자의 생명을 살리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그러나 응급 상황이 아닌 협심증에 대한 스텐트 시술은 권하지 않는다. 약물 사용에 비해 장점이 없고, 추 후 심근경색을 예방하지도 못하고, 사망률을 줄이지도 못하기 때문이다 [33,34].


환자에게 장점은 별로 없고, 잘못되면 해를 줄 수 있는 '과잉치료'는 흔히 발생한다.


2017년 하버드의대에서 약 2천명 의사들을 상대로 조사한 연구에 따르면, 현행 의료에서 불필요한 과잉치료가 약 20%나 될 정도로 흔히 일어나고 있다 [35]. 미국 전역에서 시행된 약 50만례의 심장 스텐트 시술을 분석한 결과, 응급이 아닌 경우 환자의 50%만이 적절한 치료였고, 나머지 50%는 부적절한 치료(38% 불명확, 12% 불필요)라고 했다 [36].


협심증 환자를 대상으로 스텐트 한 군이나, 약물 투여만 한 군의 임상결과는 차이가 없다는 연구도 저명 학술지인 Lancet 이나 JAMA에 보고되어 있다 [37,38].


스텐트 시술로 심근경색을 예방하지도 못하고, 사망률을 줄이지도 못하는 이유는심장 혈관을 막는 죽상동맥경화증은 국소질환이 아니라 전신질환이기에, 심장 혈관 몇 곳에 스텐트를 넣는다고 문제가 해결되는 게 아니기 때문이다 [39,40].


스텐트 시술은 빈도는 낮지만 실제적인 위험이 있어 쉽게 생각해서는 안된다. 사망(0.65%), 뇌졸중(0.2%), 심근경색(15%), 신장손상(13%), 혈관손상(2–6%)의 중대한 합병증이 시술로 인해 발생한다 [41].


큰 장점이 없는 비응급 협심증 환자에게, 왜 아직도 수많은 스텐트 시술이 이루어지고 있을까?


스텐트가 심근경색을 예방해 줄 거라 환자는 믿고 있고, 병원에서는 스텐트로 심근경색 예방이 안된다는 사실은 자세히 설명해주지 않기 때문이다 [42,43].


병원 수익이 약 처방이나 생활습관 지도보다는 이러한 시술에서 많이 창출되는 것도 한 원인이다(Current reimbursement favors procedures over medication and lifestyle change, and it is possible that reimbursement may influence physicians’ recommendations.) [44,45].


참고로 미국에서 심장 스텐트 시술 시 병원에서 받는 돈은 1만불에서 4만불에 이르는 고가의 시술이다 [46].


의료의 질 및 환자 만족도가 높아 세계 최고병원 1위로 해마다 선정되는 미국 메이요 클리닉(Mayo Clinic)에서 환자가 이해하기 쉽도록 만든 자료가 있어 소개한다 (아래도표) [47,48].



도표 상단에 스텐트 시술로 심장마비나 조기 사망을 줄이지는 못한다고 기술되어 있다. 스텐트 시술 후 주관적 증상 완화가 1주째 가장 높으나, 6개월이 되면 별 차이가 없어진다. 유일한 장점은 주관적 만족도다.


doi:10.1371/journal.pone.0049827.g004


단점으로는 스텐트 시술 시 100명 중 1명은 심장마비, 뇌졸중 또는 급사할 수 있다. 시술 후 1년 동안 2%에서 스텐트 한 부위에서 다시 혈전이 생겨 심장마비가 올 수 있고, 3%에서 스텐트 시술 후 평생 먹어야 하는 혈전예방제로 인한 출혈성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고, 7%에서 추가로 다른 혈관에 스텐트 시술이 필요할 수 있다.


장점과 단점을 고려해 볼 때 당신은 어느 쪽을 선택하길 원하는가?


이런 자세한 정보를 환자에게 먼저 제공하고 스텐트 시술 여부를 결정한다고 하니, 세계 1위 병원의 환자 만족도가 높을 수밖에 없다.


여기서 하나 더 주목해야 할 사실은, 스텐트 안하고 약물로만 치료하는 환자들 중 1년 안에 14%에서 스텐트 시술이 필요할 수 있다고 나와있다.


약물로 이 병을 근본적으로 치료할 수 없다는 말이다.


이유는 간단하다. 병의 원인을 치료하지 않기 때문이다.


약을 꼬박꼬박 잘 챙겨 드시는 분들껜 실망스런 얘기지만, 약을 먹어 카지노 게임을 잘 관리한다 하더라도 합병증을 막지 못한다.


2015년 미국 심장학회지 보고에 의하면, 현재 사용하고 있는 수많은 고카지노 게임 약들은 혈압을 낮추는 데는 성공했으나, 심근경색이나 뇌졸중 등 심각한 심혈관계 합병증 빈도를 줄이는 데는 실패했다. 약으로 혈압을 정상화시켜도 9.5년 추시 결과, 정상인에 비해 합병증 발생 빈도는 2배에 이르렀다 [49].


2019년 고카지노 게임 저널에도 유사한 내용이 실렸는데, 놀라운 사실은 고카지노 게임 약을 잘 챙겨 먹어 정상 혈압(140/90mmHg 이하)을 유지하는 군(초록색라인)에서 가장 합병증 빈도가 높았다. 심지어는 고카지노 게임이 있지만약을 안 먹는 군(노란색라인) 보다 더 높았다(아래도표) [50].

J Gronewold, et al. Hypertension 2019


약을 먹는 이유가 뭔가?


단지 내려간 카지노 게임수치를 보고 위안을 얻기 위해서인가? 아니면 추후 발생할 수 있는 심각한 합병증을 막기 위해서인가?


합병증을 막지 못하는 약은 그야말로 '눈 가리고 아웅'하는 격이다.




고카지노 게임이 오래되면 심장이 지친다.


동맥 내의 압력이 높은데도 불구하고 그보다 더 높은 압력으로 펌프질을 계속해야 하니 심장 근육이 두꺼워진다. 두꺼워진 심장 근육 자체도 산소와 영양분을 더 많이 필요로 하지만, 좁아진 관상동맥 혈관으로 인해 혈액 공급이 원활치 못하니 진퇴양난의 상황에 빠지게 된다.


이렇게 힘든 상태가 오래 지속되면 심장 근육이 서서히 지치다가 제대로 박동을 못해서 '부정맥(不整脈, Arrhythmia)'이 생기고, 나중에는 제대로 힘을 쓰지 못하는 '심부전(心不全, Heart failure)'상태가 되기도 한다.


고카지노 게임을 10-20년 앓는 동안 진단명이 하나 둘씩 추가되는데 흔한 게 '심부전'이다 (* 아래 소견서 참조)



위 소견서는 고카지노 게임의 전형적인 형태를 다 보여주고 있다. 죽상동맥경화증부터 심장비대, 부정맥, 심부전까지..


'심장 질환의 종착역'인 심부전이 생기면 심장으로 들어온 혈액을 제대로 뿜어내지 못해 심장에 혈액이 고인다.폐에도 혈액이 고여가벼운 활동에도 숨이 차고,자다가 숨이 차서 깨기도 하고, 혈액순환이 잘 안되니다리가 붓는다.


이때 심장 활동을 억제하는 약물을 추가로 쓰면 심장에는 다소 도움을 주겠지만 혈압이 더 내려가기에 뇌와 콩팥에 공급되는 혈액이 이전보다 줄어들면서 또 다른 문제를 야기한다. '엎친데 덮친 격'이 된다. 필자의 모친도 고카지노 게임 약을 약 30년 복용 후(약이 점점 늘어 한 주먹씩 드셨다) 결국, 심부전 등 각종 합병증이 생겨 고생하시다 72세에 돌아가셨다.


혈압약은 중요 장기에 혈액부족 사태를 불러온다.


죽상동맥경화증으로 혈관이 좁아져 있더라도 우리 몸은 저절로 혈압을 올려 그나마 혈액공급이 유지되지만, 약으로 혈압을 강제로 내려버리면 혈액부족 현상이 생긴다. 이런 상태가 오래 지속되면 그 장기는 서서히 기능을 잃어가는데 뇌와 콩팥에 이런 현상이 많이 나타난다. 뇌로 가는 혈액이 부족해지면 뇌신경이 서서히 죽어가면서 치매가 발생할 수 있다 [51,52,53].


2018년 중앙치매센터의 조사에 의하면 한국 65세 이상 노인인구의 10%(약 70만명)가 치매를 앓고 있으며, 그 수는빠른 속도로 증가하고 있다 [54].


콩팥은 노폐물을 걸러 피를 깨끗하게 하는 정수기 역할과 수분과 전해질을 조절해 혈압을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혈액이 많이 공급되어야 하는데, 그러지 못하면 콩팥 기능을 유지할 수 없어 신부전 상태에 빠지게 된다. 2022년 우리나라 만성신장병 환자수는 약 30만명으로 10년 동안 2배 이상 증가하였으며 그 수는 급속도로 늘어나고 있다 [55].




약을 안 먹고, 그럼 어떻게 고카지노 게임을 치료하나?


원인 치료를 하면 된다.


고카지노 게임은 혈액 중 지방 성분이 많아져서 생기는 죽상동맥경화증으로 혈관이 좁아지면서발생한다. 따라서 지방 성분인 콜레스테롤과 중성지방 수치를 낮춰주면 고카지노 게임 문제는 저절로 해결된다.


가장 쉬운 방법은 콜레스테롤 섭취를 줄이는 것이다.


모든 의학계 논쟁을 통틀어 콜레스테롤처럼 '뜨거운 감자'(hot potato)도 없다.


미국에서는 1980년부터 '미국인을 위한 식이 지침(Dietary Guidelines for Americans)'을 농무부(USDA)에서 보건복지부와 함께 5년마다 발표한다. 이 권고안은 학교, 병원, 요양시설, 군대, 정부기관, 사회단체 등 급식시설이 있는 모든 곳의 식사 방침을 결정하기에 엄청난 영향력을 가진다.지침에서 일관되게 권고해 온 것은 고기, 유제품, 계란을 포함한 지방과 동물성 식품의 섭취를 줄이고 과일, 야채, 곡물을 포함한 탄수화물과 식물성 식품의 섭취를 늘리라는 것이었다. 그리고 콜레스테롤 섭취는 하루 300mg 이하로 줄이라고 했었다 [56].


그런데 2015년 갑자기 기존의 방침과 다른 의견을 내놓았다. 식품으로 섭취하는 콜레스테롤은 더 이상 과다섭취를 걱정해야 할 영양소가 아니다(Dietary cholesterol should no longer be considered a 'nutrient of concern' for overconsumption). 혈중 콜레스테롤의 대부분은 간에서 만들어지므로, 식품으로 섭취한 콜레스테롤은 혈중 콜레스테롤 수치에 큰 영향을 주지 않기에 계란 섭취와 심장질환과는 큰 관계가 없다고 발표했다 [57].


이 놀라운 소식은 CNN, 워싱턴 포스트, 뉴욕 타임스 등 주요 언론을 통해 신속하게 전파되었고, 식품업계에서는 기쁨의 환호성을 질렀다 (아래기사)[58,59,60,61].



이 새로운 지침은 엄청난 논란을 일으켰다.


많은 과학자들과 영양학자들이 우려를 표했으며, 미국 의회에서도 이 식이 지침은 재검토가 필요하다며 청문회를 열었다(아래기사) [62,63].



하버드, 피츠버그, 미네소타, 캘리포니아 대학 등의 영양학 교수들이 농무부 장관에게 공개 항의 편지를 보내기도 했다(아래서신) [64].



편지에는 2015년 식이 지침에는 계란이 콜레스테롤 수치를 올린다는 명백한 과학적 증거들을 채택하지 않았다고 했다.


한 예로 2001년 미국임상영약학회지에 보고된 계란 섭취와 혈중 콜레스테롤 관계를 연구한 17개의 논문을 메타분석한 연구 결과, 하루 한개의 계란(약 200mg 콜레스테롤 함유) 섭취는 혈중 콜레스테롤 수치를 4mg/dL 올렸다 (*아래도표 설명 - 계란을 많이 먹을수록 LDL 콜레스테롤 수치는 비례해서 올라간다) [65].


RM Weggemans, et al. American journal of clinical nutrition 2001


이런 연구를 포함하여 식품을 통한 다량의 콜레스테롤 섭취는 혈중 콜레스테롤 수치를 올린다는 수많은 연구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편향적인 조사로 콜레스테롤 제한을 없앤 것은 미국인의 건강을 심히 해칠 것으로 우려된다고 기술했다.


왜 농무부의 발표는 과학적 진실과 동떨어져 있을까?


식단을 둘러싸고 정부와 학계, 식품 업계 및 관련 산업들의 막대한 이해관계가 복잡하게 얽혀있기 때문이다.


필자의 환자들 중에는 고지혈증 약을 먹고 있으면서도 계란을 하루에 1-2개씩 꼭 먹는다는 분들이 꽤 많다. 왜 그러냐 물어보면, 계란은 완전식품이고 단백질 보충을 위해 고령자에게 좋은 음식이라고 각종 매체에서 들었기 때문이라 한다 [66,67,68,69,70].


콜레스테롤은 필수 영양소라 우리 몸에서 필요한 만큼 간에서 스스로 충분히 만든다 [71]. 따라서 음식으로 추가 섭취해야 할 이유가 없다.


물론, 음식으로 섭취되는 콜레스테롤 양에 따라 간에서 생산하는 양을 조절하여 체내 콜레스테롤 양을 일정 수준으로 유지한다. 하지만 음식으로 너무 많은 양이 들어오면 처리되지 못한 콜레스테롤이 혈관에 쌓이면서 문제가 생긴다.


계란 등 콜레스테롤이 많이 든 식품을 먹으면 문제가 생기는 게 자명한데도 불구하고, 업계의 후원을 받은 연구들은 업계의 이익을 대변하는 경향이 있어, 식품을 통한 콜레스테롤 섭취의 위험성을 의도적으로 축소한다. 막대한 이해관계 때문이다 [72].


좀 더 자세한 내용을 알고 싶으신 분은 넷플릭스 다큐영화 'What the health'를 한번 보시길 권한다. (*유튜브 링크 - https://youtu.be/NDj0aNdfRLQ?si=pck3HQtIs2Qi_D6i)



하버드의대 영양학 교수인 월터 윌렛(Walter Willett)은“미국 농무부의 2015년 식사 가이드라인은 식품업계의 영향을 많이 받았고, 과학적 진실을 채택하지 않아 미국인의 건강을 해칠 수 있다”고 비판했다 [73].


결국,


2020년 식이지침에서는 2015년 지침을 변경하고 콜레스테롤을 가능한 적게 섭취하라고 수정했다(Eating as little dietary cholesterol as possible while maintaining a healthy eating pattern) [74,75].


앵커링 효과(Anchoring effect)라는 말이 있다.


배가 항구에 정박하여 닻을 내리면 그 지점에서 멀리 벗어날 수 없듯이, 인간의 사고와 판단도 처음에 제시된 어떤 정보 범위 내에서 크게 벗어나지 못하는 현상을 가리킨다.


"계란이 건강에 좋다"라는 기사를 한번 본 사람은, 그 후로 반박 기사가 나오더라도 계란에 대한 인식이 쉽게 바뀌지 않는다. 콜레스테롤에 대한 지침이 바뀌었다 하더라도 한번 앵커링된 마음을 바꾸기는 어렵다.


콜레스테롤 수치를 올리는 식품을 계속 먹으면서, 고카지노 게임이 치료되기를 바라는 것은 한마디로 "밑 빠진 독에 물 붓기"다.




동물성 식품이 고카지노 게임의 주범이다.


콜레스테롤과 중성지방이 많이 들어있는 식품을 먹으면 혈액 중 지방 성분이 증가하여 혈액이 탁해진다. 고기·생선·우유·계란 등동물성 식품이 여기에 속한다.


현미밥·채소·과일 등 식물성 식품은 콜레스테롤이 하나도 없고, 중성지방은 아주 적게 들어있어 혈액이 맑아진다. 시간이 지나면서 혈관에 쌓인 기름때가 사라지고 혈관이 넓어지면서 혈압이 내려간다. (*아래사진 좌측은 채식한 분의 식후 2시간 혈청 사진으로 투명한 노란색으로 보임. 우측은 육식한 분의 식후 2시간 혈청 사진으로 과도한 지방으로 인해 뿌옇게 보인다. 출처: 넷플릭스 다큐영화 The Game Changers)


채식은 콜레스테롤 수치를 낮춘다.


그것도 아주 신속하게!


채식으로 불과 12일 만에 총 콜레스테롤 11% 감소했고 [76], 단 2주 채식으로 총 콜레스테롤 22% 감소, LDL 33% 감소했다 [77].


고지혈증 환자들을 스타틴 약물 군과 채식 군으로 나누어 4주간 실험한 결과, 2주 후 LDL이 약물 군에서 31% 감소, 채식 군에서 29% 감소되었고, 4주까지 그 상태로 비슷하게 유지되어 두 군 간 콜레스테롤 감소에 별 차이가 없었. 즉, 채식은 약과 동일하게 신속하고 강력한 효과가 있다[78].


채식하면 혈액이 깨끗해지면서 카지노 게임이 떨어지기에채식인은 잡식인에 비해 고카지노 게임 환자가 훨씬 적다 [79,80].


채식과 카지노 게임 관련 논문 32개를 메타분석(약 2만1천명, 평균 연령 47세) 한결과, 채식인은 잡식인에 비해 수축기 혈압 평균 6.9mmHg, 이완기 혈압 평균 4.7mmHg 낮게 나와 채식은 고카지노 게임을 예방한다 [81].


채식에도 몇가지 종류가 있다 (아래 도표).

LT Le, et al. Nutrients 2014


잡식인에 비해 락토오보 채식인은 고카지노 게임 위험이 55% 낮았고, 완전 채식인 비건은 고카지노 게임 위험이 75% 낮았다 (*참고: 당뇨병 위험 감소는 락토오보 최대 61%, 비건 최대 78%) [82].


계란과 우유를 먹지 않는 완전 채식인 비건이 가장 건강할 수밖에 없는 이유다.


잡식인 1600명을 비건식 그리고 뷔페식으로 식사량 제한 없이(ad libitum) 배불리 먹게 한 후, 단 7일간의 변화(중앙값, median)를 관찰한 결과, 체중 1.4kg 감소, 총 콜레스테롤 22mg/dL 감소, LDL 콜레스테롤 16mg/dL 감소, 수축기 혈압 8mmHg 감소, 확장기 혈압 4mmHg 감소되어, 참가자의 86.5%가 혈압약을 줄이거나 끊는 드라마틱한 결과가 나왔다 [83].


채식은 이처럼 강력한 힘이 있다. 양껏 먹는데도 불구하고, 불과 1-2주 만에 효과를 보기에, 먹던 혈압약을 줄이지 않으면 안 될 상황에 놓인다. 이 글 초반 필자의 환자가 쓰러졌던 이유이기도 하다.




고카지노 게임을 치료하기 위한 식이요법은 매우 간단하고 명료하다.


모든 동물성식품을 완전히 금하고, 식물성 식품은 가공하지 않고 자연에 가까운 상태로 먹는 것이다.


식물성 식품이 고카지노 게임 치료제다.


미국 ‘US News & World report’ 지의 병원 평가에서 심장 질환 분야 20년간 연속 1위를 차지한 [84], 세계 최고의 심장병 전문 병원인 클리블랜드 클리닉의 콜드웰 에셀스틴(Caldwell Esselstyn) 박사는 지난 40년간 심장병 치료에 많은 발전이 있었지만 여전히 심장병은 미국인 사망원인 1위를 차지하고 있는데 그 이유는 지금까지의 치료 방법이 증상 완화에 중점을 둔 치료였기 때문이다. 이제는 심장병을 근본적으로 치료할 수 있는 수많은 증거를 가진 무가공 식물식 기반(whole food, plant-based) 채식을 하자고 제안했다 [85,86,87,88,89,90].


그가 채식으로 심장병을 치료한 사례는 다음과 같다.


198명의 관상동맥질환자(심장 혈관에 생긴 죽상동맥경화증으로 인한 허혈성 심장병)에게 채식 교육을 한 후 평균 3.7년 추시 관찰 결과, 채식을 준수 안 한 군(21명)의 62%에서 심근경색 또는 뇌경색이 발병한 반면, 채식을 준수한 군(177명)에서는 0.6%만이 발병했다. 채식은 혈관을 청소하고 깨끗하게 만들어 심장병 진행을 막을 뿐 아니라, 말기 심장병 환자를 완치하기도 했다 [91].

(*사진설명; Figure 1, 채식 후 불과 3주만에 심장 근육의 혈류 순환이 회복된 PET CT 사진. Figure 2, 좁아졌던 심장 관상동맥 혈관이 채식 후 완전히 회복된혈관조영술 사진.)


그는 "채식은 안전하고, 비용이 들지 않고, 부작용이 없고, 효과가 빨리 나타난다. 심장병 예방 및 치료에 더 이상 새로운 약이나 시술은 필요하지 않다. 채식이 가장 강력한 치료 방법이다"라고 말했다. 자세한 내용은 그의 저서 '지방이 범인'에 있으니 관심있으신 분은 읽어보시길 권한다.

보통 스텐트를 한 환자는 본인의 문제가 해결이 된 걸로 착각하고 약은 잘 챙겨 먹되, 생활습관은 이전처럼 되돌아가는 경향이 있다. 하지만 스텐트를 한 부분의 혈관은 넓혀졌으나, 다른 부위 혈관이 좁아지는 것을 막을 수는 없기에 얼마 지나지 않아 또 스텐트를 추가하는 소동을 벌린다.


필자의 환자 중 자기 남편이 스텐트를 4번이나 하고 돌아가셨다는 분도 있다. 스텐트 시술 후 병원에서는 약을 잘 먹으라는 지시만 했지, 음식에 대한 조언은 없었다고 한다. 혹시나 해서 물어봐도 "골고루 잘 먹어라"라고 하지, "콜레스테롤이 많은 음식은 먹지 마라"는 등의 구체적인 말은 없었다.


환자는 병원에서 시키는대로 잘했는데 내게 왜 이런 일이 생길까? 하는 의문을 가지지만, 그 원인을 모르기에 운명 탓을 하며 고통 속에서 숨을 거둔다.


스텐트는 임시 미봉책에 불과하다. 심장 혈관을 막는 죽상동맥경화증은 국소질환이 아니라 전신질환이기에 식습관 및 생활습관 등 전체적인 관점에서 교정하지 않으면 스텐트 치료는 반드시 실패한다.




약은 평생 먹어야 한다는 말은, 약으로는 낫지 않는다는 말과 같다.


고카지노 게임은 습관의 병이므로 습관을 고치면 해결이 되지만, 현대의학은 약물 치료를 우선하니 해결이 안된다. 대부분의 환자들도 생활습관 개선은 별 관심이 없고 약부터 찾는다. 일부 그렇게 권하는 의사들도 있다. 생활습관 개선 지도에는 시간이 많이 걸리지만, 약 처방은 쉽게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식이요법을 가볍게 취급하는 이유는, 식이요법이 강력한 효과를 발휘한다는 것을 의사들이 본 적도 들은 적도 없기 때문이다. 의대에서 음식의 중요성에 대해 배우지 않으니, 의사들도 식이요법에 대해선 사실상 아무것도 모르는 문외한이나 마찬가지다.


TV에 나와서 "음식을 골고루 잘 먹어라, 우유나 계란은 완전식품이다, 나이들수록 단백질을 더 많이 챙겨 먹어야 된다.." 등 엉터리 정보를 얘기하는 의사들은, 일반인들과 똑같이 신문이나 잡지에서 보고 배운 것을 얘기할 뿐이다. 그들이 음식에 대해 전문가일 것이라 생각한다면 그것은 완전히 착각이다. 의사들의 교육과정에서 음식에 관한 내용은 거의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당신은 의사가 한 말이라고 철석같이 믿는다. (*우유와 골다공증 문제 - /@mhsong21/20) (*단백질과 근감소증 문제 - /@mhsong21/18) (*단백질과 암 문제 - /@mhsong21/51)


음식과 건강은 밀접한 관계가 있다는 것이 점점 밝혀지자, 2019년 미국의사협회 공식학술지(JAMA)에서이제는 의대생들에게 영양학을 가르쳐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아래기고문) [92].


콜레스테롤이 많이 든 음식을 끊으면 고카지노 게임의 근본 치료가 되지만, 아직까지 현대의학에서는 심박동수를 줄이고(베타블로커), 혈액 속 수분을 강제로 빼내고(이뇨제), 혈관을 억지로 넓히고(혈관확장제), 콜레스테롤 생산을 막는(스타틴) 약들을 복용하게 한다. 원인은 그냥 두고 증상만 치료하고 있으니, 평생 약을 먹어도병은 낫지 않고 점점 더 악화되어 간다.(*고지혈증 약 부작용 -/@mhsong21/35)


약을 쓰건 식이요법을 하건 혈압만 내리면 된다고 생각하면 안된다. 약물에 의존하는 건 고카지노 게임 치료의 '첫 단추를 잘못 채우는 것'과 같다.


식이요법을 해야 고카지노 게임이 완치된다. 혈압이 올라가는 원인인 동맥에 낀 기름때를 없애고, 피를 맑게하여 혈관을 넓히는 근본 치료이기 때문이다.


식이요법은 강력한 효과가 있다.


모든 동물성 식품을 완전히 끊고 채식을 하면 며칠 지나지 않아 혈압이 내리기 시작한다. 고기를 조금 적게 먹는다거나, 비계 떼고 살코기만 먹는다거나, 고기 대신 생선을 먹어야 한다는 등의 어중간한 방법은 효과를 보기 힘들다. 동물성 식품을 먹지 않으면 건강에 문제가 생긴다는 근거 없는 주장에 휘둘려서도 안된다. (*채식에 대한 잘못된 정보들 - 채식해서 건강이 나빠졌다고?)


건강을 위해 '죽은 동물'을 먹을 이유는 전혀 없다.




고카지노 게임 치료의 주체는 환자 자신이 되어야 한다.


의사의 도움을 받아야 하지만, 자신의 병에 대해 올바르게 알아야 한다. 나쁜 습관을 고쳐야 하는데, 습관은 남이 대신 고쳐줄 수 있는 게 아니다. 자기 스스로 노력하지 않으면 안된다.


오랜 세월 굳어진 습관을 고친다는 것이 쉬운 일은 아니지만, 내 몸의 건강을 위한다면 불가능한 일도 아니다.


불행은 예고없이 찾아온다.


필자가 근무하는 병원은 옛부터 한방 치료가 유명하여 중풍(뇌졸중) 환자들이 상당히 많다. 병원 복도에서 중풍으로 인한 팔다리 마비로 힘겹게 걷고있는 환자들을 볼 때마다 안타까운 생각이 절로 든다 (아래 그림).

https://doi.org/10.5005/jp/books/12843_13. Differential Diagnosis in Spine Surgery 2016.

나이가 많은 것도 아니고 불과 40-50대에 발병하여 환자 본인뿐만 아니라 가족들도 고통을 겪고있다.


중풍이 와서 바로 마비가 되는 경우도 있지만, 중풍이 오기전일과성 허혈 발작(transient ischemic attack, TIA)이라는 일시적인 뇌기능 장애(얼굴이나 팔 한쪽이 마비되거나, 말이 어눌하게 나오는 등 증상이 잠시 나타났다가 수 시간 후사라짐)를 경험하는 경우도 종종 있다. 이는 뇌로 가는 혈관이 혈전 등에 의해 일시적으로 막혀 발생하는 증상이다 [93].


뇌로 가는 혈관이 좁아지고 있다는 이런 신호가 왔는데도 불구하고"내가 약을 꼬박꼬박 챙겨 먹고 카지노 게임 관리를 잘하고 있는데, 무슨 일이생기겠나?"는 안이한 생각을 하다가 진짜 중풍이 와서 비극을 맞게 된다.



평소에 건강해 보이던 분이 심장 문제로 갑자기 의식을 잃고 1시간 내 죽는 것을 '심장돌연사'(sudden cardiac death)라고 한다. 미국에서는 하루 약 1천명이 사망하고, 한국에서는 하루 약 70명이 사망한다 [94,95,96].


가장 흔한 원인은 죽상동맥경화증으로 인한 혈전이 관상동맥을 막아 생기는 '심근경색'이다. 특이한 것은 이들 환자의 50%는 심장질환의 첫 증상이 심장돌연사로 나타났다는 것이다. 즉 첫 증상이 '사망'이었다 [97,98].


육식을 즐겨하고, 음식을 짜게 먹고, 담배를 피우고, 운동을 멀리하고, 비만을 초래하는 나쁜 습관들을 대대적으로 뜯어고치면 이런 비극을 근본적으로 피할 수 있지만, 약을 맹신하고 설마하며 어영부영 시간을 보내다간 때를 놓친다.


'소 잃고 외양간 고치는' 어리석음은 오늘도 반복되고 있다.




고기·생선·우유·계란 등동물성 식품 섭취를 줄이고 채식을 하면 고카지노 게임, 당뇨, 비만, 고지혈증 등 현대인이 앓고 있는 만성질환 대부분을 치료 및 예방 할 수 있다는 수많은 과학적 증거들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런 사실을 왜 일부 의사만 주장하고 대다수는 침묵하는가?

Upton Sinclair(1878-1968)

미국 작가이자 퓰리처상 수상자였던 업튼 싱클레어는 "어떤 일을 이해 못하는 것이 급여에 유리한 사람에게, 그 일을 이해시키는 것은 매우 어렵다.”(It is difficult to get a man to understand something, when his salary depends on his not understanding it.)는 말을 남겼다.


만약 세상 모든 사람들이 식사를 채식으로 바꾸고, 금연하고, 적정 체중을 유지하는 건강한 생활습관을 가진다면 현대인이 앓고 있는 만성질환의 70-80%는 그냥 사라진다 [99,100].


그러면 수많은 병원, 제약회사, 식품회사 및 관련 산업들이 문을 닫고, 많은 이들이 직장을 잃을 것이다.


현대 의학을 공부한 기존 의사들을 변화시키기는 매우 어렵다. 의과대학에서 그렇게 배웠고, 선배들이 그렇게 해 왔고, 자신도 그렇게 해 왔기 때문이다.


제약회사나 식품회사를 비난할 생각도 없다. 그들은 그들이 해야할 일을 할 뿐이기 때문이다.


다행히 우리는 다양한 매체를 통해 스스로 공부하고 건강을 관리할 수 있는 시대에 살고있다. 간단하게 약을 먹는 방법보다는 조금 힘이 들더라도 진짜 내 몸에 좋은 방법을 택하는 게 좋다. 내 건강은 내가 지켜야 한다. 아무도 대신 책임지지 않는다.


화재가 발생하면 경보음이 울린다. 이때 어디에 불이 났는지 확인하고 불 끄는 일을 먼저 해야 한다. 경보음이 시끄럽다고 경보기만 끄면, 불은 계속 번져 집을 다 태우게 된다. 혈압이 높아졌다는 것은 몸의 주요 장기에 혈액공급이 부족하다는 경보음이다. '경보음'인 혈압 내리는데만 집중하고, '불'인 죽상동맥경화증은 그대로 두고 방치한다면 근본 문제 해결이 안되기에, 약을 평생 먹어도 몸은 점점 더 망가지고 각종 합병증에 시달리다 죽게된다.


고카지노 게임은 병이 아니라 증상이다.


약이 아니라 음식으로 해결된다.


건강은 약에서 오는 게 아니라, 매일 선택하는 음식에서 온다.


오늘 여러분은 어떤 선택을 할 것인가?


약인가? 음식인가?


"The ball is in your court."




참고문헌

1.위키백과 https://ko.wikipedia.org/wiki/%ED%95%AD%EC%83%81%EC%84%B1

2. E Adua. Decoding the mechanism of hypertension through multiomics profiling. Journal of Human Hypertension 2023;37(4):253-264.

3. Mayo Clinic https://www.mayoclinic.org/diseases-conditions/high-blood-pressure/symptoms-causes/syc-20373410

4. NA Graudal, T Hubeck-Graudal, G Jürgens. Effects of low-sodium diet vs. high-sodium diet on blood pressure, renin, aldosterone, catecholamines, cholesterol, and triglyceride (Cochrane Review). American journal of hypertension 2012;25(1):1-15.

5. KM O’Shaughnessy, FE Karet. Salt handling and hypertension. J Clin Invest 2004;113:1075-1081.

6. E Falk. Pathogenesis of Atherosclerosis. J Am Coll Cardiol 2006;47(8):C7-C12.

7. WC Roberts. Cholesterol is the cause of atherosclerosis. American Journal of Cardiology 2017;120(9):1696.

8. L Melaku, A Dabi. The cellular biology of atherosclerosis with atherosclerotic lesion classification and biomarkers. Bulletin of the National Research Centre 2021;45:1-22.

9. KBS뉴스 https://news.kbs.co.kr/news/pc/view/view.do?ncd=8119626

10. 중앙일보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071551

11. 서울대학교 병원 http://www.snuh.org/board/B003/view.do?bbs_no=6100

12. 병원신문 https://www.kha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228745

13. K Shinohara. The brain and hypertension: how the brain regulates and suffers from blood pressure. Hypertens Res2025;48:862–866.

14. Johns Hopkins Medicine https://www.hopkinsmedicine.org/health/conditions-and-diseases/peripheral-vascular-disease

15. RJ Ostfeld, KE Allen, K Aspry, et al. Vasculogenic erectile dysfunction: the impact of diet and lifestyle. The American Journal of Medicine 2021;134(3):310-316.

16. GI Hackett. Erectile dysfunction, diabetes and cardiovascular risk. British Journal of Diabetes 2016;16(2):52-57.

17. KK Chew, J Finn, B Stuckey, et al. Erectile dysfunction as a predictor for subsequent atherosclerotic cardiovascular events: findings from a linked-data study. J Sex Med 2010;7:192-202.

18. BA Inman, JL Sauver, DJ Jacobson, et al. A population-based, longitudinal study of erectile dysfunction and future coronary artery disease. In Mayo Clinic Proceedings2009;84(2):108-113.

19. K Tziomalos. Secondary Hypertension: Novel Insights. Curr Hypertens Rev 2020;16(1):11.

20. 메디게이트뉴스 https://www.medigatenews.com/news/2617560282

21. RO Halperin, HD Sesso, J Ma, et al. Dyslipidemia and the risk of incident hypertension in men. Hypertension 2006;47(1):45-50.

22. M Sakurai, J Stamler, K Miura, et al. Relationship of dietary cholesterol to blood pressure: the INTERMAP study. Journal of hypertension 2011;29(2):222-228.

23. AS Go, MA Bauman, SM Coleman King, et al. An effective approach to high blood pressure control: a science advisory from the American Heart Association, the American College of Cardiology, and the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Hypertension 2014;63(4):878-885.

24. WH Frishman. Beta-adrenergic receptor blockers. Adverse effects and drug interactions. Hypertension 1988;11:21-29.

25. DA Sica. Diuretic‐related side effects: development and treatment. The Journal of Clinical Hypertension 2004;6(9):532-540.

26. MJ Eisenberg, A Brox, AN Bestawros. Calcium channel blockers: an update. The American journal of medicine 2004;116(1):35-43.

27. NK Sweitzer. What is an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inhibitor?. Circulation 2003;108(3):e16-e18.

28.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국민건강지식센터 https://hqcenter.snu.ac.kr/archives/31541

29. 대한뇌졸중학회https://www.stroke.or.kr/bbs/?number=4189&mode=view&code=day&keyfield=&keyword=&category=&gubun=&orderfield=&page=1

30. 질병관리청 https://www.kdca.go.kr/board/board.es?mid=a20501010000&bid=0015&list_no=725117&cg_code=&act=view&nPage=1&newsField=202404

31. 메디팜헬스 http://www.medipharmhealth.co.kr/news/article.html?no=103840

32. 서울아산병원 https://www.amc.seoul.kr/asan/healthinfo/management/managementDetail.do?managementId=415

33. A Vij, K Kassab, H Chawla, et al. Invasive therapy versus conservative therapy for patients with stable coronary artery disease: An updated meta-analysis. Clin Cardiol 2021;44(5):675-682.

34. MB Rothberg, SK Sivalingam, J Ashraf, et al. Patients' and cardiologists' perceptions of the benefits of percutaneous coronary intervention for stable coronary disease. Annals of internal medicine 2010;153(5): 307-313.

35. H Lyu, T Xu, D Brotman, et al. Overtreatment in the united states. PloS one 2017;12(9):e0181970.

36. PS Chan, MR Patel, LW Klein, et al. Appropriateness of percutaneous coronary intervention. Jama 2011;306(1):53-61.

37. R Al-Lamee, D Thompson, HM Dehbi, et al. Percutaneous coronary intervention in stable angina (ORBITA): a double-blind, randomised controlled trial. The Lancet 2018;391(10115):31-40.

38. K Stergiopoulos, WE Boden, P Hartigan, et al. Percutaneous coronary intervention outcomes in patients with stable obstructive coronary artery disease and myocardial ischemia: a collaborative meta-analysis of contemporary randomized clinical trials. JAMA internal medicine 2014;174(2):232-240.

39. WC Roberts. Quantitative extent of atherosclerotic plaque in the major epicardial coronary arteries in patients with fatal coronary heart disease, in coronary endarterectomy specimens, in aorta-coronary saphenous venous conduits, and means to prevent the plaques: a review after studying the coronary arteries for 50 years. The American Journal of Cardiology 2018;121(11):1413-1435.

40. MB Rothberg. Coronary artery disease as clogged pipes: a misconceptual model. Circulation: Cardiovascular Quality and Outcomes 2013;6(1):129-132.

41. JM Mitchell, DL Brown. Harmonizing the paradigm with the data in stable coronary artery disease: a review and viewpoint. Journal of the American Heart Association 2017;6(11):e007006.

42. J Whittle, R Fyfe, RD Iles, J Wildfong. Patients are overoptimistic about PCI. BMJ 2014: 349.

43. MB Rothberg. PCI for stable angina: A missed opportunity for shared decision-making. Cleveland Clinic Journal of Medicine 2018;85(2):105-121.

44. SL Goff, KM Mazor, HH Ting, et al. How cardiologists present the benefits of percutaneous coronary interventions to patients with stable angina: a qualitative analysis. JAMA internal medicine 2014;174(10):1614-1621.

45. WG Howard. The real reasons behind complex surgical procedures. BMJ 2014: 349.

46. Institute for Healthcare Policy & Innovation https://ihpi.umich.edu/news/unbelievable-heart-stents-fail-ease-chest-pain

47. 메디팜스투데이 http://meditoday.com/news/articleView.html?idxno=328806

48. M Coylewright, K Shepel, A LeBlanc, et al. Shared decision making in patients with stable coronary artery disease: PCI choice. PloS one 2012;7(11):e49827.

49. K Liu, LA Colangelo, ML Daviglus, et al. Can antihypertensive treatment restore the risk of cardiovascular disease to ideal levels? The Coronary Artery Risk Development in Young Adults (CARDIA) Study and the Multi‐Ethnic Study of Atherosclerosis (MESA). Journal of the American Heart Association 2015;4(9):e002275.

50. J Gronewold, R Kropp, N Lehmann, et al. Cardiovascular risk and atherosclerosis progression in hypertensive persons treated to blood pressure targets. Hypertension 2019;74(6):1436-1447.

51. JC de la Torre. Vascular basis of Alzheimer's pathogenesis. Annals of the New York Academy of sciences 2002;977:196-215.

52. MC Henry-Feugeas. Alzheimer's disease in late-life dementia: a minor toxic consequence of devastating cerebrovascular dysfunction. Medical Hypotheses 2008;70(4):866-875.

53. AE Roher, SL Tyas, CL Maarouf, et al. Intracranial atherosclerosis as a contributing factor to Alzheimer's disease dementia. Alzheimers Dement 2011;7(4):436-444.

54. 국민건강보험 https://www.nhis.or.kr/magazin/149/html/sub1.html

55. 질병관리청 https://www.phwr.org/journal/view.html?uid=684&vmd=Full

56. Center for Nutrition Policy and Promotion. Dietary guidelines for Americans, 1980 TO 2000. www.health.gov/dietaryguidelines/1980_2000_chart.pdf.

57. U.S.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and U.S. Department of Agriculture. 2015 – 2020 Dietary Guidelines for Americans. 8th Edition. December 2015.

58. CNN http://www.cnn.com/2015/02/19/health/dietary-guidelines/.

59. The Washington Post https://www.washingtonpost.com/news/wonk/wp/2015/02/10/feds-poised-to-withdraw-longstanding-warnings-about-dietary-cholesterol/

60. The New York Times https://archive.nytimes.com/well.blogs.nytimes.com/2015/02/19/nutrition-panel-calls-for-less-sugar-and-eases-cholesterol-and-fat-restrictions/?_r=0

61. Egg Farmers of Canadahttps://www.eggfarmers.ca/2016/01/new-dietary-guidelines-for-americans-remove-limits-on-dietary-cholesterol-and-recommend-eggs-in-healthy-eating-patterns/

62. AH Hite, P Schoenfeld. Open letter to the secretaries of the US Departments of Agriculture and Health and Human Services on the creation of the 2015 Dietary Guidelines for Americans. Nutrition 2015;31(5): 776–779.

63. The Washington Posthttps://www.washingtonpost.com/news/wonk/wp/2015/12/18/congress-we-need-to-review-the-dietary-guidelines-for-americans/

64. RH Eckel, JM Jakicic, JD Ard, et al. Scientists’ Comment on Dietary Cholesterol. Cardiology, 63(25_PA), 2960-2984.

65. RM Weggemans, PL Zock, MB Katan. Dietary cholesterol from eggs increases the ratio of total cholesterol to high-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in humans: a meta-analysis. The American journal of clinical nutrition 2001;73(5):885-891.

66. 헬스중앙 https://jhealthmedia.joins.com/news/articleView.html?idxno=17781

67. 헬스인뉴스 https://www.healthin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12599

68. 매일경제 https://www.mk.co.kr/news/it/8654900

69. 한겨레 https://www.hani.co.kr/arti/society/health/679508.html

70. Medical News Today https://www.medicalnewstoday.com/articles/are-eggs-bad-for-cholesterol

71. CDC https://www.cdc.gov/cholesterol/about/index.html

72. ND Barnard, MB Long, JM Ferguson, et al. Industry Funding and Cholesterol Research: A Systematic Review. Am J Lifestyle Med 2019;15(2):165-172.

73.Harvard T.H. Chan School of Public Health. https://www.hsph.harvard.edu/nutritionsource/2016/01/07/new-dietary-guidelines-remove-restriction-on-total-fat-and-set-limit-for-added-sugars-but-censor-conclusions/

74. Medical News Today https://www.medicalnewstoday.com/articles/317332#cholesterol-and-fats

75. DGA https://www.dietaryguidelines.gov/sites/default/files/2020-12/Dietary_Guidelines_for_Americans_2020-2025.pdf

76. J McDougall, K Litzau, E Haver, et al. Rapid reduction of serum cholesterol and blood pressure by a twelve-day, very low fat, strictly vegetarian diet. Journal of the American College of Nutrition 1995;14(5):491-496.

77. DJA Jenkins, CWC Kendall, DG Popovich, et al. Effect of a very-high-fiber vegetable, fruit, and nut diet on serum lipids and colonic function. Metabolism 2001;50(4):494-503.

78. DJ Jenkins, CW Kendall, A Marchie, et al. Effects of a Dietary Portfolio of Cholesterol-Lowering Foods vs Lovastatin on Serum Lipids and C-Reactive Protein. JAMA 2003;290(4):502-510.

79.DJ Jenkins, CW Kendall, DA Faulkner, et al. Long-term effects of a plant-based dietary portfolio of cholesterol-lowering foods on blood pressure. European Journal of Clinical Nutrition 2008;62:781-788.

80. BJ Pettersen, R Anousheh, J Fan, et al. Vegetarian diets and blood pressure among white subjects: results from the Adventist Health Study-2 (AHS-2). Public Health Nutrition 2012;15(10):1909–1916.

81. Y Yokoyama, K Nishimura, ND Barnard, et al. Vegetarian diets and blood pressure: a meta-analysis. JAMA internal medicine 2014;174(4):577-587.

82. LT Le, J Sabaté. Beyond meatless, the health effects of vegan diets: findings from the Adventist cohorts. Nutrients 2014;6(6):2131-2147.

83. J McDougall, LE Thomas, C McDougall, et al. Effects of 7 days on an ad libitum low-fat vegan diet: the McDougall Program cohort. Nutrition journal 2014;13:1-7.

84. 메디칼업저버 https://www.mo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78692

85. CB Esselstyn Jr. Defining an Overdue Requiem for Palliative Cardiovascular Medicine. Am J Lifestyle Med 2016;10(5):313-317.

86. FL Crowe, PN Appleby, RC Travis, et al. Risk of hospitalization or death from ischemic heart disease among British vegetarians and non-vegetarians: results from the EPIC-Oxford cohort study. Am J Clin Nutr 2013;97:597-603.

87. P Tuso, M Ismail, B Ha, et al. Nutrition update for physicians; plant based diets. Perm J. 2013;17:61-66.

88. RA Koeth, Z Wang, BS Levison, et al. Intestinal microbial metabolism of L-Carnitine, a nutrient in red meat promotes atherosclerosis. Nat Med 2013;19:576-585.

89. D Ornish, LW Scherwitz, JH Billings, et al. Intensive lifestyle changes for reversal of coronary artery disease. JAMA 1998;280:2001-2007.

90. DMassera, T Zaman, G Farren, R Ostfeld. A whole food plant based diet reversed agina without medication or procedures. Case Rep Cardiol 2015;(2015):1-4.

91. CB Esselstyn Jr, G Gendy, J Doyle, et al. A way to reverse CAD? J Fam Pract 2014;63(7):356-364.

92. J Abbasi. Medical students around the world poorly trained in nutrition. JAMA 2019;322:1852.

93. 세브란스 건강정보 https://medicine.yonsei.ac.kr/health/encyclopedia/disease/body_board.do?mode=view&articleNo=66924&title=%EC%9D%BC%EA%B3%BC%EC%84%B1+%ED%97%88%ED%98%88+%EB%B0%9C%EC%9E%91+%5BTransient+ischemic+attack%28TIA%29%5D

94. American Heart Association Council on Epidemiology. Heart disease and stroke statistics—2022 update: a report from the American Heart Association. Circulation 2022;145:e153-e639.

95. SY Roh, JI Choi, MS Kim, et al. Incidence and etiology of sudden cardiac arrest in Koreans: A cohort from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database. PLoS One. 2020; 15(11): e0242799.

96. 위키피디아 https://ko.wikipedia.org/wiki/%EB%8F%8C%EC%97%B0%EC%82%AC

97. NH Kim, KH Yun, SK Oh. Sudden Cardiac Death. J Korean Med Assoc 2010;53(3):214-227.

98. AP Gorgels, C Gijsbers, J de Vreede-Swagemakers, et al. Out-of-hospital cardiac arrest-the relevance of heart failure. The Maastricht Circulatory Arrest Registry. Eur Heart J 2003;24:1204-1209.

99. ES Ford, MM Bergmann, J Kröger, et al. Healthy living is the best revenge: findings from the European Prospective Investigation Into Cancer and Nutrition-Potsdam study. Arch Intern Med. 2009;169(15):1355-1362.

100. GJ Egger, AF Binns, SR Rossner. The emergence of “lifestyle medicine” as a structured approach for management of chronic disease. Medical Journal of Australia 2009;190:143-145.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