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거진 정책일기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낭만민네이션 Mar 24. 2020

온라인 카지노 게임관리론 2_ 왜 온라인 카지노 게임관리인가?

행정대학원 공공온라인 카지노 게임 전공_온라인 카지노 게임관리론

0. 들어가기


왜 온라인 카지노 게임관리인가? 정책이라는 주제를 우리는 왜 관리라는 관점에서 보아야 하는가? 행정관리라고 하는 요소가 정책활동에 '행정능력'이라는 징검다리를 통해서 연결된다는 것을 볼 수 있다. 행정관리에는 조직, 인사, 정보, 재무의 구성요소가 있고 이것은 행정능력을 가능하게 한다. 행정능력이라는 것은 지적능력과 정치적능력, 실행적 능력이라고 할 수 있고, 행정능력을 확보해야 정책활동이 가능해진다.


온라인 카지노 게임관리론은 '관리'가 독립변수이고 '정책'이 종속변수라고 할 수 있다. 오늘 왜 그렇게 되는지를 관리의 입장에서 면밀하게 살펴보자.


/@minnation/1731




1. 온라인 카지노 게임관리의 큰 그림


국가발전과 공익실현에 대해서 생각해보자.

공공온라인 카지노 게임을 통해서 국가발전과 공익이 실현되는데, 온라인 카지노 게임은 공공가치 창출을 위해서 존재하고 공공가치가 창출되면 국가 발전과 공익이 실현된다.

온라인 카지노 게임활동은 온라인 카지노 게임 결정과 집행으로 크게 나누어진다.

이러한 온라인 카지노 게임활동은 바람직한 온라인 카지노 게임결정과 성공적 온라인 카지노 게임집행을 목적으로 한다.

정정길 교수의 '온라인 카지노 게임학원론'에서는 가장 중요한 사안으로 '행정능력'을 이야기한다.


온라인 카지노 게임

2. 행정능력


1) 지적능력

전문지식 : 기본적으로 가장 중요한 능력이다. 전문지식이란 어떤 현상에 관한 인과적 지식이다. 어떤 사안에대해서 인과적 지식을 많이 가지고 있을 수록 전문지식이 많다고 할 수 있다. 코로나 바이러스와 관련해서 전세계적으로 인과적 지식이 부족했기 때문에 가짜뉴스에 당하기도 하고 각국에서는 온라인 카지노 게임실패가 일어나기도 한다.

정보 : 다양하고 복잡한 사안에 대해서 질 높은 정보가 필요하다.

분석력 : 문제의 핵심을 파악할 수 있는 지적능력은 필수라고 할 수 있다.

창의성 : 최근들어 창의성의 성격이 매우 커졌다. 현재 정부가 대처하고 있는 문제들은 복잡성이 증가하고, 문제의 수준과 불확실성이 높아지고있다. 전통적인 방식으로는 문제를 해결할 수가 없다. 기존의 지식이 아니라 다양한 접근과 융합을 통해서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


http://www.ddanzi.com/ddanziNews/602451628


2) 정치적 능력

간접민주주의적 책임확보 : 정부내에서 이루어지는 온라인 카지노 게임결정은 창의성과 분석력이 아무리 뛰어나더라도 행정부 수반인 '대통령'의 결정이 큰 영향력을 끼친다. 다시 말해서 간접적인 대의제에 의해서 뽑인 대통령의 결정이 국가 전체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대의제에서 행정이 간접민주주의에 대한 책임을 확보하지 못한다면 국가발전과 공익실현을 이룰 수 없다.

직접민주주의적 책임확보 : 2003년에 출범한 노무현정권, 참여정부는 행정에서 직접민주주의가 작동하는 원리와 현상을 잘 보여주었다. 정치적으로 시민들의 요구를 받아들여서 온라인 카지노 게임활동으로 이어가기 위해서는 직접민주주의적인 책임을 확보해야 한다. 행정은 위로부터는 간접민주주의적 책임과 아래로부터는 직접민주주의의 책임을 확보해야 한다.

고객주의적 대응성 확보 : 정치적 주체로서 시민성의 주체성과 공공서비스의 수혜자로서 고객의 주체성을 볼 수 있다. 국민들의 니즈에부응하는 능력이야 말로 고객주의적 대응성 확보라고 볼 수 있다.


온라인 카지노 게임문재인정권은 참여정부보다 더욱 직접민주주의적 요소를 강화하였다.

https://www.innogov.go.kr/ucms/bbs/B0000023/view.do?nttId=3495&menuNo=300107


3) 실행적 능력(정책집행과 직접적 연관)

리더십의 동기부여

자원확보능력

외부(정치 및 민간) 지원의 확보능력


온라인 카지노 게임


온라인 카지노 게임과정 : 온라인 카지노 게임결정 - 온라인 카지노 게임집행

1. 온라인 카지노 게임 의제 설정단계 : 어떤 문제가 본격적인 온라인 카지노 게임문제로 다루어지는 단계, Agenda setting
2. 온라인 카지노 게임 형성 단계 : 어떤 대안들이 있는지 탐색하고 만들어 보는 단계, Policy fomulation
3. 온라인 카지노 게임 채택 단계 : 여러가지 대안들 중에서 일정기준에 의거해서 온라인 카지노 게임을 선택하는 단계, Policy adaption
4. 온라인 카지노 게임집행 단계 : 온라인 카지노 게임을 실제로 집행하는 단계, Policy Implementation
5. 정책 평가 : 실행된 정책의 장점과 단점을 평가하고 잘된 부분을 강화하고 부족한 부분을 분석해보는 단계, Policy evaluation




3. 행정/정치/경영의 차이점


정치학과 행정학의 가장 큰 차이점은 무엇인가? 사실 행정과 정치는 사촌관계에 있지만 차이가 존재하기는 한다. 정치와 행정의 큰 공통점은 정치적인 것이라는 것이다. 공공적인 부분에 관여한다는 것이다. 당연히 사익보다는 공익에 관심이 있다.

그러나 행정학은 관리에 더 관심이 많다. Get the things done에 관심이 있다면 정치학은 심층에 문제를 끌어 올려서 의제화시키는 데 주된 관심사가 있다.

행정과 경영의 차이점은 무엇인가? 기본적으로 관리에 관한 학문이다. 그러나 행정은 공공가치와 공공서비스에 관심이 있고 경영은 사익과 비지니스모델에 관심이 있다.




4. 능력과 관리


행정능력은 사실 관리되어야 한다. 잘 관리되지 않으면 능력도 사라지기도 하고 발생하지 않기도 한다.

행정관리론에서는 조직관리, 인사관리, 정보관리, 재무관리가 포함되어 있다.

효과적인 관리활동을 통해서 행정능력이 좋아질수도 있고 나빠질 수도 있다.

정정길 '온라인 카지노 게임한원론'은 관리에 많은 비중을 할애하고있다.

공공정책은 정책활동에 집중한다면 일반행정은 행정관리에 집중한다. 그러나 이 두가지는 결국은 '행정능력'으로 연결된다는 것을 볼 수 있다.



1) 조직관리

전통적으로는 개인/집단/전체조직으로 나누어서 분석하는 것이 보통이었다. 그러나 최근에는 조직관리의 차원이 달라지고 있다. 바로 거버넌스의 등장인 것이다.

또한 이러한 네트워크는 개인-집단-전체조직에이어서 네트워크까지 이어진다.

코로나바이러스의 경우 질병관리본부만 활동을 하고 있는가? 그렇지 않다. 지자체 뿐 아니라 중앙정부와 연구소, 관공서가 연결되어 있고 민간부분이 함께 활동하고 있다.

네트워크를 얼마나 잘 관리하는가에 따라서



2) 인사관리

인사관리를 어떻게 할 것인가? 어떤 인사관리 제도를 운영할 것인가?

정부운영 제도의 변화는 인사관리 방법도 달라지고 있다.

엽관제를 예로 들어보자. 엽관제는 선거에서 승리한 정당의 참모들이 행정의 다양한 장관이나 차관을 맡는 것을 뜻한다. 그러나 엽관제는 정치적 능력을 확보할 수 있지만 지적능력은 확보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다. 정당에 대한 충성도는 보통 정당회비를 얼마나 냈는지가 결정했다. 정당기부금이 곧 매관매직으로 이어지는 경우가 많았다.


3) 정보관리

VUCA의 시대에서 다양한 수 많은 정보들이 발생하고 그 정보들 중에서 유의미한 정보를 추출하는 것에 행정관리에 있어서 매우 중요하다고 볼 수 있다.

빅데이터의 특징 : Volume / Velocity / Variety의특징을 가진 빅데이터를 통해서 미래예측과 현상분석의 수준이 높아지는 것을 볼 수 있다. 빅데이터는 또한 특정온라인 카지노 게임에 대한 국민들의 의견과 니즈들을 파악하는데 도움이 된다.




4) 재무관리


예산을 확보하고 예산을 배분할 수 있는 능력이 재무관리 능력이다.

한해 400~500조원을 관리하고 배분하고 평가하는 재무능력은 필수라고 할 수 있다.





5. 행정이념


우리가 앞에서 살펴본 행정관리-행정능력-정책활동은 행정이념의 테두리 안에 있으며, 행정이념을 중심으로 진행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의사결정과정에서 '민주성/능률성'은 지도원리가 된다.

기본적으로 정치학은 민주성과 능률성 중에서 민주성에 방점을 둔다. 그러나 경영은 능률성에 더욱 관심을 둔다.

민주성과 능률성을 어떻게 조화롭게 가지고 갈 것인가가 온라인 카지노 게임관리에 있어서 영원한 숙제이다.

미국의 어떤 확자는 이것을 '저글러'라고 부른다. 민주성과 능률성을 두고 부단히 움직여야 한다고 말한다.





0. 마무리


20년전의 정부와 현재 정부가 맞닥드린 문제는 어떻게 다를까? 정정길의 책은 2000년도에 나왔고 1999년까지의 상황을 반영하였다. 그럼 다음 시간에는 우리에게 이것이 어떻게 맞는지 살펴보자.




민네이션, 생각

행정능력에서 정치적 능력은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지방자치와 전자민주주의에 따른 직접민주주의는 행정에 요구하는 부분이 더욱 많아지게 되었다. 행정에서는 시민들의 니즈에 반응하는 고객주의적인 '신공공관리론'의 입장에서 대응하기도 했지만 아예 '거버넌스'를 구성하여 시민들이 참여할 수 있도록 문을 열기도 했다.

주체적인 시민성이 발전하면서 책임의 문제가 발생했다. 공공가치를 실현하는데 있어서 성숙한 시민의식이 요구되었지만 실제로는 그렇게 되지 않은 부분이 많았다. 앞으로의 과제는 시민적 덕성을 어떻게 향상시킬 것인지이다.





참고 1. 엽관주의 (spoils system; 엽관제)


개념
엽관주의(獵官主義, spoils system) 또는 정실주의(情實主義, patronage system)는 인사권자와의 정치적인 관계나 개인적인 관계를 기준으로 공무원을 임용하는 인사행정제도이다. 일반적으로 엽관주의와 정실주의는 실적주의에 반(反)하는 의미를 지닌 개념으로 혼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들을 엄격하게 구분할 경우, 엽관주의는 정치적 신조나 정당 관계를 임용기준으로 하는 인사제도로 정의되는 데 비해, 정실주의는 인사권자와의 개인적인 신임이나 친소(親疏) 관계를 기준으로 하는 인사제도로 정의된다. 인사권자와의 개인적인 관계를 규정하는 귀속적 요인들로는 주로 혈연, 학연, 지연 등이 지적되고 있으며, 군(軍)과 같은 특수집단에의 멤버십(membership)도 거론되고 있다.


발달 배경
엽관주의는 민주정치의 발달에 따라 선거를 통하여 집권한 정당과 정당지도자에게 관료의 임면(任免)에 대한 재량권을 부여함으로써, 정치지도자의 국정지도력(executive leadership)을 강화하고 관료기구와 국민과의 동질성을 확보하기 위한 수단으로 발전하였다. 그러나 엽관주의의 구체적인 발달 배경이나 과정은 국가에 따라 서로 다르다. 여기서는 엽관주의가 공식적인 인사행정의 기본 원리로서 확립되었던 미국과 정실주의를 대표하던 국가인 영국을 중심으로 엽관주의(정실주의)의 발달배경과 과정을 살펴본다.


(1) 영국
유럽 대륙 국가에서는 절대군주제의 성립을 계기로 하여 근대적인 관료제가 발달하기 시작하였다. 그러나 영국에서는 절대군주제가 확립된 이후에도 체계화된 관료제가 발달하지 못하였다. 당시의 영국 국왕은 자신의 정치세력을 확대하거나 반대세력을 회유하기 위하여, 자신이 개인적으로 신임할 수 있는 의원들에게 국왕의 특권으로 고위 관직이나 고액의 연금을 선택적으로 부여하였다. 마찬가지로 장관들도 하급 관리의 임명권을 이권화함으로써 정실주의를 확대하였다. 이러한 형태의 정실주의를 은혜적 정실주의라 부르기도 한다.
그러나 명예혁명 이후 국왕에 대한 의회의 우월성이 확립되었으며, 내각책임제의 실시를 계기로 관리의 임면에 대한 실권이 국왕에게서 점차 의회의 다수당에게로 넘어가게 되었다. 이 때부터 의회를 장악한 유력 정치인들은 선거운동에 대한 대가로 그들의 지지자에게 관직과 연금을 부여하기 시작하였다. 이것을 계기로 영국의 정실주의는 국왕에 의한 은혜적 정실주의로부터 의회를 장악한 귀족 정치인들에 의한 정치적 정실주의로 전환되었다.
위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영국의 정실주의는 양대 정당에 의한 의회정치의 발달과 더불어 발전하였다. 그러나 영국의 정실주의는 "정권담당 정당과 관료기구와의 동질성 확보를 위한 관직의 교체"라는 엽관주의적 성격보다는 "개인적 은혜에 따른 관직과 연금의 종신적 부여"라는 정실주의적 성격을 강하게 나타내고 있다.


(2) 미국
건국 당시의 미국은 북부 상공업자를 중심으로 한 연방주의자와 남부 지주(地主) 세력을 중심으로 한 분리주의자 사이의 이해관계 대립으로 심각한 갈등이 존재하고 있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초대 대통령으로 취임한 조지 워싱턴(George Washington)은 연방주의자임에도 불구하고 공직자로서의 적격성(fitness of character)과 적재적소의 배치(fitness for the post)를 관직 임명의 원칙으로 삼아 공정한 인사를 실시하였으나, 집권 후반기에는 정부내의 온라인 카지노 게임적 갈등을 해소하기 위하여 자신과 동일한 정치적 신념을 가진 연방주의자들로 그의 정부를 구성하였다. 이 때부터 미국의 인사온라인 카지노 게임은 당파적 색채를 띄게 되었다.
이러한 경향은 제3대 대통령으로 취임한 토머스 제퍼슨(Thomas Jefferson)에 의하여 더욱 강화되었다. 분리주의자인 제퍼슨은 연방주의자에 의하여 독점되어 있던 연방정부에 자기 세력을 끌어들이기 위하여, 국민과의 약속을 실현한다는 명분 하에 대통령 임명직의 25% 정도를 경질하였다. 이때부터 정당에 대한 기여도를 공직 임명의 기준으로 하는 엽관주의가 발달하기 시작하였다. 1820년에 제정된 4년임기법(Four Years' Law)은 대통령이 임명하는 공직자의 임기를 대통령의 임기와 일치시켜 공무원의 운명을 정권의 진퇴와 연결시킴으로써 엽관주의에 법적인 기초를 제공하였다.
그러나 엽관주의의 실시에도 불구하고, 당시의 미국 연방정부는 동부 출신의 신흥 상류계층에 의하여 지배되고 있었다. 상류층의 공직 독점에 대한 불만이 고조되면서, 실제로는 고등교육으로 정의되던 공직임용기준으로서의 적격성은 좀 더 민주적이고 평등한 공직순환(rotation in office) 원칙으로 대치되었다. 1829년에 취임한 서부 개척민 출신의 앤드류 잭슨(Andrew Jackson) 대통령은 동부 상류계층에 독점되어 있던 관직을 서부 개척민을 포함한 일반대중에게 공개하기 위하여, 엽관주의를 "민주주의의 실천적인 정치 원리"라고 선언하고 미국 인사행정의 공식적인 기본 원칙으로 채택하였다. 그는 모든 공직은 건전한 상식을 갖춘 사람이면 누구나 수행할 수 있을 정도로 단순하기 때문에 공직의 장기 점유는 그에 따른 순기능보다는 역기능이 더욱 크다고 지적하면서, 엽관주의를 통하여 공직의 대중화를 추진하였다.
엽관주의는 잭슨 대통령 이후 본격적으로 확대되어 1845년부터 남북전쟁이 끝나는 1865년 사이에 절정을 이룬다. 이 시기는 엽관주의를 상징하는 "전리품은 승자에게 속한다(to the victor, belong the spoils)“는 슬로건이 공공연하게 미국의 공직사회를 지배하였다. 그러나 남북전쟁 이후 엽관주의는 서서히 쇠퇴의 길을 걷게 된다.
이와 같이 미국의 엽관주의는, 개인적 관계에 기초하고 있는 영국의 정실주의와는 달리, 집권정당과 관료기구와의 동질성을 확보하고 공직을 일반국민에게 개방함으로써 민주주의를 실현하기 위한 실천적인 인사원리로서 채택되었다. 미국에서 엽관주의가 공식적인 인사원리로 채택될 수 있었던 배경으로는 민주주의의 발달 이외에도 당시의 사회․경제적 구조가 단순하면서도 안정적이었다는 점과 그에 따라 정당도 비교적 동질적이었고 행정업무도 단순하였다는 점 등을 들 수 있다.


평가와 전망
발달 배경에서 논의한 바와 같이 엽관주의는 정부관료제의 민주화에 많은 공헌을 한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엽관주의의 장점을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① 특권적인 정부관료제를 일반대중에게 공개함으로써, 민주정치의 발달과 행정의 민주화에 공헌한다.
② 정당에 대한 공헌도나 충성도를 임용기준으로 삼음으로써, 정당의 대중화와 정당정치의 발달에 공헌한다.
③ 선거를 통하여 집권한 정당에 정부관료제를 예속시킴으로써, 정부관료제가 특권집단화하는 것을 방지하고 국민의 요구에 대한 관료적 대응성(bureaucratic responsiveness)을 향상시킨다.
④ 국민에 의하여 선출된 정치지도자의 국정지도력을 강화하여 줌으로써, 국민의 지지를 받는 선거공약이나 공공온라인 카지노 게임의 실현을 용이하게 해 준다.
그러나 엽관주의는 내재적인 특성과 사회경제적 환경의 변화로 인하여 많은 폐단을 야기하였으며, 그 결과 실적주의의 수립을 위한 개혁운동이 전개되었다.


엽관주의의 부작용으로 제기되고 있는 것들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① 소수의 간부에 의한 정당의 과두적 지배를 촉진하여 공직의 사유화․상품화 경향을 야기함으로써, 매관매직이나 뇌물 수수 등의 정치적․행정적 부패를 초래한다.
② 사회가 복잡해지고 다원화되어 감에 따라 행정업무의 처리에도 전문성과 능률성이 요구되기 시작하였으나, 엽관주의는 능력 이외의 요인을 임용기준으로 함으로써 이러한 변화에 대응하지 못하고 행정의 비능률성을 야기한다.
③ 정권이 바뀔 때마다 대규모적인 인력 교체가 일시에 이루어질 경우, 행정의 계속성, 일관성, 안정성 등이 훼손될 수 있다.
④ 공직에의 취임이나 신분의 유지가 전적으로 소속 정당이나 집권자에 대한 충성에 의존하므로 행정의 정치적 중립성과 공정성을 보장할 수 없다.
⑤ 자본주의가 발달하고 사회가 다원화되어 감에 따라 정당의 국민대표성이 약화되어, 더 이상 특정한 정당이 국민의 전체적인 이익을 대변하기를 기대할 수 없게 되었다. 따라서 국민대표성을 상실한 정당에게 정부관료제를 예속시키는 것은 정부관료제를 특정한 정당이나 소수 정당 간부의 특수 이익을 위한 도구로 전락시킬 우려가 있다.

위와 같은 비판으로 인하여 실적주의가 수립된 1880년대 후반 이후 정실이나 엽관에 의한 임용은 상당히 약해졌다. 그러나, 비록 약해진 상태이긴 하나, 엽관주의는 아직도 모든 정부에서 지속되고 있다. 엽관주의의 지속은 역설적이게도 그것을 극복하기 위하여 발전된 실적주의의 부작용에 기인한다. 즉, 실적주의에 따른 강력한 신분 보장으로 인하여 직업공무원들은 점차 관료주의화되어 갔으나, 이와는 반대로 국민에 의하여 선출된 정치지도자와 집권당의 관료에 대한 통제력은 점차 약화되어 갔다. 이에 대하여 "국민에 의하여 직접 선출되지 아니하고, 정치적인 해고로부터 강력한 신분 보장을 받는 직업공무원들이 어떻게 국민에 대하여 책임을 질 수 있겠는가?“ 하는 비판이 제기되고 있다.

엽관주의는 선거를 통하여 국민에게 책임을 지는 선출직 정치지도자들의 직업공무원들에 대한 통제를 용이하게 해 준다. 따라서 국민에 대한 관료적 대응성을 높이기 위한 수단으로서 엽관주의는 계속 필요하게 된다. 그러나 오늘날 엽관주의는 종래와 같이 광범위하게 이용되지는 않으며, 고도의 정치적 성격을 지닌 정책결정을 담당하는 고위직이나 인사권자의 특별한 신임을 요하는 직위 등에 한하여 한정적으로 허용되고 있다.


참고문헌
강성철․김판석․이종수․최근열․하태권 (2001). 「새인사행정론」. 서울: 대영문화사.
박연호 (1996). 「인사행정신론」. 서울: 법문사.
안희수 (1981). 공무원제도의 사적 발전. 윤근식 외, 「현대정치와 관료제」. 서울: 대왕사, 355-393.
오석홍 (2000). 「인사행정론」. 서울: 박영사.
이성덕 (1981). 영국의 관료제. 윤근식 외, 「현대정치와 관료제」. 서울: 대왕사, 233-256.

키워드
엽관주의
정실주의
실적주의
4년임기법


http://www.kapa21.or.kr/epadic/epadic_view.php?num=538&page=38&term_cate=&term_word=&term_key=&term_auth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