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 해결자 vs. 문제 발견자
어떤 사람은 주어진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좋아한다. 반면, 어떤 사람은 문제 자체를 찾는 것을 좋아한다. 전자는 흔히 "Problem Solver(문제 해결자)"라고 불리며, 후자는 "Problem Finder(문제 발견자)"라고 불린다.
이 둘 사이에는 우열이 존재하지 않는다. 단지 서로 다른 두 가지 관점이 있을 뿐이다. 문제 해결자는 기존에 주어진 문제를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해결하는 데 집중하는 반면, 문제 발견자는 기존의 틀을 넘어서 아직 해결되지 않은 새로운 문제를 찾아낸다. 이 두 역할이 조화를 이루어야 사회와 기술이 발전할 수 있다.
문제와 해결은 떼려야 뗄 수 없는 관계다.기본적으로 문제와 해결은 페어링 관계를 이룬다. 즉, 문제가 없으면 해결이라는 개념도 존재할 수 없다. 반드시 문제가 존재해야만 해결이 가능해진다. 또한, 해결이 이루어지는 순간 해당 문제는 소멸하게 된다. 제대로 된 해결책은 문제를 완전히 상쇄시키며, 이는 문제 해결의 궁극적인 목표가 된다.
이러한 관계를 이해하면, 우리는 문제를 피할 것이 아니라 오히려 문제를 적극적으로 찾고 분석할 필요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문제를 마주하는 것은 두려운 일이 아니라, 성장과 발전의 필수 요소이기 때문이다.
이 개념을 좀 더 구체적으로 이해하기 위해 수학을 예로 들어보자. "Problem Solver"는 마치 수학시험을 준비하는 입시생과 같다. 주어진 문제를 빠르고 정확하게 해결하는 것이 그들의 목표다. 반면 "Problem Finder"는 새로운 수학적 난제를 발견하고 탐구하는 수학자에 해당한다. 수학자는 기존의 문제를 해결하기도 하지만, 더 나아가 아직 세상에 밝혀지지 않은 새로운 문제를 정의하기도 한다.
수학적 문제 중 일부는 해결되지 않은 채 오랜 기간 동안 남아 있을 수 있다. 어떤 문제는 내가 죽기 직전에 해결될 수도 있고, 내일 당장 누군가에 의해 해결될 수도 있다. 따라서 문제의 해결 가능성은 넓은 스펙트럼을 가진다. 이런 점에서 보면, 문제 해결을 좋아하는 사람은 비교적 쉽게 풀 수 있는 문제를 선호할 수도 있다. 하지만 궁극적으로 진정한 문제 해결자는 난제에 도전하는 것을 두려워하지 않는다.
이처럼 문제를 대하는 태도에 따라 문제 해결의 수준도 다르게 나뉠 수 있다. 이를 다섯 개의 단계로 정리할 수 있다. 그전에 가짜와 진짜에 관해 간단히 살펴보자.
이 단계의 사람들은 문제 자체를 인식하지 못한다. 문제가 있어도 그것을 문제로 받아들이지 않으며, 개선이나 변화의 필요성을 느끼지 않는다. 현실에 안주하며 불편함을 당연하게 여긴다.
이들은 문제를 인식할 수는 있지만, 해결 방법을 찾지 못한다. 문제를 거론할 수는 있지만, 실질적인 해결을 시도하지 않거나 해결 능력이 부족한 상태다. 많은 경우, 이 단계의 사람들은 문제를 제기하는 데 집중하지만, 해결을 위한 실행력이 부족하다.
이들은 주어진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춘 사람들이다. 기존에 존재하는 문제를 인식하고, 그에 맞는 해결책을 실행하여 문제를 사라지게 만든다. 이들은 일반적인 문제 해결자로, 사회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 단계의 사람들은 단순한 문제가 아니라 ‘진짜’ 문제를 인식하는 능력을 가진다. 그러나 해결 방법이 너무 어려워서 해결하지 못하거나, 해결할 수 있는 수단이 부족할 수도 있다. 이들은 난제에 도전하는 연구자나 혁신가에 해당할 수 있다.
이들은 가장 높은 수준의 문제 해결자로, 복잡하고 난해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춘 사람들이다. 사회적, 과학적, 철학적 난제를 해결하며, 새로운 패러다임을 창출하는 혁신가들이 여기에 속한다. 진정한 문제 해결자는 기존의 사고방식에 얽매이지 않고, 창의적이고 도전적인 접근법을 사용하여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한다.
문제를 피하기보다는 정면으로 마주하는 태도가 중요하다. 어렵겠지만 말이다.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우리는 성장하고 발전할 수 있기 때문이다. 단순히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뿐만 아니라, 문제를 올바르게 정의하고 새로운 문제를 발견하는 능력도 필요하다.
문제 인식을 키우자: 우리가 인식하지 못하는 문제들도 많다. 주변의 작은 불편함이나 기존의 방식이 최선인지 다시 생각해 보는 것이 문제 발견의 시작이다.
문제 해결에 도전하자: 문제가 어렵더라도 피하지 않고 도전하는 태도가 필요하다. 때로는 해결이 어려운 문제도 있지만, 도전하는 과정 자체가 가치 있는 경험이 될 수 있다.
창의적 사고를 기르자: 기존의 방식만으로 문제를 해결하려 하면 한계에 부딪힐 수 있다. 새로운 관점에서 문제를 바라보고 다양한 방법을 시도하는 것이 중요하다.
문제와 해결은 불가분의 관계다. 문제 해결을 좋아하는 사람과 문제 발견을 좋아하는 사람이 모두 필요하며, 이들이 협력할 때 가장 효과적인 결과가 나온다. 문제를 두려워하지 않고, 오히려 문제를 기회로 삼아 도전하는 태도를 가진다면, 우리는 더 나은 사회와 미래를 만들어 갈 수 있을 것이다.
결국, 문제를 어떻게 대하느냐에 따라 개인의 성장뿐만 아니라 사회 전체의 발전이 결정된다. 문제를 외면하지 말고, 적극적으로 마주하자. 그것이 바로 진정한 문제 해결자로 성장하는 길이다.
Photo byPossessed PhotographyonUnsplas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