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즘(Imagism: 사상주의 <寫象主義)의 시(詩) 세 편
4 월
에즈라 파운드
-요정(妖精)들의 흩어진 사지(四肢)
세 명의 요정이 내게 와서
나를 떼어놓았다
껍질 벗겨진 올리브 나뭇가지가
땅 위에 뒹구는 곳으로:
밝은 안개 아래의 창백한 학살.
April
Ezra Pound
-NYMPHARUM MEMBRA DISJECTA
Three spirits came to me
And drew me apart
To where the olive boughs
Lay stripped upon the ground:
Pale carnage beneath bright mist.
‘요정(妖精)들의 흩어진 사지(四肢)’라는라틴어 제사(題詞)로 시작되는 이 시 ‘4월’을 읽으면 ‘4월은 가장 잔인한 달’이라는 T.S. 엘리엇의 시 ‘황무지(The Wasteland)’의 첫 구절이 생각납니다. 요정이라면 우리는 동화나 전설에 나오는 깜찍한 모양의 아름다운 존재를 연상하는데 그 요정들의 사지가 흩어져 있다고 하니 참혹한 정경이 연상되며 불현듯 ‘4월은 가장 잔인한 달’이라는 구절이 생각나는 것카지노 게임 추천. 파운드는 1913년에 ‘4월’을 썼고 ‘황무지’는 그로부터 9년이 지난 1922년에 나왔으니 파운드는‘황무지’의4월을전혀 모르고 이 시를 썼습니다.엘리엇은‘황무지’를 쓰면서 파운드의‘4월’과 같이 라틴어로 된 제사(題詞)로 시작했습니다.
다음과 같은 황무지의 제사는 아주 유명합니다.
정말 쿠마에서 나는 한 巫女가 항아리 속에 달려 있는 것을 똑바로 보았다. 아이들이, “巫女야 넌 무얼 원하니?”하고 물었을 때 巫女는 대답했다. “난 죽고 싶어.”
보다 훌륭한 예술가, 에즈라 파운드를 위하여
이렇게 제사를 ‘보다 훌륭한 예술가 에즈라 파운드’를 위한 것이라고 쓴 것을 보면 엘리엇의 머릿속 어딘가에 그가 그렇게 존경하는 파운드의 시 ‘4월’의 영향이 남아있었기에 ‘4월은 가장 잔인한 달’이라고 시를 시작하지 않았나 생각해 봅니다. 물론 이것은 지극히 개인적인 상상이지만 여하튼 두 시인이 모두 4월을 잔인한 달로 생각했던 것은 사실일 것카지노 게임 추천.
유럽의 4월은 부활과 재생이 일어나는 봄의 계절카지노 게임 추천. 하지만 1차 대전을 전후로 한 20세기 초의 여러 가지 상황은 당시의 유럽 사람들에게, 특히 지식인들에게는, 겨울의 죽었던 생명이 다시 살아나야 할 봄이 진정한 의미의 봄이 되지 못하고 있기에 오히려 잔인하게 느껴졌습니다. 그 봄의 한가운데에 4월이 있기에 엘리엇은 ‘4월은 가장 잔인한 달’이라고 부르짖었고, 그에 앞서 파운드는 4월의 자연 속에서 ‘요정(妖精)들의 흩어진 사지(四肢)’와 같은 유럽의 모습을 보았을 것카지노 게임 추천.
이미지즘(Imagism) 시운동(詩運動)의 중심인물답게 파운드의 이 시는 설명은 거의 없이 간결한 언어로 소묘된 이미지만 등장합니다. 요정, 흩어진 사지, 껍질 벗겨진 올리브 가지, 그리고 밝은 안개. 이 이미지들과 최소한의 상황 설정을 보며 우리는 한 폭의 그림을 보듯 상상력을 동원하여 이 시를 읽어갑니다.
‘세 명의 요정이 내게 와서 나를 떼어(갈라) 놓았다’는 어떤 영적(靈的)인 또는 종교적인 인도(引導)처럼 보카지노 게임 추천. 현실 세계를 떠나 초자연적인 어느 곳에 도달합니다. 그곳에 가니 올리브 가지가 껍질이 벗겨진 채로 땅 위에 뒹굴고 있습니다. 올리브 나무는 서구 문화에서 평화와 승리를 상징합니다. 그런 나무의 가지가 껍질이 벗겨져 있다는 것은 모욕과 수치를 의미하고 땅 위에 뒹군다는 것은 패배를 뜻합니다. 새 생명이 움터야 할 봄의 한중간에 있는 4월에 이런 일이 벌어졌으니 창백한 학살이라고 시인은 말합니다. 더욱 극적인 표현은 ‘밝은 안개’카지노 게임 추천. 안개는 보통 어둠과 모호함을 의미하는데 왜 ‘밝은 안개’라고 했을까요? 4월의 안개는 겨울 안개가 아니라 봄의 안개이기 때문카지노 게임 추천. 겨울 안개라면 어둠과 추위를 몰아오는 죽음의 안개지만 봄의 안개는 햇살과 따뜻함을 몰아오는 생명의 안개카지노 게임 추천. 그런데 그런 봄의 안개 아래 껍질 벗겨진 올리브 나뭇가지가 뒹굴고 있었으니 학살의 정경으로 보인 것카지노 게임 추천. ‘창백한 학살’의 ‘창백’과 ‘밝은 안개’의 ‘밝은’이 극명한 대조를 이루며 이 4월에 있어서는 안 될 일이 벌어지고 있는 당시 유럽의 상황을 파운드가 극적인 언어의 그림으로 표출한 ‘4월’은 이미지즘 시의 절창(絶唱)의 하나카지노 게임 추천. 이 그림을 더욱 자세히 들여다보면 볼수록 사람마다 더 다양한 느낌을 받을 수 있을 것카지노 게임 추천.
도시의 스카이라인
T.E. 흄
어느 여름날, 도시에선,
굴뚝들이 뭉게구름을 괴롭힌다,
꽃의 여신 플로라가 경멸하며 지나가다
그녀의 주름 장식 달린 푸른 가운인 하늘을 들어 올린다.
그래서 나는 그녀의 흰 구름 속치마를 본다,
투명한 발랑시엔 레이스*, 뒤틀린 굴뚝 덮개로 그물처럼 뒤덮이고,
굴뚝들에 의해 갈라지고, 찢어진 레이스, 닳고 째진.
(*발랑시엔 레이스: 프랑스 또는 벨기에산의 고급 레이스)
Town Sky-line
T.E. Hulme
On a summer day, in Town,
Where chimneys fret the cumuli,
Flora passing in disdain
Lifts her flounced blue gown, the sky.
So I see her white cloud petticoat,
Clear Valenciennes, meshed by twisted cowls,
Rent by chimneys, torn lace, frayed and fissured.
영국의 시인 흄(T.E. Hulme 1883~1917)은 앞에서도 말한 바와 같이 이미지즘 시운동의 맨 앞에 섰던 사람 중 하나카지노 게임 추천. 이 시 ‘도시의 스카이라인’에서도 그 특유의 시풍(詩風)이 확연히 느껴집니다.
그때까지의 전통적인 시와 달리 이 시에서 도시 경관은 의인화(擬人化)되어 그림으로 나타납니다. 우뚝 선 굴뚝들은 심술궂은 거인처럼 하늘의 뭉게구름을 괴롭힙니다. 꽃의 여신인 플로라가 지나가다 경멸의 눈초리로 이런 정경을 보다 한심하다는 몸짓을 하며 입고 있던 푸른색 가운을 (신경질적으로?) 들어 올립니다. 플로라는 자연에서 인격화된 여신이고 그녀의 푸른색 가운은 바로 굴뚝들과 뭉게구름이 엉켜 있는 하늘카지노 게임 추천. 그리고 흰 구름은 그녀의 속치마카지노 게임 추천. 여신이 가운을 들치자 드러난 그녀의 속치마는 원래 투명한 고급 발랑시엔 레이스였지만 굴뚝 덮개로 뒤덮이고, 굴뚝들로 갈라지고, 찢어지고, 닳고 째져 넝마가 되었다고 합니다.
시인은 한마디도 도시의 산업화로 도시의 풍경이 망가지고 있다는 말은 하지 않습니다. 그냥 굴뚝들과 뭉게구름, 그리고 여신의 푸른 가운과 속치마가 상징하는 하늘과 흰 구름의 이미지를 적절히 제시하여, 산업화로 옛 정취를 잃어가는 도시의 스카이라인을 바라보는 시인의 안타까운 마음을 잘 반영합니다.
도시라고 번역한 이 시에서의 town은 큰 도시는 아닙니다. 우리나라의 예를 들자면 읍(邑)보다는 크지만 도시만큼은 크지 않기에 시(市)라고 불리는 지방의 행정 구역들을 말할 것카지노 게임 추천. 때때로 서울을 벗어나 버스나 차를 타고 지방으로 나들이할 때 하늘 높은 줄 모르고 위로 치솟은 아파트를 보면서 속이 상할 때가 많습니다. 땅이 모자라지 않는 지방에서 무엇 때문에 아파트를 그렇게 높이 지었는지 이해가 안 갑니다. 산 아래 자리 잡은 어떤 아파트들은 산보다도 높아서 산을 두 동강이 낸 것처럼 보이는 경우도 많습니다. 그런 경우 그 지방의 스카이라인을 망쳐버립니다. 지방을 여행하면서 여러분들도 아마 같은 느낌이 드셨을 것카지노 게임 추천.
영국에서 산업이 발전하기 시작한 20세기 초에 살았던 흄도 이런 생각이 들어 ‘도시의 스카이라인’과 같은 시를 지었을 것이라는 생각이 듭니다.
유리창(琉璃窓)
정지용(鄭芝溶 1902~1950)
琉璃에 차고 슬픈 것이 어린거린다.
열없이 붙어서서 입김을 흐리우니
길들은양 언날개를 파다거린다.
지우고 보고 지우고 보아도
새까만 밤이 밀려나가고 밀려와 부디치고,
물먹은 별이,반짝,寶石처럼 백힌다.
밤에 홀로 琉璃를 닥는 것은
외로운 황홀한 심사 이어니
고흔 肺血管이 찢어진 채로
아아, 늬는 山ㅅ새처럼 날러 갔구나! (1930.1월 잡지 朝鮮之光 89호에 수록)
우리 모두가 잘 아는 노래 향수(鄕愁)의 시인 정지용은 6,25 때 납북되어 그곳에서 사망한 것으로 추정되고 있는 불행한 삶의 주인공카지노 게임 추천. 게다가 분단국가의 비극적 환경 때문에 전후 오랫동안 그의 시(詩)들은 공개가 금지되었다 풀려나기도 했습니다. 하지만 이런 여러 가지 곤경과 짧은 생애에도 불구하고 그는 한국 현대시의 발전에 커다란 발자국을 남겼습니다. ‘한국의 현대시가 정지용에서 비롯되었다’라는 문단에서의 평이 말해주듯 그의 시가 보여주는 참신한 이미지와 절제된 언어는 그때까지의 한국 시단에서는 보기 힘든 것이었습니다.
‘유리창’은 그의 시의 특징을 잘 보여주는 대표적인 시카지노 게임 추천. 이 시는 고등학교 국어 교과서에 실리기도 했기에 지나치게 많은 해설이 나와 오히려 시를 읽는 일반 독자들을 혼란스럽게 할 정도카지노 게임 추천. 너무 깊게 생각하지 말고 그냥 병으로 죽은 아들을 생각하며 밤의 유리창 앞에 서서 밖을 내다보며 슬퍼하는 젊은 아버지의 심정을 공감하려 하는 태도가 차라리 이 시를 제대로 감상하도록 도와줄 것카지노 게임 추천.
이 시를 읽다 보면 설명하는 말 대신 제시된 유리창 안팎의 이미지들이 가슴속에 들어와 아들을 잃은 아버지의 아픔과 슬픔으로 살아납니다. 셋째 줄의 ‘언날개를 파다거린다’와 마지막 줄의 ‘늬는 山ㅅ새처럼 날러 갔구나’는 아주 절묘한 병치법으로 시 전체의 맥락을 이어줍니다. 죽은 아들을 생각하며 밤에 유리창 앞에 혼자 맥없이(열없이) 서서 밖을 내다보던 시인에게 창에 서렸다 사라지는 입김의 모습이 어린 아들이 숨이 차서 파닥거리며 죽어가는 모습으로 보였습니다. 지우면 또 생기고 지우면 또 생기는 그 모습을 보다 창밖으로 밀려 나가고 밀려 들어오는 새까만 밤이 보였습니다. 그다음 줄 ‘물먹은 별이, 반짝, 寶石처럼 백힌다’의 표현이 압권카지노 게임 추천. ‘물먹은 별’이 어떻게 가능할까요? 별이 물을 먹은 것이 아니고 시인의 눈에 눈물이 고였기에 별이 물먹은 것처럼 보인 것이고 그 별은 더욱 빛이 나 반짝이며 밤하늘에 보석처럼 박힌 것카지노 게임 추천. ‘물먹은 별’은 시인의 슬픔을 극명하게 보여주는 이미지카지노 게임 추천.
‘밤에 홀로 琉璃를 닥는 것은 외로운 황홀한 심사 이어니’에서 ‘외로운 황홀한 심사’는 얼핏 이율배반적인 표현으로 생각되지만, 외로운 마음을 달래기 위해 유리를 닦으며 마음을 달랠 수밖에 없지만 그러다 보면 아들이 옆에 와있는 것같이 느껴져 황홀한 심사가 되기도 한다는 더욱 처절한 표현카지노 게임 추천.
이어서 ‘고흔 肺血管이 찢어진 채로 아아, 늬는山ㅅ새처럼날러 갔구나!’의 마지막 절을 읽으며 셋째 줄의‘언날개를 파다거린다’를 다시 읽게 됩니다.유리창에 어리는 입김의 모습을 왜‘언날개를 파다거린다’는 이미지로 표현했는지를 깨달을 때 시인의 상상력에 감탄하게 되고‘山ㅅ새처럼 날러 갔구나!’의 영탄에서 시인과 같이 아픔을 느낍니다.
여담이지만 이 시를 읽다 보면 귓가에 들려오는 음악이 있습니다. 구스타프 말러(Gustav Mahler 1860~1911)의‘죽은 아이를 그리는 노래(KINDERTOTENLIEDER)’카지노 게임 추천.교향곡 작곡가로 유명한 말러는 또한 훌륭한 가곡의 작곡가이기도 합니다. ‘죽은 아이를 그리는 노래’는뤼케르트(Friedrich Rueckert)의 시5편에 곡을 부친 연가곡으로 말러의 걸작 가곡 중 하나카지노 게임 추천.이 곡의 두 번째 노래가‘지금은 눈빛이기만 하지만 밤마다 아버지에게 별이 되어 돌아올 것이다’라는 사무친 독백으로 끝납니다. ‘물먹은 별이,반짝,寶石처럼 백힌다’고 한 정지용의 표현을 더욱 생각나게 하는 독백카지노 게임 추천.자식을 잃은 아버지의 마음이 같아서일까요?
음악을 좋아하시는 분이라면 이 시를 읽으면서 말러의 ‘죽은 아이를 그리는 노래’를 같이 들어 보시기 권합니다. 자식을 잃은 아버지의 애절한 마음이 시와 음악으로 같이 어울려 더욱 가슴을 치고 들어옵니다.
2025년 3월 석운